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새통

이종근의 <전라감영600년-전주인문기행(1.2, 신아출판사)> 목차

<전라감영600년-전주인문기행(1.2, 신아출판사)> 목차
 
<전라감영600년-전주인문기행1)> 목차

전주 음식

‘전주 복숭아’ 승도
조선상식문답 속 전주
임실 쥐눈이콩과 전주콩나물국밥
백산자
전주 가맥
전주즙장
고들빼기김치
비사벌 초사
옴팡집
속담 속 전북 음식
미나리
오모가리탕
천렵과 회안대군
전주(봉동)생강 상인과 올공쇠
새로 찾은 전주비빔밥의 유래
전주 엿
이규보의 몽험기와 제신문(祭神文)
별건곤과 풍토유람
조삼난(趙三難) 만마관에서 술장사를 하다
돼지고기를 먹지 많은 전주부윤 윤효손
경기전 어정(御井)과 제례 음식
포크가 1884년 맛본 전주 밥상
전주는 왜 콩나물국밥이 유명할까
관아의 주방에 판 메추라기
동학이 생각나는 황포묵
혼돈반과 골동반
임실 팥칼국수와 전주 소바, 그리고 국수
전주 한옥마을 주변의 맛집들
마티 잉골드의 젓가락 사용과 달가워하지 않은 고추
전주역사박물관 한글음식 방문 알고보니
이사철, 아버지를 위해 편육 드시게 하다
이하곤의 두타초에 나타난 18세기 전주의 모습
서신동 감나무골
 
전주 예술

소년 명필
전주검무
비파 명인 송경운
소병진과 전주장(全州欌)
잊혀져 가는 ‘전주의 노래’
남행월일기(南行月日記)
잊혀진 이름 석당 고재봉
이응로와 개척사
기생 한섬과 양대운
대사습놀이전국대회와 동지
가재미골과 부채
경기전 용매와 한벽당 심매경
김치현과 이승갑
전주 지우산
호(號)
한옥마을의 느린 편지
허산옥과 행원
‘예(藝)’다방
천은사와 이삼만
명창 김옥진
합죽선의 유래
고하 최승범
낙화(烙畵)의 고장 전주
다가정의 모흥갑과 주덕기
통영장과 전주장
전주로부터 비롯된 한문 홍길동전 ‘노혁전’
기생 금개와 전주도
전라감영 선자청
완산8경이 나오는 춘향가
이병희가 쓴 한벽당 행서 편액
민주현의 완산가
김창조

전주 기록

금강전과 완산지
희현당
전주 책방
배첩장
완판본 열녀춘향가
포쇄
‘경기전의’와 전주 배첩(褙貼)
교지
경기전과 배첩
다가산방
전주와 조선왕조실록


<전라감영600년-전주인문기행2)> 목차


전주 인물

옛 사람의 이름, 전주의 길에서 만나다
김용진과 마전교
박인규의 구강재
간납대
박정근과 박병선
이서구와 전주
대한계년사를 저술한 정교
황녀 이문용
거두리 이보한
장성 백비(白碑)와 이상진 회화나무
가인로
서귀유고
홍성대 이사장
‘조선시대 최고의 절친’ 이상진과 전동흘
기인 삭낭자
엄복동과 전주
격구와 이성계
백인당
방애인
자이열재
이성계의 고향이 함북 영흥이 된 까닭
태조 이성계가 남원 황산대첩에서 탄 애마 '유린청(游麟靑)'
전주 기생 막동과 함부림

전주 역사와 생활

꽃보다 아름다운 전주 최부잣집의 꽃담
떡전거리와 전주 고속버스터미널
1872년 봄날, 전주지도에 보이는 오얏
교동(校洞)과 교동(橋動)
숲정이
자만동
호남 삼절(湖南 三絶)
미원탑
동락원
고물자골목
인봉제(麟峰堤)
행치마을
잊혀져가는 전주 유곽; 다가동의 돌기둥
기로연
완산동
사직단
오목교
관통로와 익산 전국체전
쌍다리
6지구
강당재
전주 맹꽁이
옥류마을 나무 전봇대
꽃밭정이와 꽃전
도마다리와 두간다리
'효자의 고향' 전주
빙고리
전주 별시(別試)
동산촌
풍남초등학교와 기린봉
아중저수지
신한교(新韓橋)로 불리워진 전주 다가교
경기전 용매
전주월드컵경기장
전주 단오
팔과정
세전서화첩(世傳書畵帖) 완영민읍수도(完營民泣隨圖)
전주 킬링필드
직지사와 전주 은행나무 골목
전주 물레방아
예규지와 전주
매곡교와 석전
관리가 잘 되어야 하는 천주교 상징물
학산
온다라
전주발(發) 착한 임대운동
송천동 오송(五松)
1920년 전북자동차상회 버스 요금
호숭첩
천양정

전주 문화유산

전주 하마비
전주초등학교 독립운동기념비
완산종(完山鐘)
덕진채련(德津採蓮)
예종 태항아리와 태지석
남고사의 종소리 크게 울려라
전주향교 계성사(啓聖祠)
남천교
전주성
함경남도 선원전 태조 이성계상과 국보 태조 어진
다가공원비석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