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북스토리

이자화(李自華)의 ‘(운수, 雲水)팔영(八詠)’

이자화(李自華)‘(운수, 雲水)팔영(八詠)’

 

석교귀승(石橋歸僧):석교 위로 돌아오는 스님

 

日暮溪雲起 날은 저물고 계곡에 구름 피어오르는데

孤儈渡石橋 외로운 스님이 석교를 건너는구나

相逢問去臨 서로 만나서 가는 곳을 묻는데

遙指碧岧嶢 멀리 가리키는 높은 산 푸른 암벽이 높고 높구나

 

사천숙로(沙川宿鷺):사천(沙川)에서 잠든 백로

 

白鷺棲初定 백로가 사는 곳을 처음 정했다네

沙寒水月虚 사천의 시원한 물 속에 빈 달이라

遙知擧一足 한 발짝 들면 멀리서도 알겠더니

不是為窺魚 이것은 고기를 엿보려는 것이 아니라네

 

연봉낙월(蓮峰落月):연봉(蓮峰)에 떨어지는 달

 

太乙真人岫 태을진인(太乙真人)의 산봉우리

香生玉井蓮 옥정의 연()은 피어 향기를 내뿜는데

濛濛蒼翠色 자욱한 연기에 푸른 색은 더욱 짙어지고

落月膮仍懸 지는 달도 향기에 취하여 걸려 있구나

 

학정암운(鶴亭暗雲);학정(鶴亭)에 드리운 어두운 구름

 

雨洗令咸野 들판은 비로 씻겨 널리 미치게 하고

空亭霽色肥 빈 누정은 온화한 빛으로 살찌우니

千年有孤鶴 천년의 외로운 학()이 있어

落日伴雲飛 해질녘 구름 사이를 짝을 이뤄 나는구나

 

삼곡초가(三谷樵歌):삼곡(三谷)에 울려 퍼지는 나뭇꾼 소리

 

採樵復採樵 땔나무를 하고 또 하고

持斧披雲去 도끼를 가지고 구름을 쪼개어 가고

日暮暗聞歌 날은 저물어 어두운데 노래소리 들리니

山深不知處 산이 깊어서 어디인지 알 수가 없구나

 

구고목적(九臯牧笛):구고(九臯)에서 피리 부는 소리

 

忽聞飯牛篴 문득 목동의 피리소리 들리니

烟雨滿平陸 안개비 들판에 가득하구나

*秦穆旣云亡 진목공은 이미 죽었다고 하는데

無人知此曲 이 노래를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구나

 

선암효경(璇菴曉磬):선암(璇菴)에서 새벽에 치는 맑은 경소리

 

寂寞古蘭若 적막한 절간 같으니

宿雲仍滿庭 잠자던 구름은 이내 정원에 가득하구나

林風磬疏落 숲에서 부는 바람에 멀리 경소리 떨어지고

天外曉山青 하늘 밖 새벽 산은 푸르기만 하네

 

옥촌모연(玉村暮烟): 옥촌(玉村)에 피어오르는 저녁 연기

 

落日照藍田 저무는 해가 남전을 비추니
孤村生玉烟 외로운 마을에 옥같은 연기가 피어오르는구나

誰將織女素 그 누가 장차 직녀의 소복을 짤 것인가

橫枕暮山邊 저녁 산 아래 침상을 가로 놓을 뿐이네

 

*진목공(秦穆公, 미상 ~ BC 621)

 

()은 목()으로도 쓴다. 춘추시대 진나라의 제9대 군주(재위, 기원전 660-기원전 621). 이름은 임호(任好), 진덕공(秦德公)의 셋째 아들이며, 춘추오패(春秋五覇)의 한 사람이다. 재위 기간 동안 어진 인재를 힘써 구해 백리해(百里奚)과 건숙(蹇叔) 등을 등용해 모신(謀臣)으로 삼았고, 올바른 정치에 전력을 기울여 국세가 날로 강해졌다. 39년 동안 재위했고, 시호는 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