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돌,비석이야기

"구름이 머무는 곳"이라는 의미의 운서정(雲棲亭) 과 조기석

 

임실 '雲棲亭''嘉貞門' 편액은 심농(心農) 조기석(趙沂錫, 1876~1957)의 글씨이다. 조기석은 전북 김제 사람으로 당호는 담원당(澹遠堂)이며 벽하(碧下) 조주승(趙周昇, 1854~1903)의 장남으로 아버지의 서화를 이어받아 묵죽에 능하였고, 글씨에도 뛰어났다.

이 운서정 편액 외에도 전주 덕진공원 취향정(醉香亭), 백양사 운문암(雲門庵), 전주 청학루(靑鶴樓) 등의 편액 등을 썼다.

 

구이면(九耳面 ) 구암마을 지명유래 - 전북 완주군 구이면

 

이 마을에는 1920년경 물레방앗간이 있었고 바로 옆에는 육당 최남선이 심춘순례를 하면서 들른 집이 있으니 바로 심농 조기석의 집이다. 조기석은 덕진연못에 있는 취향정 편액을 쓴 서화가다. 최남선은 모악산 등정을 위해 전주 꽃밭정이를 거쳐 문정리를 지나 와동마을에...

 

구암마을은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덕천리에 속하게 됐고 덕천리에는 구암을 비롯 원덕천(元德川), 지등(芝登), 와동(瓦洞), 칠암(七岩), 청명(淸明) 등의 마을이 있다. 이 가운데 와동(瓦洞)은 모악산의 가슴에 와닿는 마을로서, 마을에 기와집이 많아 기와 와()’자를 써 마을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이 마을은 1920년께 물레방앗간이 있었고 바로 옆에는 육당 최남선이 심춘순례를 하면서 들른 집이 있으니 그곳이 바로 심농 조기석(心農 趙沂錫, 1876~1935)의 집이다. 그는 덕진연못에 있는 취향정 편액을 쓴 서화가로 유명하다. 이때 최남선은 모악산 등정을 위해 전주 꽃밭정이를 거쳐 문정리를 지나 와동마을에 머물렀다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