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새통

인문학으로 만나는 고창 음식 스토리와 문화(목차)

 

음식 스토리

 

고창과 부안의 칠산 앞바다

고창의 음식 속담

군산 째보선창과 고창 동호의 뱅어젓

전봉준이 먹었다던 죽력고, 대나무같은 정절지켰네

고창현감 이원, 소세양에게 쌀과 젓갈을 선물하다

고창 가죽잎나물과 남원 부각

강천수, 복달임의 풍류를 읊다

도둑잡은 소금 장수와 흥덕원님이 된 소금 장수

세종, 무장출신 윤회에게 과음하지 말라고 하다

고창의병장 오익창, 명랑해전서 병사들에게 동과(冬瓜)’를 먹여 갈증을 해소하다

18476, 고창 무장현감 남편에게 두부장을 보내다

조선조에 평양 냉면을 배달시켜 먹은 황윤석

고창의 음식1(우슬식혜, 칠게젓)

고창의 음식2(둠벙주, 굴김국, 지국장)

처음으로 공개하는 김정회고가의 장담금 레시피

고창 바지락라면과 군산 짬봉라면

고창 땅콩, 문재인 정부들어 전북 처음으로 추석 선물

대산 수박을 누가 처음으로 심었을까

고창 풍천장어의 유래

요강을 엎었다는 복분자 전설

 

문화와 역사

 

최봉, 딸 곱덕을 노비로 팔다

매창 무장현감 임서와 만나다

1448년 무장현 염전, 치료 목적의 목욕탕

조선시대 최고의 인기 직종 능참봉

지도로 만나는 무장

유금마성기를 남긴 강후진

보한집에 소개된 고창 호랑이

김상성의 서호별곡과 조성가 변산십에 나타나는 고창 관련 시

흥덕현감을 지낸 변시환가

무장현감 이유수 이야기가 나오는 목민심서

무장의 효자 진규인

송태회가 그린 1928년 고창 아산 호암(병바위)실경도

18세기 고창에는 5개의 장이 있었다

학원농장의 의미를 아는가

100년만에 핀 무장읍성 연꽃

동학농민혁명의 발상지 고창무장봉기, 126년 만에 모든 한국사 교과서 수록

청구풍아에 소개된 오세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