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진돈편액

남원 사계정사

 

 

 

 

 

 

 

 사계하면 김장생만 생각하는데 남원에도 유명한 사계 방응현이 있다. 그가 후학을 가르쳤던 학당을 사계정사라 이름하고 있다.
 정사의 위치는 남원에서 금지쪽으로 가다 주생면의 면소재지인 서만마을에서 북쪽으로 1키로미터쯤 가면 유매(楡梅)마을에 있다. 유매마을은 유촌(楡村)과 매안(梅岸)마을이 합쳐지면서 생긴 이름으로 남양 방씨의 집성촌이다.
 유매마을에는 사계정사만 있는 것이 아니라, 유천서원(전북문화재자료 제52호) 유허지가 있다. 이 서원은 원래 1830년(순조 30) 지방유림들에 의해 창건되었는데, 방사량(房士良)을 중심으로 방귀온(房貴溫)·안탁(安琢)·방응현(房應賢)·안창국(安昌國) 등 5현이 봉안되어 있었다. 그러나 1868년(고종 5) 서원철폐령에 의해 철거되었고, 1909년에는 후손들이 옛 서원 자리에 ‘5현서원유허비(五賢書院遺墟碑)’를 세웠다.
 사계정사는 유천서원에 모셔진 사계 방응현(房應賢, 1524-1589)이 지은 정자이다. 호를 사계라 한 것은 정사의 주위를 흐르는 냇물 이름을 땄기 때문이다. 이 서원이 구체적으로 언제 처음 건축되었는지는 모른다.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졌던 것을 1609년 방응현의 손자 만오(晩悟) 방원진(房元震:1577-1649)이 다시 지은 것이다. 이것이 중수와 개축을 거듭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현재의 정사는 1863년에 중수한 것이다. 
 사계정사는 2단의 화강암 기단 위에, 다소 화강암으로 된 주춧돌을 세우고 그 위에 정면 3칸, 측면 2칸의 집을 짓고 팔작지붕 얹었다. 호남지방의 일반적인 정자 양식을 따라 가운데 방 한 칸이 있고, 그 방의 사면으로는 마루를 깔았다. 문은 모두 쌍여닫이로 되어 있으며 띠살문이다.
 이곳을 배경으로한 사계정사도(沙溪精舍圖)가 있는데, 이는 17세기 초에 그린 것으로 명주에 그린 수묵산수화다. 즉, 방응현의 손자인 방원진은 조부가 은거하던 곳에 사계정사를 새로 짓고 그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화공을 시켜 그림을 그리게 했다.
 고려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사계정사도'가 그것이다. 그림의 제목은 다채로운 전서체를 사용했으며, 아래에 발문과 시는 상촌 신흠이 지었는데 내용을 간추려 본다.
“사계는 산수가 수려하여 한 지방에서 으뜸가고, 방씨는 학문을 닦고 덕을 쌓아 한 지방에서 빼어난 자가 되었으니, 대개 이른바 신령스럽고 수려한 땅에 인걸이 난다는 것이다. 상상하건대, 그는 시냇가 수풀 사이에서 휘파람을 불고 노래하며 자유자재로 놀던 날아갈 듯한 신선 중의 한 사람이었을 것인데, 지금은 볼 수가 없다. 그의 손자 원진이 병화 뒤에 유업을 잃지 않고 조그마한 집을 지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 신흠이 방응현의 고고한 인품을 아래 시로 표현하였다.

 

옛 사람 남긴 터에 작은 집 지어,
풍류의 옛 자취를 이어 받았네.
산빛은 해맑게 창가에 들고,
물빛은 멀리 허공에 닿았네.
더부룩한 대밭에 봉황이 깃들고,
서린 소나무는 용이 되려하네.
고고한 사람 어찌 볼 수 있을꼬?
슬픈 마음으로 그림 속을 바라본다네

 

사계정사 들아가는 입구에는 사계방선생정사중수비가 오는 길손님을 반갑게 맞아주고 있으며, 정사 안으로 들어가면 사방팔방에 편액과 주련이 즐비하게 걸려 있다. 단번에 옛 선비들의 문향을 느낄 수 있으며 자세히 찬자와 서자를 본다면 더욱 유명한 인사가 많아 놀나지 않을 수 없다.
 월사 이정구가 지은 사계정사기, 손자 준기가 지은 제사계정사창수록후(題沙溪精舍唱酬錄後), 송환기가 지은 서사계정사창수록후(書沙溪精舍唱酬錄後), 12대손 진기가 지은 사계정사중수기, 홍직필이 지은 사계방공실기서(沙溪房公實記序)가 있다.
 시판으로는 송파 이해창, 소암 임숙영, 수색 허적, 쌍천 성여학, 일제 이항, 면앙정 송순, 소재 노수신, 남명 조식, 월사 이정구, 반환 홍천경, 기와 정홍영 등이 있다. 정말로 대단한 인물들의 시와 문장을 볼 수 있다.   방응현은 남원 서부지역에 거주하면서 일재와 남명의 문하에 공부하고, 노수신, 이항, 송순, 조희문, 백광훈, 이달, 조희일 등과 교유한 만큼 남원문화에 크게 기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김진돈 전라금석문연구회장. 전북문화재 전문위원

'김진돈편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제 요교정사  (0) 2014.11.24
정읍 영주정사  (0) 2014.11.10
고창 매월정   (0) 2014.09.29
정읍 청계정  (0) 2014.09.15
익산 승운정  (0) 2014.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