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완판본문화관이 23일부터 9월 26일까지 특별전 '동의보감(東醫寶鑑), 백세건강을 새기다'를 갖는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동의보감』의 가치와 전라감영에서 간행되었던 완영본(完營本)의 의미를 함께 만날 수 있는 특별한 전시로, 판각 콘텐츠를 활용한 다양한 기록문화체험도 진행될 예정이다.
이 전시는 한국한의학연구원 동의보감사업단이 주최하고 문화재청, 경상남도, 산청군이 후원하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동의보감 활용 · 홍보 사업’의 일환으로 개최된다. 완판본문화관은 2021년 해당 사업의 협력기관으로 선정되어 판각 콘텐츠 전시와 기록문화체험을 주관한다.
허준이 집필한 '동의보감'은 우리에게 잘 알려진 의학서이다. 중국과 조선의 의서를 집대성하여 1610년에 집필이 완성되었고, 25책의 방대한 분량이 1613년(광해군 5) 내의원에서 목활자로 간행됏다. 선조의 명에 의해 편찬이 시작된 『동의보감』에는 백성의 건강과 안녕을 바라는 애민(愛民)의 마음이 담겨있다. 17∼19세기 전라감영(완영·完營)과 경상감영(영영·嶺營)에서 여러 차례 간행하여 유포되었다. 전라감영에서 목판으로 새겨 『동의보감』을 인쇄했던 책판은 전주 향교에 소장되어 있다가 현재 전북대학교 박물관에 보관중이다.
전라감영의 책판은 1899년 당시 전라관찰사였던 조한국의 명으로 전라감영 내에 흩어져 보관되어 있던 책판이 전주향교로 옮겨지면서 120여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여전히 전주에 머물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완영책판은 약 11종 5,000여장이 전북대학교 박물관 수장고에 보관되어 있는데 그 중 『동의보감』 책판은 150여장이 남아있다. 이번 전시에는 전북대학교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완영책판 '동의보감' 2점이 공개된다.
이 전시는 '동의보감'의 일부를 목활자로 재현한 재현판도 최초로 선보인다. 재현판은 초간본(1613) 목활자본 신형장부도의 도형이 있는 권1 내경편(內景篇) 7장 부분이다. 이와 함께 목활자와 목판을 비교할 수 있도록 권 11 잡병편(雜病編) 5장 부분도 복각하여 인쇄와 출판 과정의 차이와 이해를 돕는 전시로 구성된다.
안준영 관장은 “백성들의 백세건강을 염원한 『동의보감』에는 시대를 넘어 기억하고 간직해야하는 것들을 소중하게 지켜내고자 하는 애민정신이 오롯이 새겨져 있다. 이번 전시를 통해 목활자 재현판과 복각 목판본을 선보일 수 있게 되어 뜻깊다”며 “기록문화를 기반으로 전주 한지의 세계화를 모색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지향점이 되었으면 한다”고 했다.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도현시인, 석정시문학상, 김인숙시인 석정촛불시문학상 수상 (0) | 2021.09.09 |
---|---|
최치원이 28개 별자리를 생각하며 심었다는 호남제일정 ‘피향정’ 연꽃 개화 (0) | 2021.07.28 |
내장산 단풍나무, 천연기념물 된다 (0) | 2021.06.02 |
전라북도서도대전, 은미덕 등 4명 수상 (0) | 2021.05.03 |
국립고궁박물관, 군사의례 특별전 3.28일까지 가져 (0) | 2021.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