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스토리

금산사 무욕의 다리를 걷다

 

                                                                        금산사 홍예(전북대박물관 소장)


나 하나의 모든 그리움, 소슬한 가을 바람에 실어 보냅니다. 늘 속앓이를 했던 숱검댕이 가슴이 그래도 이 가을에 퍽이나 고맙게만 느껴집니다. 금빛 햇살이 어찌나 유혹하는지 자연의 향기따라, 이름 모를 들꽃 향기따라 촉촉히 상념에 젖어봅니다.

벽골제 쌍룡


산사의 품에 안기면 어느 새, 참사람의 향내가 나는가요. 일상의 피곤함을 털어버리고 몸과 마음을 재충전하려는 저의 발길이 머문 그곳은 금산사. 세상살이에서 얻은 부와 지식, 그리고 크고 작은 가슴앓이까지도 모두 훨훨 벗어던지고 비우랍니다.

‘똑똑똑’ 목탁 소리가 들려옵니다. 구중심처에서 주인의 참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하얀 고무신도 목탁소리에 맞춰 두 손 모아 기원합니다. ‘주인님, 성불하세요....’

                                                                                            정문배의 해탈교


모악산에서 내려와 해질 무렵, 심포항 언덕 망해사로 발길을 돌려 ‘물의 바다’로 떨어지는 낙조를 보는 쏠쏠한 즐거움이에서는. 생선도 좋다지만 식탁엔 너른 갯벌에서 잡힌 각종 조개류와 함께 전라도의 인심도 병인양 오릅니다. 망해사의 불빛이 하나, 둘 켜지기 시작하면 소슬한 가을 밤은 절정에 이르고.


논두렁 참새떼를 지키는 허수아비가 멀찌감치 시선 밖으로 사라지자, 이윽고 황국(黃菊)의 향기 그윽한 동네 어귀에 어머님과 삽살개가 마알간 웃음으로 화답합니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모악산만 같았으면 참으로 좋겠습니다.

과거의 금산사 홍예문

금산사로 발길을 돌리면, 세상살이에서 얻은 부와 지식, 그리고 크고 작은 가슴앓이까지도 모두 훨훨 벗어던지고 비우라고 종용합니다. 이어 해질 무렵, 발길을 돌려 심포항 언덕 망해사에서 떨어지는 낙조를 보는 쏠쏠한 즐거움에서는. 망해사의 불빛이 하나, 둘 켜지기 시작하면 시나브로 소슬한 밤은 이내 절정에 이릅니다.


금산사 일주문

금산사는 금산교를 비롯, 만인교, 해탈교, 금강교, 그리고 꼭꼭 숨어 있는 극락교(불이문 뒤에 자리하고 있어 일반인들의 출입이 통제되고 있다)와, 또 이름이 붙어지지 않은 다리가 숱하게 많습니다. 그러나 아주 오래된 견훤석성의 홍예(무지개다리)가 사라져 참으로 아쉬움이 많습니다.


금산사 만인교 조교비

청산은 발밑에 들판을 키우고 들판은 가슴속에서 산을 그리워한다고 했나요. 평야는 산(山)의 품 안에서 자랍니다. 모악산은 바로 그 호남평야의 어머니 산으로, 평평한 들판에 갑자기 둥글고 밋밋하게 솟은 저 아래 모두 ‘금(金)’자로 시작되는 고을을 품고 있습니다. 금평(金坪), 금산(金山), 금구(金溝), 김제(金堤)….


금산사조교비 옆 충혼비

예로부터 이곳은 금이 많이 나오는 곳으로 유명합니다. 전설에 따르면 모악산 아래에 사람과 똑같은 모양의 금덩이가 묻혀 있는데 머리와 팔다리 부분은 해방 이전에 일본인들이 다 캐 가고 이제는 몸통 부분만 남아 있다고 합니다.

금은 물을 낳습니다(金生水). 또, 그 물은 생명을 키웁니다. 만경강과 동진강이 바로 그 젖줄입니다. 생명을 키워내는 엄뫼, 모악산은 풍수학자들에 따르면 떠나가는 배, 곧 행주형(行舟形)의 연꽃배입니다. 나아가는 방향 역시 불교의 서방정토를 뜻하듯 서쪽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배를 둘러싸고 함께 흘러가는 봉우리들도 하나같이 연꽃잎 형상입니다. 중생을 반야선(般若船)에 싣고 서방정토로 향해 가는 모습이랄까요.

견훤의 유폐지로도 유명했던 금산사의 경우, 그 입구에 지금은 사라져 버린 성문의 모습이 그림에는 그대로 그려져 있는데, 이를 견훤석성으로 부릅니다.


금산사 종무소

홍교를 지나 금산사의 대적광전으로 이어지는 길에 있는 금강문과 보제루의 형식도 지금과는 달랐던 것으로 보여지며, 방등 계단 역시 둥근 원형의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견훤석성이 있던 바로 그 자리에 지금은 개화문이 들어서 있습니다.


견훤석성은 금산리 금산사 성으로 부르며 삼국시대에 절 입구에 쌓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1920년대 말까지만 해도 아치형의 석조물인 성문 주변에 남북 방향으로 성벽이 남아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지고 성문만이 남아 있습니다. 성문의 북쪽으로는 개천이 흐르고 있고 개천을 건너 편평한 평지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일대에 축대를 쌓으면서 많은 양의 흙이 복토된 것으로 보입니다.

                                                                                            만인교

 

이어 만인교가 모습을 드러냅니다. 오랜 시간 연구한 결과, 금산사 경내에 자리한 ‘만인교(萬人橋)’가 1920년에 세워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취재 결과, ‘국가지정문화재 지정보고서(문화재청 발간, 2008년)’에 따르면 1920년 ‘만인교(萬人橋)’를 세우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금산사조교기념비(金山寺造橋紀念碑)’가 세워졌습니다.


만인교 가기 전에 만나는 해탈교

하지만 현장에서 사진 촬영을 한 결과, 비가 너무 낡아 한자로 쓰인 ‘만인교’란 글자 외엔 판독이 거의 불가능해 탁본(탑본) 등을 통해 시주자들의 이름을 알아내고, 왜 이 곳에 비를 만들었는지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해보입니다. 다만, 안필성이 만인교를 건립할 때 희사금을 많이 냈다는, 일부 자료만 확인됩니다.


‘가로질러 가는 시내 위에 변변치 않는 다리를 놓고, 이름만 작은 글씨로 만인교라 하여 기적비를 세웠다. 아무리 보아도 비에 든 비용이 다리에 보다 몇 배였을 듯한 것을 보면, 목적이 다리에 있는 것이 아닌, 실상 비에 있음이 너무도 현저히 드러나 참 한심한 생각이 났다. 중들 이름 위에 직책을 쓰는데, 대본산 모, 연합장 모라고 한 점에 가뜩이나 아픈 허리가 거의 뿌러질 뻔하니 이 짓한 그네들도 어질지 못한 사람이다’


금산사 만인교비

최남선이 발간한 ‘심춘순례’에도 ‘만인교’가 당시에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지만 지금까지 건립 연도가 정확히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부처님 오신 날 전의 모습

 

불가에서는 ‘물 없는 곳에 샘을 파서 물을 공급해 주는 복’, ‘강에 다리를 놓아 쉽게 건너갈 수 있게 하는 복’, ‘험한 길을 닦아 사람들이 잘 다니도록 하는 복’, ‘부모에게 효도하고 잘 봉양하는 복’, ‘병든 이를 돌보아 주는 복(간병복)’, ‘가난한 이를 도와주는 복(구제궁빈복)’, ‘불법승 삼보를 공경하고 공양하는 복’, ‘사람들에게 법문을 알려주는 복’ 등 팔복전(八福田)을 가꿀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를 ‘유위복(有爲福)’, 즉, ‘함이 있는 복. 셈이 있는 복. 회계가 가능한 복’이라고 하는데, 최남선의 눈에 상당히 거슬린 모양입니다. 만인교 옆에는 ‘태운 김형렬 선생 등 88애국지사 충혼비’가 서 있습니다.

저 멀리 금산사와 등불이 보인다

 

이어 해탈교를 만납니다. 해탈문 대신 아치형 해탈교가 놓여 있는 것은 산자락의 계곡이 자연스럽게 해자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또한 사찰을 찾는 사람들에게 성속과 세속의 경계를 지으면서, 마음을 가다듬고 무거운 마음일랑 말없이 흐르는 계곡물에 씻어 흘러보내고 청정심으로 가람에 들어서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정문배 화백의 해탈교입니다.


                                                                             금산사 템플스테이의 한 장면

불어난 계곡물은 금산사 가람을 에두르고 물이끼는 돌의 이마에서 한층 짙푸릅니다. 계곡의 청량한 바람은 맑고 청아해서꿈길을 걷는 듯 행복한 새벽길을 펼쳐놓습니다.

                                                                          금산사 템플스테이의 한 장면


그대여! 행여 시린 마음 달래려거든 '하늘닮은'사람들의 희망, '하늘담은' 물푸레나무에 눈길 한번만 주시기를. 엄동의 바다, 윤슬은 더 찬란하고 이내 삶은 뜨거워집니다. 물푸레나무의 가지를 잘라 물에 한 개만 담궈 하룻밤만 묵어도 천년의 세월입니다.

설법전


이윽고 ‘똑똑똑’ 목탁 소리가 들려옵니다. 구중심처 금산사에서 주인의 참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하얀 고무신도 목탁 소리에 맞춰 두 손 모아 기원을 합니다.

                                                                                대적광전
오늘 하루 만큼은 ‘검정색이다 하얀색이다, 이것이다 저것이다, 옳다 그르다’ 등에 구애받고 싶지 않습니다. 단, 하루만이라도, 자연성에 맡기며 살고 싶습니다. 무소유가 또다른 소유의 집착이 되지 않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내비둬요', '나 내비둬요’./글.사진 이종근

                                                                              금산사 미륵전

                                                                           금산사 미륵전의 행사 한 장면

                                                                       금산사 템플스테이의 한 장면 

                                                                  저 멀리 바자울 건너 적묵당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