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예록(天倪錄)』에 실린, 조선 중기의 문신 송상인(宋象仁, 1569~1631)의 이야기를 살펴보자. 송상인은 무속에 대해 성리학의 이념에 철저한 전형적인 유교 지식인의 태도를 보여준다.
'송상인 공은 매우 강직하고 정대했으며, 평소에 무당을 질시하고 혐오하였다. 무당들이 귀신을 핑계로 백성들을 속이고, 빌거나 축원한다고 하여 오랫동안 음사를 벌이면서 사람들의 재물을 허비한 것이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으니, 실로 모두가 허망한 짓이라고 하였다. 항상 말하기를 ‘어떻게 하면 이 무리를 모두 없애 다시는 무당이 없도록 할 수 있을까’라고 했다.
이 이야기에 따르면, 송상인이 무속에 대해 단순히 부정적인 시각을 넘어 적대적 태도를 보임을 알 수 있다. 무속에 대한 적대적인 태도는 그가 남원부사가 되었을 때 행한 무당 축출령을 통해 분명해진다.
남원부사가 되자 영을 내리기를 ‘만약 우리 고을에 무당이라 이름하는 자가 발각되면 하나도 남김없이 매를 쳐서 죽일 것이니, 경내에 두루 명하여 모두 다 듣고 알게 하라’고 했다. 무당들이 이 영을 듣고 두려워하여 일시에 달아나 모두 다른 고을로 옮겨 갔다. 송 공은 더는 우리 고을에는 한 명의 무당도 없을 것으로 생각했다.
그러다가 그는 한 무녀를 만나게 되는데, 그 만남을 통해 무당과 무속에 대한 태도가 변화하게 된다. 송상인이 하루는 광한루에 올라갔다가 흙으로 빚은 장구를 메고 말을 타고 가는 무녀 한 사람을 발견한다. 무녀임을 확인하고 관아로 끌고 와서는 ‘무당은 모두 고을을 떠나라’라는 관가의 영을 듣지 못하였는지 묻는다. 그러자 무녀가 대답한다.
'소인이 드릴 말씀이 있사오니 원컨대 굽어살펴 주십시오. 무당에도 진짜와 가짜가 있사옵니다. 가짜 무당이야 죽일 수도 있습니다만, 진짜 무당이야 어찌 죽일 수 있겠습니까? 관가에서 영을 내려 엄금하는 것은, 가짜 무당을 얘기하는 것이지 진짜 무당은 아닐 것이옵니다. 소인은 진짜 무당이옵니다. 관가에서 저를 죽이지 않을 것을 알고 편안히 있으면서 옮겨 가지 않았사옵니다'
송상인이 무녀에게 진짜 무당임을 주장하는 이유를 묻자, 무당은 시험을 해 보라면서 ‘영험이 없으면 죽음을 청하겠습니다’라고 대답한다. 그러자 송상인이 귀신을 부를 수 있느냐 묻고, 무녀는 어렵지 않게 부를 수 있다고 말한다.
여기서 흥미로운 것은 송상인이 진정한 무당을 인정하는 조건으로 다른 세계의 존재인 귀신, 즉 죽은 자를 부르는 능력, 바로 신내림의 능력을 제시한다는 점이다. 송상인이 무녀에게 제시한 조건은, 무당이란 신내림을 통해 인간과 다른 세계의 존재를 연결하는 매개자이며, 무당의 진정성은 신내림의 진정성 여부로 결정된다는 이해를 전제하고 있다. 무당에 대한 이런 인식은 지금도 마찬가지이다.
당시 송상인에게는 죽은 지 얼마 안 된 평생의 친구가 있었다. 그는 무녀에게 그 친구의 혼령을 불러 보라고 한다. 무녀가 혼령을 부르기 위해선 음식 몇 그릇과 술 한 잔이 꼭 필요하다고 말하자, 송상인은 음식과 술을 마련해 준다. 또 무녀가 ‘나리의 옷 한 벌을 주시면 그것으로 신령을 청하겠습니다. 옷이 없으면 신이 내리지 않습니다’라며 옷을 부탁하자, 송상인은 전에 입던 옷 한 벌을 준다. 준비를 마친 무녀가 드디어 송상인 친구의 혼령을 불러온다.
'무당은 뜰 가운데 한 자리를 마련하고 술과 안주를 진설한 다음, 몸에는 송 공이 준 옷을 걸치고 허공을 향해 방울을 흔들면서 괴상한 말을 늘어놓으며 신이 내리기를 청하였다. 잠시 뒤에 무당이 ‘내가 왔네’라며 공중을 향해 먼저 유명을 달리하며 결별할 때의 슬픔을 말하였다. 그런 뒤 평생 서로 즐거움을 나누며 사귄 정을 이야기하였다. 대나무로 만든 말을 타고 놀던 일부터 책상을 맞대고 공부하던 일, 과거 보러 가던 일, 조정에 나가 벼슬살이를 하던 일, 모든 행동을 함께하고 벼슬하고 물러남도 같이 하며, 속마음을 터놓고 사귀며 아교와 옻처럼 서로 떨어질 수 없는 사이로 지낸 사정에 이르기까지 또렷이 말했다'
놀라운 것은 무녀의 말은 ‘모두 사실로 털끝만큼의 차이도 없이 맞혔다’라는 점이다. ‘또한, 공과 친구만이 알 뿐 남들은 알지 못하는 일도 털어놓았다.’ 이렇게 무녀의 신내림을 통해 죽은 친구(의 혼령)와 만난 송상인은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
'공은 이를 듣고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눈물을 흘렸으며, 슬픔을 이기지 못해 말했다. ‘내 친구의 혼령이 과연 왔구나. 의심할 바가 없다.’ 공은 곧 좋은 술과 안주를 차리도록 하여 친구에게 대접하였다. 한참 있다가 인사를 하고 서로 헤어졌다'
신이 내린 무녀의 말을 들으면서, 송상인은 무녀에게 내린 혼령이 자신의 옛 죽마고우임을 확신하고 비록 혼령이나마 친구에게 술과 음식을 대접한다. 송상인은 무당의 신내림을 통해 죽은 친구와 다시 만나는 경험을 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그 경험은 그가 눈물을 흘리고 의심할 바 없다는 말을 하게 할 만큼 사실적이었다. 한마디로 죽은 친구를 살아있는 사람처럼 만나는 생생한 체험을 한 것이다. 그런 생생한 체험을 가능하게 한 것은 바로 무당의 신내림이었다. 이 경험을 통해 송상인은 무당의 신내림, 나아가 무속의 진정성을 확신하게 된 것이다. 그러면 이 경험은 무속을 바라보는 송상인의 태도와 시각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을까?
공이 탄식하며 말하기를 ‘나는 늘 무당이란 모두 간사하고 거짓된 것으로 간주했는데, 이제 비로소 무당 중에도 진짜가 있음을 알았도다’ 하고, 무당에게 후한 상을 주고 무당을 금하는 영을 거두어들였다. 이로부터 다시는 무당을 몹시 배척하는 말이나 의견을 내지 않았다.
송상인이 이전에 무속을 부정하고 적대시하는 전형적인 유교 지식인의 태도를 보였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이 경험을 통해 무속의 진정성을 인정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그의 변화는 근본적인 변화라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그런 변화를 가져온 계기는 무당의 신내림을 통한 죽은 친구(의 혼령)와의 만남이라는 경험이다. 무속을 통해 가능해진 실제 경험이 무속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초래한 것이다.
무속에 대한 실제 경험과 충돌하는 것은 무속에 대한 그의 성리학적 관점이다. 당시에 무속에 대한 지배적 관점은 성리학적 관점이었다. 송상인이 무속에 대한 실제 경험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성리학적 관점을 고수했다면 그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을 것이다. 서로 모순되고 충돌하는 기존의 성리학적 관점과 실제 경험 사이에서 송상인은 실제 경험이 가리키는 길을 따랐던 것이다. 그것은 송상인이 구체적인 삶의 경험에 열려있는 개방적 사람이라는 점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지만, 그만큼 기존 관점이나 이론을 뛰어넘어 새로운 이해의 길을 열어주는, 실제 삶에서의 구체적 경험의 힘을 확인시켜 주는 것이기도 하다.
'전북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읍시, 동자개 방류 (1) | 2024.09.03 |
---|---|
전북의 이름을 가진 토종 식물과 동물 (1) | 2024.09.03 |
오희문, 몇 자 되는 뱀을 때려 죽이다 (0) | 2024.09.03 |
전주이씨화수회와 ‘화수각지’ 발간 (4) | 2024.09.02 |
<이종근의 역사문화 이야기 183> 전북과 콩쥐팥쥐, 장화홍련 이야기 (7) | 2024.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