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7년 무성서원(사적 제166호)에서 떠났던 최치원 초상화 1점이 47년 만에 돌아온다.
이는 무성서원이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기다리고 있는 시점이어서 더욱 의미 있는 일로 받아 들여 지고 있다.
시 관계자는 “최근 국립중앙박물관에 장기대여 형식으로 대여를 요청하면서 오는 17일 1831년 제작된 초상화가 국립중앙박물관으로부터 정읍으로 오게 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무성서원(원장 이치백)은 “ 최치원 영정 환안(還安)은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앞두고 있는 무성서원의 역사에 한 획을 긋는 일”이라며 “47년 만의 환안을 기념키 위해 오는 17일 오후 2시 30분에 무성서원에서 ‘환안고유제’를 거행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정읍시립박물관은 개편된 상설전시실에 초상화 원본 2점과 영인본 2점을 교체 전시해 17일부터 한 달간 일반인에게 공개키로 하고. 이후에도 매년 1개월씩 공개할 방침이다.
최치원(857~?)선생은 통일신라시대 886년 태산군(현 칠보.태인 지역)태수로 부임, 선정을 펼치고 호남유교문화의 꽃을 피웠다.
시에 따르면 당초 무성서원에 보관돼 있던 최치원 초상화는 모두 3점으로 1784년 하동 쌍계사에서 이관한 1점(고려시대 제작 추정), 무성서원에서 1831년 경에 제작한 1점, 그리고 1924년 석지 채용신이 모사한 1점(현재 정읍시립박물관에 기탁 보관) 등이며, 세 점 중 두 초상화는(고려시대, 1831년) 문화재 지정과 보존처리를 위해 1967년 문화재 위원 김상기(당시 무성서원 원장)와 최순우에 의해 옮겨졌으나 지정되지 않았으며 이후 1831년 초상화는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고 다른 한 점은 지금까지도 행방이 묘연하다.
이와 관련 무성서원은 지난 1992년부터 1967년 무성서원을 떠난 초상화를 반환해 줄 것을 국립중앙박물관에 요청해 왔다.
2010년 도내 한 방송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이 대대적으로 다뤄졌으며 2011년에는 영정반환 촉구 시민 서명운동이 전개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차용증 등 객관적 증거가 없기 때문에 돌려줄 수 없으며 반환청구 소송시 판결에 따라 반환이 가능하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한편 시립박물관은 지난해 4월에 고운 최치원을 테마로 한 ‘외로운 구름, 태산에 깃들다.’란 주제로 특별전을 개최한 바 있으며, 올해도 7월에는 상설전시실에 최치원 코너를 확대 개편하고 영인본을 제작하는 등 최치원 초상화를 전시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한 바 있다.
'한국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장산 (0) | 2014.12.28 |
---|---|
전라금석문연구회. 문자와 탁본전 (0) | 2014.12.25 |
1933년 전주청학루의 모습은? (0) | 2014.12.01 |
전북산재 이순신스토리와 문화상품 알아보니 (0) | 2014.08.10 |
전주용머리고개,시로 보듬다 (0) | 2014.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