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종근의 행복산책

영등할매

매년 무렵이 되면 대개 품 안으로 파고든다는 꽃샘바람과 함께 꽃샘추위가 온다. 이는 바로 영등바람과 연결된다. ‘바람신’ 영등할머니가 이월 초하룻날 하늘에서 땅으로 내려와 머무는 까닭에 봄답지 않게 꽃샘바람이 매섭게 불어닥친다. 그런데 할머니가 인간 세상에 내려올 때에는 혼자 오지 않고 늘 딸이나 며느리를 데리고 온다. 이때 딸을 데리고 내려오면 예쁜 딸을 보호하기 위해 맑은 날씨에 바람만 살살 나부껴 날씨가 좋지만 고부간의 갈등 관계에 있는 며느리를 데리고 내려오면 비바람이 몰아쳐 농가에 피해를 입힌다.
음력 2월 초하룻날은 비바람을 일으키는 영등신(靈登神)을 맞아 제사를 지내는 날로 영등신은 ‘영등할머니’라 불린다. 영등은 비바람을 일으키는 여신(女神)인 셈이다. 보통 ‘영등할머니’ 또는 ‘2월 할매’라고도 한다. 영등신은 평상시에는 천계(天界)에 살고 있다가 이날이 되면 비바람을 몰고 지상으로 내려와 활동한 뒤, 음력 스무날에 다시 하늘로 올라간다고 한다. 때문에 이 날을 가르켜 가리켜 영등할머니를 맞아들이는 날이라 하여 ‘영등날’ 또는 ‘이월 할매 먹는 날’이라 하고, 2월 전체를 ‘영등달’이라고도 한다.
영등할머니가 2월 초하룻날 내려오는 것은 전국적으로 같지만, 올라가는 날은 초사흗날이나 보름, 또는 스무날로 지역에 따라 다르다.
농경이나 어로 같은 전통 생업에서 바람과 비는 생산량과 직결되는 요소이며, 이는 나아가 생존과도 직결된다. 이때쯤이면 농한기가 계속되지만 땅이 해동하는 시기로, 식물의 소생도 함께 이루어진다. 따라서 농사에 대한 준비가 활기를 띠면서 농한기가 끝나는 시점이 된다. 영등날은 농한기의 마지막 명절로, 영등할머니를 잘 대접해 농사의 풍년과 가정의 안녕을 기원했다.
또, 이때의 변덕스러운 날씨를 관찰해 한 해의 풍흉을 점치기도 했는데, 날씨와 딸, 며느리와 관련한 이야기는 당시 사람들의 가족에 대한 관념을 잘 보여준다.
전북에서는 이 날에 비가 오면 ‘비영등드린다’라고 하며, 바람이 불면 ‘바람영등드린다’라고 해서 밥을 하고 보리뿌리를 캐서 정지(부엌)에 놓고, 색색의 헝겊 조각을 대나무에 걸어놓고 제를 지낸다. 장수에서는 이 날 영등할머니를 맞아 보름에 보내며, 무주에서는 1일, 2일, 3일에 영등할머니를 맞아 일주일 있다가 보내는 사람도 있으나, 보통은 20일에 모두 올라간다고 믿는다. 즉, 영등할머니가 딸을 데리고 오면 바람이 불고, 며느리를 데리고 내려오면 비가 온다고 여긴다. 그러나 진안에서는 고운 할머니가 내려오면 비도 곱게 오고 바람도 곱게 불지만, 시끄러운 할머니가 내려오면 바람이나 비가 세게 불고 요란스럽다고 한다.
 '겨울바람이 봄바람보고 춥다'고 한다는 속담처럼 영등할머니 바람이 꽃샘추위를 몰고 온다. 그래서 요즘 날씨가 변덕이 심한가. 계절풍으로 알지만 설날이 지나고 정월보름때면 초대도 하지 않았는데 불청객이 되어 어김없이 찾아온다. 그녀를 심술쟁이로 볼까, 아니면 애교로 곱게 봐줄까. 작금의 국정농단 사태에 어떤 바람을 불어줄까 자못 궁금해진다/이종근(문화교육부 부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