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금척(夢金尺)'은 금척(金尺), 몽금척지기(夢金尺之伎), 개몽금척지기(改夢金尺之伎) 등으로 부른다. 조선 전기에 창작된 당악정재의 하나로, 이성계가 꿈에 하늘의 명을 상징하는 금자를 받아 조선을 건국했다는 내용의 악장을 부르며 추는 춤이다.
몽금척은 조선 전기의 당악정재이다. 금척을 든 무용수가 등장하여 여러 무용수와 함께 춤춘다. 금척(金尺)이란 ‘금으로 만든 자’로서 하늘의 명을 상징하는 도구이다. 금척을 든 무용수가 등장하여 여러 무용수와 함께 춤춘다. 정도전(鄭道傳, 1342~1398)이 지은 부르는 악장을 노래하는데, 악장은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 1335~1408, 재위 1392~1398)가 꿈에 금척을 받았다는 내용으로, 금척을 받은 것은 태조가 하늘의 명으로 조선을 개국했다는 것을 상징한다.
몽금척의 유래는 태조가 왕위에 오르기 전, 꿈에서 시작되었다. ‘태조실록’ 1392년 7월 17일의 기사에 따르면, 꿈에 신인(神人)이 금척을 가지고 하늘에서 내려와 말하기를, 경복흥(慶復興, ?~1380)은 청렴하나 이미 늙었고, 최영(崔瑩, 1316~1388)은 강직하나 고지식하니, 금척을 가지고 나라를 바르게 할 사람은 바로 이성계뿐이라 하면서 금척을 주었다. ‘금척’은 ‘금으로 만든 자’인데, 신화에서 자는 만물의 측량과 조절이라는 역할을 하기에, 왕권과 함께 생명력과 규범을 상징했다. 금척을 받는 태조의 꿈이 공연예술로 탄생한 것은 이성계와 함께 조선의 개국에 힘을 쏟았던 정도전을 통해서였다. 1393년(태조 3) 7월 26일에 정도전은 악장 ‘금척’을 태조에게 지어 올렸고, 세 달 뒤인 10월 27일에 몽금척이 처음으로 공연되었다. 1402년(태종 2)에 몽금척 정재를 국왕과 종친들의 잔치에 쓰도록 정했다. 그러나 태종은 몽금척이 태조 이성계의 실제 덕을 묘사한 내용이 아니라는 점과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예언을 담은 점을 들어 임금과 신하가 함께 하는 연회의 첫 번째 곡으로 사용할 수 없게 하고, 악부(樂府)에만 기록하도록 했다. 이후 1432년(세종 14)의 회례연에서 태종대의 몽금척을 수정하여 개몽금척지기(改夢金尺之伎)를 공연했다. 순조대 ‘(기축)진찬의궤’에도 “태조께서 잠저(潛邸; 왕위에 오르기 전에 머물렀던 곳 또는 기간)에 계실 때에 꿈에 신인이 금척을 주었는데, 세종조에 이를 본떠서 춤 을 만들었다”라고 하여 세종대에 몽금척을 만들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개몽금척지기’가 등장한 때를 춤을 만든 시기로 본 듯하다. 성종대 ‘악학궤범’의 향악정재 분류에서는 ‘금척’이라고 기록했다. 영조 병술년(丙戌年, 1766) 진연 때에는 영조가 친히 몽금척 정재의 ‘유황사(維皇詞)’와 ‘성인사(聖人詞)’를 지어, 내연에서 악장으로 썼다. 대한제국 시기까지 무동과 여령이 몽금척을 춤추었다가, 20세기 초반에 단절을 겪었다. 현대에 와서 국립국악원의 주도로 복원된 몽금척 정재가 무대화되었다.
몽금척은 꿈에 신인(神人)이 태조 이성계에게 금척을 주었다는 내용의 춤이다.
조선 개국의 정당성을 금척이라는 상징물에 담았다. 두 명이 죽간자(竹竿子)를 들고, 한 명이 족자(簇子)를 들고 앞에 서고, 한 명이 금척을 들고, 한명이 황개(黃蓋)를 들고 뒤에 선다. 열두 명이 좌우로 나누어 두 줄을 만들고, 나아가고 물러서거나 돌면서 춤춘다.
도입부에서 ‘악학궤범’ 금척의 초입배열도처럼 죽간자ㆍ족자ㆍ황개를 중심으로 하여 무용수가 양편에 세로로 늘어서 있다가, 죽간자 두 명이 진구호를 한 뒤에 무용수 열두 명이 두명씩 이동, 작대도의 형태처럼 가로로 늘어선다. 진행부에서 금척을 든 자의 치어가 이어지고 열두 명의 좌우대는 ‘금척사’제1장을 노래하면서 손을 여미고 ‘족도’라는 발디딤 동작을 한다./이종근기자. 도움말=국립국악원
'전북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명표 연구서 ‘전북작가열전’ (1) | 2024.01.24 |
---|---|
'그리운 임이 사는 마을' 임실 (4) | 2024.01.22 |
‘홀기’ 여러 곳에 ‘몽금척(진안 금척무)’ 소개 눈길 (2) | 2024.01.21 |
리모델링이 끝나가는 전북지사 관사 (0) | 2024.01.20 |
<이종근의 역사문화 이야기 53> 전주출신 화가 석계 최명룡, 신선을 동경하다 (1) | 2024.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