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북스토리

방화수림대(防火樹林帶), 선운사 동백나무

방화수림대(防火樹林帶), 선운사 동백나무

우리 조상은 음지에서 잘 자라는 나무, 양지에서 잘 자라는 나무, 습지에서 잘 자라는 나무, 건조한 땅에서 잘사는 나무 등을 나누어 적재적소에 심는 슬기로움을 보였는데, 그것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예가 방화수림대(防火樹林帶)다.

우리나라의 어느 절이든 화재를 당하지 않은 절을 찾아보긴 어렵다. 지난 2005년 산불로 폐허가 되었던 낙산사만 해도 조선왕조 5백 년 동안 무려 11차례의 화재를 겪었다.

방화수림대란 산불이 났을 때 불길이 사찰 경내로 내려오지 못하게 하고, 사찰에서 난 불이 산으로 번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찰과 숲 사이에 불에 잘 타지 않는 나무띠를 인공적으로 조성한 공간을 말한다. 먼저 사찰의 전각 뒤쪽 15~20m 공간의 숲을 완전히 제거하여 화소(火巢)를 조성하고 화소 위쪽에다 불에 잘 타지 않는 나무를 심어 방화수림대를 조성한다. 

현재 사찰에 남아있는 방화수림대는 고창 선운사에 동백나무숲이 있고, 화엄사 각황전 뒤에 동백나무와 참나무를 심은 방화수림대가 남아 있다. 나주 불회사 방화수림대는 아래쪽에서 위로 올라가며 잔디, 차나무, 동백나무, 비자나무, 대나무, 소나무, 혼효림이 층을 이루며 자리하고 있어 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방화수림 띠를 이루고 있다. 사천 다솔사는 화소 공간에 차나무를 심었는데 차나무는 동백나무와 같은 과에 속한다.
 
방화수림으로 이용되는 나무 - 동백나무, 아왜나무, 참식나무, 광나무, 사스레피나무, 호랑가시나무, 굴거리나무, 붓순나무, 후피향나무, 가시나무, 잎갈나무, 사철나무, 굴참나무, 불이 나면 줄기에서 물이 뿜어져 나온다 하여 [화두목]이라 불리는 은행나무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러한 내화수종은 산불 이후에 다른 나무들보다 회생력이 강하다는 장점도 있다. 음지에서 잘 자라는 음수나 친수성 나무인 고로쇠나무, 피나무, 물푸레나무, 황철나무, 고광나무, 음나무 등도 비교적 화재에 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