전북에서 발간하는 계간 ‘문예연구(발행인 서정환, 편집장 이종호)’가 지난해에 이어 2006년도 정부의 문예지 구입 배포 사업에 선정돼
화제다.
10일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김병익)에 따르면 복권기금을 지원받아 문예지 구입 배포 사업을 시행, 문예연구를 포함
전국의 37종의 문학 잡지를 선정, 발표했다.
특히 문학동네, 문예중앙, 창작과비평, 한국문학, 현대문학 등 전국의 대표적인
문예지들과 경쟁, 문예연구가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다시 한 번 확인된 것.
종합문예지 계간 ‘문예연구’는 1993년 창간, 통권
49호(2006 여름호)를 발간하여 지역 문학의 선구자 역할을 하고 있다. 문예연구는 서정주, 고은, 최명희, 신석정, 윤흥길, 최일남 등 전북
지역 문인들의 작가세계를 조명한 기획 특집을 포함, 다양한 주제로 근대문학 발굴, 문학계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상태.
창간호에 한국문학의 근대성을 소개한 것을 포함, 개화기 한국 문학, 민촌 이기영 평전, 이상 60주기 기념 특집, 톨스토이
탄생 1백70주년 기념, 인기 연류작가론 등의 특집과 함께 문학의 해 시화전 등의 행사 등을 꾸준히 갖기 때문이다.
또,
1998년 12월 12일 등단 작가들의 모임인 한국문예연구문학회(회장 김형중)를 결성, 모두 1백50 여 명의 작가들이 활동하고 있는 가운데
동인지 ‘텃밭’을 8회 발행했으며, 전국 계간 문예지 편집자회의 등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번 문예지 구입 배포 사업의
심의 기준은 문예지로서의 대표성과 문학성, 문학 분야 발전의 기여도 및 파급 효과, 원고료 지급 여부, 특기 사항은 지역에서 출간되는 문예지를
전체 선정 종수의 20% 이상 선정, 고려사항은 동일 조건일 경우 장르 및 지역 안배 적용 등.
이에 따라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문예지를 구입, 공공도서관과 교도소문고, 진중도서관 등에 배포, 독자와 작가, 문예지사를 동시에 지원함으로써 문화 인프라 구축에 중요한 몫을
담당하고 있다.
선정된 문예지는 다음과 같다. ‘리토피아*, 문예연구*, 문예중앙, 문학과경계, 문학과사회, 문학동네,
문학들*, 문학사상, 문학수첩, 문학판, 비평과전망, 사람의문학*, 서정시학, 세계의문학, 시경, 시안, 시와동화, 시와반시*, 시와사람*,
시와사상*, 시와세계*, 시와시학, 시작, 시평, 신생*, 실천문학, 아동문학평론, 아침햇살, 애지*, 작가세계, 작가와사회*, 창작과비평,
한국문학, 현대문학, 황해문화*, ASIA, 21세기문학. ※ *표는 지역문예지’
한편 공정하고 투명하게 대상 문예지를
선정하기 위해 문학나눔사업추진위원의 추천과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보유하고 있는 심의위원 뱅크를 활용, 먼저 각 문예지 관계자 및 전년도 심의위원,
타 사업 심의위원 등을 배제했다.
심의위원은 김주연(평론가, 숙명여대 교수), 문순태(소설가, 광주대 교수), 황광수(평론가),
문인수(시인), 오정희(소설가), 정두리(아동문학가), 하종오(시인), 노창선(시인, 청주과학대 교수), 성석제(소설가) 등 역량과 경륜 높은
중진 문학인 9명으로 구성됐다.
문예연구 서정환 발행인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우수 문예지로 선정된 문예연구는 참신한
기획과 지역문학의 한계를 딛고 전국적인 지명도가 있는 역량 있는 잡지로 우뚝 서는 계기가 됐다.”며 “앞으로도 좀더 다양한 콘텐츠로 독자들과
문학가, 문학애호가들을 만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전민일보 7월 11일자 8면 탑기사>
'생생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북 블록버스터 영화 촬영지로 확실한 자리매김 (0) | 2006.08.01 |
---|---|
국내 최대 규모의 2006 대한민국 대한명인전 서울서 개최 (0) | 2006.07.12 |
전주에 영상및 사진 자료실을 (0) | 2006.06.28 |
별미 전주궁중전통한방삼계탕 (0) | 2006.05.07 |
사상최대의 미술품 전주에 모였다 (0) | 2006.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