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근 27~28번째 개인 졸저 <인문학으로 만나는 음식문화 1~2> 발간
14일 이종근이 27~28번째 개인 졸저 <인문학으로 만나는 음식문화(신아출판사) 1~2> 를 발간했습니다
1.제목:비빔과 섞음의 조화 '혼돈반'(부제)
인문학으로 만나는 음식 문화1-2
2.권수:2권
3.출판사:신아출판사
4.각권 값: 2만원
5.표지 글씨:백담 백종희
6.내용:
허균과 부안의 방풍죽,
만마관에서 음식을 판 조삼난,
전주 생강 상인과 올공쇠,
진안군(君)과 소주,
성미당 놋그릇 이야기,
속담으로 만나는 전북음식 이야기,
고춧가루를 싫어한 예수병원 의사 잉골드,
서울 누이에게 부안 생선과 게를 보낸 유형원, 안동에서 무장현감 김진화에게 두부장을 보내다,
전주 복숭아 승도,
이순신장군이 선물로 받은 봉동 생강,
명랑해전서 병사들에게 정과(冬瓜)를 나눠준 고창의병장 오익창,
고창현감 이원 소세양에게 새우젓과 생선을 선물하다,
변강쇠전에 나오는 임실 곶감
등이 내용의 일부입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이종근 개인 프로필
전북도민일보 기자, 전민일보 문화부장, 전북문인협회 사무국장, 전주시 문화의집 관장, 한국문화의집협회 부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이 과정에서 한국프레스센터, 한국언론재단, 방일영문화재단(3회), 관훈클럽(신영연구기금), 한국언론진흥재단 등 기획 출판 대상에 7회 선정됐다.
문화 전문 공무원으로 전주시 ‘문화의집’ 관장 재직 시 제5회 전국 문화기반시설 평가에서 최우수상을 받았다.
한프문화의집 국제 컨퍼런스에서는 한국 대표로 선정돼 ‘문화의집’의 원조인 프랑스에 ‘직장인을 위한 한낮의 틈새음악회’를 소개했다.
1994년 ‘문예연구’ 신인상을 통해 수필가로 등단했으며, 2010년 제1회 대한민국 신화창조 스토리 공모대전(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우수상을 받으면서 다큐멘터리 작가로 데뷔한 후, 2011년엔 KBS-1TV를 통해 ‘꽃담의 유혹(2부작)’이 추석 특집물로 방영, 시청률 3.7%로 지상파 방송 10위권에 랭크됐다. 꽃담은 한국을 빛낸 100대 킬러 콘텐츠에 뽑혔다
제33회 전국향토 문화공모(한국문화원연합회) 콘텐츠부문에 ‘서예가 이삼만의 산광수색’ 창극 대본을 출품, 최우수상을 받았다.
그동안 온고을의 맛, 한국의 맛(1995), 전북문학기행(1997),모악산(1998)
전라도 5일 장터(1999), 전라북도의 축제(2000), 한국 문화의집 바로보기(2000), 주민자치센터 운영의 길잡이(2001), 명인명장-이태백 사오정이 없는 세상을 꿈꾼다(2004),
우리 동네 꽃담(2008):이 달의 읽을 만한 책 선정(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한국의 옛집과 꽃담(2010), 서예로 보는 전북문화유산(2013), 이 땅의 다리 산책(2015):이 달의 읽을 만한 책 선정(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용인의 이야기를 열다(2015), 전주천의 역사와 문화(2015), 전주 삼천의 역사와 문화(2015), 한국의 다리 풍경(2016),
전주 한옥마을 다시보기1(2016), 전주의 편액과 주련(2018), 전주 한옥마을 붓글씨 기행(2018), 한국의 미 꽃문(2018), 전북야사(2018), 고창인문기행(2019), 전주 한옥마을 다시보기2(2019), 한국의 꽃살문(2019), 전주예술사(2019), 동물로 풀어보는 전북의 해학(2019) 등 28권의 단행본을 펴냈다.
발간한 한국 꽃담과 다리는 KBS 글로벌 뉴스, 미주 중앙일보, 인도네시아 한인뉴스, K-BOOk 등을 통해 지구촌 곳곳에 알렸으며 '전주 한옥마을 다시보기1'은 일본 가나자와시 우미미라이 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다.
현재 2030 전주 문화비전 수립 자문위원, 전주 문화특별시 시민연구모임 멤버, 전주문화원 연구위원, 전주문화재단 전주문화비평 편집위원, 전북수필문학회 이사, 지후 아트갤러리 운영위원,
한국서예교류협회 홍보 및 기획 이사, 새전북신문 문화교육부 부국장으로 일하고 있다.
'BOOK새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종근이 펴낸 책 (0) | 2020.07.27 |
---|---|
전주 한옥마을 여행 정보 담은 책자 발간 (0) | 2020.07.24 |
군산, 자연을 품은 이야기(지은이 문정현, 발간 군산문화원) (0) | 2020.07.09 |
인문학으로 만나는 고창 음식 스토리와 문화(목차) (0) | 2020.06.23 |
전주대 HK+연구단, 여덟 번째 연구총서 옥중화 주해 발간 (0) | 2020.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