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철 칼럼니스트가 '이슬먹고 자란 불로초(완두콩)'를 펴냈다.
완주의 인물을 비롯, 땅이름, 문화유산 등 스펙트럼이 아주 넓다.
![](https://blog.kakaocdn.net/dn/boLJGM/btsJ33ruax0/rbStOVKuBQJzjR6vt5ZSv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7PALz/btsJ2ZXTTJ3/B1V8t3SkevypkwWw0lse3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qaRCH/btsJ3GKkHz0/lQsAgdV7yraTxNt5KwFhn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9HxfZ/btsJ31NV8QZ/leHPiKiRJZg6Ijjvz0fHU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FBunM/btsJ4QkyasG/QQNear0rgCkWDAoyHKuCG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MPXi0/btsJ30OX1l6/WDRHeWIbrWoKbCnpC4DRZK/img.jpg)
사라져가는 것들의 아쉬움을 최대한 살려 기억해내고 기록했다.
1934년 10월 2일 밤. 함경남도 북청군 신창면 경찰 주재소에 괴한이 침입한다. 그는 홀로 무기고를 파괴하고 권총 2정(26식)과 실탄 100발, 기관총 5정(38식)과 실탄 600발, 단식 보병총 1정을 빼앗아 유유히 달아난다.
그의 이름은 김춘배(金春培, 1906∼1942). 서슬 퍼런 일제가 그토록 붙잡고 싶어했던 애국열사다.
완주군 삼례에서 태어난 김의사는 1917년 할아버지 김헌식을 따라 만주 용정으로 이주, 아버지는 용정에서 포목 장사를 하고 큰아들 김성배는 홍범도 장군 밑에서 독립운동을 했다.
동생 김춘배는 아내와 함께 양복점 일을 하면서 군자금을 모아 전달하는 일을 했다고 한다.
김의사는 1927년 길림성 돈화연에 근거를 두고 활동하던 정의부 부대에 가담해 무장 항일운동을 위한 군자금 모금 활동을 하다 일본 순사에게 붙잡혀 8년간 청진 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고 출옥했다.
1934년 출옥 후 공산촌락을 건설할 작정으로 혼자 함경북도에 있는 신창주재소에서 대량의 총기와 실탄을 탈취했다가 며칠 후 체포된다.
그해 10월 3일 홀로 함경남도 북청군 신창주재소를 공격해 총기 8정과 실탄 700발을 탈취했다.
2만 여명이 동원된 일제 포위망을 피해 일본인 순사부장 등에게 총상을 입히는 등 활약했으나, 서울로 내려오다가 10월22일 붙잡혔다. 혼자서 주재소를 습격한 이 항일운동은 ‘함남권총사건’, ‘북청권총사건’ 등으로 불렸다.
그는 해방후 출옥했지만 1946년 12월 사망했다.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1990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삼례에서 일제 침탈에 맞서 김춘배 집안의 김계홍, 김창언 등이 결연히 일어났고, 청산리 전투 등 독립군 무장투쟁이 있던 간도에서는 김춘배가 활약했다. 그러나 분단의 역사로 인해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 슬픔이 남아있다.
완주 봉동씨름의 시름꾼 장사는 5봉래(奉來)였던 ‘최’, ‘강’, ‘도’, ‘임’, ‘한'들은 전국 씨름판을 누볐다. ‘5봉래(奉來)’는 최봉래, 강봉래, 도봉래, 임봉래, 한봉래 등 전국 씨름 대회를 누볐던 5명의 봉동 씨름의 장사를 가리킨다. 해마다 이 다섯 장사들이 전국의 씨름판에서 타온 소가 200마리가 됐다.
김재철, 이성구, 이력철, 강대성 등의 장사와 더불어 임병용(42생) 등에 관한 이야기들이 회자되고 있다.
임병용은 황소를 6마리나 탔던 인물로 지역 씨름을 하는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받았다.
그가 씨름판에서 이겨 소를 몰고 오는 날이면 3∼4동네 풍물꾼과 길가 양편엔 마을 사람들이 줄을 서서 반겨 주었다. 날을 잡아 만경강 둔치에 차일치고 소 판 돈으로 잔치를 베풀었는데 이게 보람이었다고 한다.
임선수는 미소 지으며 환한 얼굴로 노복기(방죽안), 노은기(정동), 김재철(성덕), 이병원(학다리) 이영복, 전민기, 최찬욱, 조창기 씨가 알아주는 씨름꾼이라 소개한다.
임병용은 본인의 윗대로 봉기, 노은기, 김채철 등을 꼽는다. 이들이 있었기 때문에 본인의 씨름도 존재할 수 있었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임병용은 이전 전통 씨름에서 이른바 기술 씨름을 최초로 진행한 인물이다.
93세의 작가는 완주 화산 출신 향토사학자로, 평생 동안 지역사 연구에 매진했다.
완주군 13개 읍.면 곳곳의 문화 역사 마을 유래 등 연구 및 답사 업적이 정말 뛰어나며 탁월하다.
삼기초등학교 교사로 재직시 학교 뒷편 '봉림사지'에서 목없는 석불을 처음 찾아 학계에 전하고 봉림사가 후백제의 사찰임과 동시에 완주가 후백제 불교문화의 중심지였음을 세상에 알렸다.
또, 전래동화 '콩쥐팥쥐전' 에 나오는 중심 배경이 완주군 이서면 앵곡마을임을 처음 밝히기도 했다.
그는 고 이강오 전북대 교수와 함께 '완주군지' 발간의 집필위원으로 중심에 있었다.
화산면지, 고산면지, 동상면지, 소양면지. 화산별곡 등 수 많은 완주 향토사료집 발간에 참여, 정성을 다했다.
국사편찬위원원회 사료조사위원으로도 활동, 완주군 역사 문화의 우수성을 전국에 알리고 있다.
또, 완주문화원 창설부터 지금까지 문화원에서 발행하는 사료집 '만경강'과 많은 문화원 역술 저서에 참여, 그 공이 실로 크다.
때문에 완주군 마을 주민들은 그를 '걸어다니는 백과사전'으로 부를 정도로 마을 민담이나 야사에도 능통하다.
이번에 여기 저기에 막 흩어져 있는 그의 평생의 연구 자료를 책자로 소개, 완주 군민과 후학들에게 많이 읽히고 알게 해 군의 역사문화의 유래와 우수성을 널리 알릴 수 있게 됐게 돼 의미를 더한다.
작가는 "완주는 우리들의 생활터전이자 미래지향적인 문화 공간이다.
여기에는 선영이 있고 역사, 지리, 언어, 민족 등을 통해 조상들이 이룩한 문화가 숨쉬고 있다. 가장 향토적인 것이 가장 민족적인 것이며 가장 토속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으로서 우리가 거둔 모든 완주 문화는 향토적인 것에서 승화되고 있다. 이번에 만든 책자를 통해 완주의 인물, 비석, 사건, 문화유산, 땅이름, 자연, 풍수, 추억, 음식을 만나보기 바란다"고 했다.
사진은 황재남 사진가가 촬영했다.
이 책은 완주군청과 완주문화도시지원센터가 지원 및 기획했다.
'BOOK새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혜원 한국전통문화전당 전통한지팀장 ‘명품, 쓰임의 미학’ 발간 (2) | 2024.12.22 |
---|---|
이종근, 27일 57번째 책자 '전주 현판 서각' 양청문 서각장과 공동 발간 (1) | 2024.04.27 |
전주문화원, ‘고지도에 나타난 전주 지명’ 등 책자 발간 (1) | 2024.02.27 |
‘임실읍의 옛 이름은 운수(雲水)’임실문화원, '임실읍의 역사문화' 발간 (0) | 2024.01.17 |
이종근, 완주 '운주면지' 발간 참여.... 52번째 책자 발간 (0) | 2023.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