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특수법인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이사장 김대곤)은 전국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원평집강소를 1년여 만에 동학농민혁명 전문가 및 고건축 전문가들의 고증을 거쳐 나선화 문화재청장, 송하진 전북도지사, 최규성 국회의원, 이건식 김제시장 등 정관계 인사와 지역주민 등 1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오는 12월 21일(월) 오전 11시에 복원 준공식을 개최한다.
이번에 복원된 김제 원평집강소는 1894년 5월(음력) 동학농민군이 조선정부와 전주화약을 체결한 이후 7월경, 동학농민군 최고지도자 전봉준과 전라감사 김학진이 관민상화의 원칙에 따라 전라도 53개 군·현에 설치하기로 합의하였고, 원평집강소는 이때 설치되었다. 원평집강소는 현재 유일하게 남아 있는 집강소 건물로서 학계 전문가들은 집강소 복원이 동학농민혁명사에 있어 매우 의미가 있을 것으로 평가한다.
이 건물은 1882년에 4칸의 초가로 지어졌으며 동학농민혁명 시기에 백정 출신 동록개가 원평대접주 김덕명 장군에게‘신분차별 없는 세상을 만들어 달라’며 헌납하였고, 동학농민군 최고지도자 전봉준 장군을 비롯한 동학농민군은 이곳에서 민주사회와 평등사회를 지향하고 그것을 실천하였다.
이후 이 집강소 건물은 일제강점기에는 면사무소, 불법연구회(원불교) 교당으로, 해방 이후에는 개인주택 등으로 사용되었으나 건물이 130년 이상 오랜 세월이 지남에 따라 멸실 및 훼손의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2012년 1차로 긴급매입 대상 문화재로 전북도를 경유하여 문화재청에 매입을 신청하였고, 동학농민혁명 120주년을 계기로 2014년 10월 김제시와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은 2차로 문화재청에 긴급하게 매입복원을 신청하였다.
이에 문화재청은 현지조사를 통해 긴급매입을 결정하고 매입복원사업 대행기관으로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을 선정하였으며, 기념재단은 학계 관계전문가 등으로 구성한 원평집강소 복원자문위원회(위원장:신순철 원광학원 이사장)를 운영, 1년여 동안 문화재전문가 및 지역주민들의 역사적 고증과 자문을 통해 동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마침내 이날 복원 준공하게 되었다.
원평집강소 복원을 완료한 김대곤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사장은 “복원된 원평집강소를 통해 동학농민혁명 정신을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나아가 전북도내 동학농민혁명 유적지와의 연계를 통해 특화된 동학농민혁명 역사콘텐츠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는데 있어 크게 기대된다”고 전하며, “이번 유적지 복원사업을 통해 동학농민혁명 유적지에 대해 문화재청의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달라”고 밝혔다.
복원된 원평집강소는 향후 문화재청이 김제시에 관리를 위탁하여 김제시가 (사)김제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와 함께 관리·운영할 계획이며, 준공식에 이어서 (사)김제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는 동학농민혁명 당시 관군과 일본군에 맞서 치열한 전투를 벌인 구미란전투에서 희생된 동학농민군 영령들의 넋을 위로하고 그 정신을 기리고자‘원평 구미란전투 추모행사’를 개최한다.
※ 붙임 : 동학농민혁명 원평집강소 복원사업 추진현황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연구조사부 박일규 (☎ 063-536-1894)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동학농민혁명 원평집강소 복원사업 추진현황 |
□ 사업개요
○ 명 칭 : 원평집강소
○ 소 재 지 : 김제시 금산면 원평리 184-3
○ 규 모 : 부지 524㎡, 건평 50㎡
○ 형 태 : 정면 4칸(대청, 방, 부엌)
○ 사업범위 : 토지매입, 원평집강소 복원 및 주변정비
○ 시행기관 : 문화재청(민간대행사업자 :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 사업기간 : 2014. 11. ~ 2015. 12.
○ 총 사업비(국비: 문화재청 지원) : 645,000천원
□ 원평집강소 연혁 및 복원된 모습
○ 원평집강소 연혁
- 1882년 : 건물 건립(상량문에 ‘光緖 捌年 壬午三月二十二日 立柱’ 기입)
- 1894년 : 원평집강소로 이용(백정 동록개가 김덕명 대접주에게 헌납)
- 일제강점기 : 면사무소로 사용
- 1930년대 : 불법연구회(원불교)로 사용
- 1940년대 ~ 1991년 : 개인주택으로 사용
- 1991년 ~ 현재 : 폐가로 방치
- 2014년 11월~‘15년 12월 : 원평집강소 복원 추진 및 준공
○ 복원된 원평집강소 모습
'한국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북근현대인물교재 (0) | 2015.12.22 |
---|---|
‘ 그때 그 시절 영정통사람들’ (0) | 2015.12.21 |
전북최치원유적지가 뜬다 (0) | 2015.10.27 |
송영구선생, 신도비 도 문화재 지정 첫 제사 (0) | 2015.08.30 |
새만금, 문학스토리(Ariul Literature Srory)를 읽다 (0) | 2015.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