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한류(韓流)의 세계화’ 추진 본격

 
정부는 1월 17일 이해찬(李海瓚) 총리 주재의 국무회의에서 문화관광부 등 16개 관계부처의 2005년도 한류 지원정책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한류의 세계화’를 위한 향후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
 ▲ 2005년도 한류 지원정책의 성과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 한류 지속 및 확산에 장애가 되는 현지의 정서적 반감 완화 문제, 문화콘텐츠 불법 복제 문제 등의 해결을 위해 앞으로 정부가 노력해야 할 사항들을 논의했으며, ▲ 새로운 한류 시장 개척을 위한 국내외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각국의 한류 확산단계에 맞추어 전략적으로 대응키로 했다.
 이날 회의에서 정부는 방송, 영화, 게임 등 한류 핵심콘텐츠에 대한 해외마케팅 적극 지원 및 수출 지원 인프라 강화로 인해 문화산업 수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은 물론 관광, 화장품, 농식품 등 다양한 분야의 마케팅에도 한류가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또, 이제 한류가 국가브랜드 가치 제고의 주요 수단으로 자리 잡았으며, ‘APEC 정상회담’,‘ASEAN+3 정상회담’, ‘일본 아이치 EXPO’ 등 주요 국제행사의 품격을 크게 높였다고 밝혔다.
 지난해에 문화관광부를 중심으로 ‘CT(Culture Technology)비전 및 로드맵’ 수립 등 차세대 성장동력인 문화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CT대학원 설립 등 문화산업 전문인력 양성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향후 한류 콘텐츠의 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했다.
 정부는 앞으로 기존의 중국, 일본 시장 중심의 한류 수출정책을 보완하여  한류 확산 단계별로 현지의 정책수요가 다른 점을 감안, 전략적 접근을 시도할 계획이다. 한류 대상지역을 중국, 일본 등 ‘심화지역’, 대만, 태국 등 ‘확산지역’, 중동, 중남미 등 ‘잠재지역’으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로 차별화된 정책을 추진함으로써 정책의 효과성을 높여갈 예정이다. 한류의 확산을 위한 국내외 네트워크를 재외공관을 통해 강화하기 위해 재외문화원을 ‘한류 홍보’의 중심으로 홍보관, 상무관, 교육관 등 범정부간 현지 협력 네트워크를 긴밀하게 하며, 국내의 아시아문화산업교류재단의 기능을 아시아만이 아닌 전 세계의 한류 발신기관으로 확대키로 했다.
 ‘국가이미지위원회’, ‘한류지원정책협의회’, ‘한류정책자문위원회’ 등 기존의 부처간, 민·관 협의체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키로 의견을 모았고, 향후 국무조정실과 문화관광부에서 관계부처의 한류 정책 추진 상황을 지속적으로 점검, 한류 지원 정책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갈 것임을 밝혔다. 이종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