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안 마을숲을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진안군과 진안문화원이 신청서를 제출했습니다. ‘국가 중요 농업유산’이란 제도가 생소하지만, 이는 농어촌자원에 대한 가치에 대한 인식부족, 농업방식의 현대화, 도시화에 따른 농촌의 인구감소, 경제개발논리 등에 의해 전통유산이 방치되거나 훼손되는 상황에서 농업자원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지난 2012년 3월에 제정되었습니다. 현재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6개소가 지정된 상황입니다. 완도(청산도) 구들장 논, 제주 돌담 밭, 구례 산수유 농업, 담양 대나무 밭, 금산 인삼 농업, 하동 전통 차농업 등이 그것입니다.
마을숲은 마을의 역사, 문화, 토속 신앙 등을 바탕으로 하여 마을주민에 의해 조성, 보호, 관리하는 숲으로서 마을 사람들의 실생활과 직접적인 관련을 가지고 있는 공동 터전입니다. 마을숲에 대한 연구는 조경학을 필부로 풍수학, 야생화, 조류학, 곤충학, 생태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는 종합 과학입니다.
특히 진안의 마을숲에 주목하는 이유는 일찍이 2002년 진안문화원에서『진안의 마을숲』이란 단행본이 발간된 때부터 입니다. 이후 국내외의 많은 연구자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진안의 마을숲을 대상으로 연구하면서 주목하게 되었습니다. 박재철의「마을숲의 바람과 온습도 조절에 관한 실증적 연구-하초 비보숲과 고사포 비보숲을 중심으로」와 고인수의「경관 구조가 진안군 마을숲의 식물 종 풍부도와 종자전파에 미치는 영향: 다중규모 분석과 시뮬레이션」등 박사학위 논문이 진안지역의 마을숲을 대상으로 한 논문입니다.
보통 마을숲 조성은 양난 이후 마을이 형성되면서 마을사람들에 의하여 조성됩니다. 그래서 마을숲의 역사는 길게는 500년, 보통 200-300년의 역사를 갖고 있습니다. 마을숲은 마을의 수구(水口)막이 역할을 합니다. 풍수적으로 비보 역할을 하여 마을을 풍수적으로 완벽한 땅으로 만들어줍니다. 마을숲은 바람을 막아주는 방풍림, 홍수를 막아주는 제방림 역할을 하여 마을 뿐 만아니라 농경지를 보호해 줍니다. 이는 과거 농경사회에서 마을사람들의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매우 절실한 문제였습니다. 마을숲에는 다양한 마을신앙이 존재하며 마을공동체 역할도 합니다. 마을숲에는 당산나무와 돌탑, 거북신앙 등 마을신앙 유형이 입니다. 이러한 마을신앙은 마을숲을 오랫동안 보호, 보존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보존될 수 있었던 중요한 시스템은 마을숲의 토지 소유가 마을 공동 소유라는 점입니다.
마을숲은 마을 역사와 함께하며 현대사의 굴곡진 역사를 지켜보았습니다. 마을숲은 마을이 형성 될 무렵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특히 일제 강점기와 한국전쟁, 새마을운동 무렵에 마을숲이 수난을 당합니다. 일제 강점기에 많은 마을숲이 수난을 당합니다. 당시 선박을 제조할 수 있는 커다란 나무들이 베어져갔습니다. 새마을운동 때에는 마을에 전기나 다리를 놓기 위하여 마을숲 일부가 잘려져 나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머지 나무가 자라 오늘날 마을숲을 이루어 놓았습니다. 그래서 오늘날 마을숲의 나무들이 크지 않은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물론 요행이 살아남은 커다란 나무는 당산나무로 모셔지고 있습니다.
진안 마을숲이 국가 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 신청을 한 중요한 요인은 마을숲이 농경사회에서 마을사람과 함께 해 왔다는 점입니다. 요즘 마을숲을 생태 환경적으로 관점에 의하여 많은 연구 성과가 이루어졌는데 바람을 막아주거나 논밭에 거름(낙엽)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여 농업생산성이 증대된다고 합니다. 마을숲에서 표고버섯 재배를 흔히 볼 수 있는데 이는 일정한 온도와 습도다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마을숲 내에는 야생화, 곤충, 조류 등 생물 다양성이 제대로 보존된 곳이기 때문입니다. 진안지역에서는 일찍이 마을숲 보존 관리 지원조례 제정, 마을숲 해설사 양성학교, 마을숲 복원 작업 등이 이루어져 마을숲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 고양시켰습니다. 이미 지정된 국가중요농업유산에 비해 결코 뒤지지 않는 진안 마을숲이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되어 지역의 브랜드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마령고 교사
'이상훈마을숲'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북 섬 산악회와 해송 숲 (0) | 2015.12.28 |
---|---|
마을숲의 형성 기원과 기능 (0) | 2015.12.14 |
마이산 주변 가을 마을숲 (0) | 2015.11.16 |
‘백범 명상 길’ 소나무 숲 (0) | 2015.11.02 |
장수 원송천 마을숲 (0) | 2015.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