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원경제지 전어지(전 2권, 지은이 풍석 서유구, 옮긴이 임원경제연구소 조영렬·박종우·정명현·김현진·민철기, 발간 풍석문화재단)’ 조선 최대의 실용백과사전 ‘임원경제지’ 중 목축·사냥·어로 백과사전인 ‘전어지’를 풍석문화재단과 임원경제연구소에서 최초로 완역 출간했다. 2016년도부터 시작된 문화체육관광부의 ‘풍석학술진흥연구 사업 ’지원에 힘입은 결과다. 풍석(楓石) 서유구(徐有榘, 1764~1845)가 평생을 바쳐 완성한 이 백과사전은 16개의 지(志), 252만 여 자에 이르는데, 그중 일곱 번째 지가 ‘전어지’다. 19년째 ‘임원경제지’ 번역에 매달리고 있는 임원경제연구소가 전체 완간을 향한 막바지 힘을 쏟아낸 결과이다. ‘전어지(佃漁志)’는 얼마 전 이준익 감독이 영화로도 만들었던 정약전(丁若銓, 1758~1816)·이청(李晴, 1792~1861)의 ‘자산어보(玆山魚譜,1822년 경)’, 그리고 김려(金鑢, 1766~1821)의 ‘우해이어보(牛海異魚譜,1803년)’와 함께 조선의 3대 어류 전문서로 평가받고 있다.
‘전어지’는 어류 전문서일 뿐만 아니라 목축·양봉·사냥에 관한 정보가 풍성하게 실려 있다. 산과 들과 강과 바다에서 만날 수 있는 대부분의 동물들이 망라되어 있어 ‘동물 백과사전’이라고 할 만하다. 물론 모든 동물의 망라가 아니라, 인간이 활용 가능한 동물에 국한하여 논리를 전개한 것이다. 그러니까 객관적 관찰을 통해 자연계의 동물 생태를 묘사하고 설명한 서양의 ‘동물학’ 서적과 같은 성격의 책이라기보다는,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섭취해야 하는 먹을거리나 일상 용품을 만드는 데 필요한 재료로서의 동물을 얻기 위한 지식을 담은 저술이었다. 오로지 삶의 유용성 차원에서 접근한 실용백과사전이다. 그래서 사람이 먹거나 활용할 수 없는 동물은 학문의 대상으로 삼지 않았다. ‘전어지’는 4권 2책, 총 88,497자로 구성되어 있다. 책 제목의 ‘전어(佃漁)’는 ‘사냥과 어로(漁撈, 고기잡이)’라는 뜻이며, 사냥과 어로뿐만 아니라 목축과 양어·양봉까지 포함되어 있다. 이번에 출간되는 번역본에는 그림 271장, 사진 189장, 표 11개, 일러스트 78점이 수록되어, 다양한 사냥과 고기잡이 방법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철학자 도올 김용옥 선생이 서문을 썼다.
'BOOK새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익산 금마일기·유금마성기·금마별가 한글 번역 (0) | 2021.11.17 |
---|---|
완주 비봉면지 발간 (0) | 2021.11.10 |
이치대첩의 주인공 황진, 소설 '임진무쌍 황진'으로 태어나다 (0) | 2021.07.28 |
'1950년대 공무원 이강운의 ‘삼계일기’ (0) | 2021.06.13 |
전봉준장군 선대의 세거지와 이동 과정 자세히 설명 (0) | 2021.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