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전주박물관 곽동석 관장 취임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인사발령에 의해 2011년 01월 10일자 국립전주박물관장으로 신임 곽동석(郭東錫, 54세, 사진)관장이 발령받았다.
신임 관장은 부산 출생으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부속대학원(미술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1984년부터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했다.
주요경력은 1991년 학예연구관으로 승진하여 재직하면서 국립청주박물관장, 국립중앙박물관 전시팀장과 미술부장 등을 역임하였다. 특히 1997년 1월부터 1999년 11월까지 국립전주박물관 학예연구관으로 근무하며 전주와 특별한 인연을 쌓았다.
붙임 : 신임 국립전주박물관장 업무 및 연구 성과 1부.
신임 국립전주박물관장 업무 및 연구 성과
<현대적 박물관의 새로운 운영 모델 제시>
❍ 전통문화 정체성 확립을 위한 다양한 주제의 특별전 기획
전시장소 |
연도 |
전시명칭 |
비고 |
국립 중앙박물관 |
2007 |
부처 그리고 마음-사경변상도의 세계 |
|
2008 |
영원한 생명의 울림-통일신라 조각 |
| |
2009 |
고려 왕실의 도자기 |
| |
2009 |
붓끝에 펼쳐진 천지조화-겸재 정선 |
| |
2010 |
백자 항아리-조선의 仁과 禮를 담다 |
| |
2010 |
이인상의 서화 |
| |
2010 |
고려불화 대전-700년만의 해후 |
|
<고려불화 대전-700년만의 해후> 기획 및 개최 ㅇ 우리나라 박물관 역사 100년 이래 최대․최고의 전시로 평가 ㅇ 일본, 미국, 러시아, 프랑스, 독일 등 국외 소재 66점을 포함하여 고려불화 최고의 정수 108점 전시(2008년부터 2년 이상 국외출품기관 대여 교섭) ㅇ 35일간이라는 짧은 전시기간에도 불구하고 9만명에 이르는 관람객 유치(일일 2,600여명 관람) |
❍ 세계문명을 주제로 한 특별전 개최
- <낙양문물특별전>(국립전주박물관, 1998)
- <황금의 제국- 페르시아> (국립중앙박물관, 2008)
- <이집트문명전-파라오와 미라>(국립중앙박물관, 2009)
❍ 박물관의 지역 대표 문화공간화, 문화쉼터화
- 봄꽃문화축제(국립공주박물관 2000~2003), 봄문화축제(국립청주박물관 2005~2007) 개최 → 박물관 문턱낮추기, 시민과 함께하는 친근한 박물관상 정립(“만남의 박물관”)
- 지역문화 정체성 규명을 위한 특별전 개최로 자긍심 고취
※특별전 <경주 남산>(경주 1992), <군산>(전주 1997), <백제 사마왕>(공주 2001), <무심천의 사람들>(청주 2006) 등 기획
<연구직 공무원으로서의 관련학문 발전에 기여>
❍ 활발한 조사․연구로 박물관 연구기능 강화에 기여
- 경북지역 불교유적 조사사업(국립경주박물관, ’92~’96)
- 경주 남산 종합조사사업(국립경주박물관, ’95)
- 전라북도 불교유적 조사사업(국립전주박물관, ’00)
- 한국미술 기원 조사(미술부, ’08~’10)
❍ 관련 연구자 및 일반인을 위한 한국 불교조각 교양서 발간수
- ������KOREAN ART BOOK-금동불������, ������한국美의 재발견-불교조각������ , ������돌의 미를 찾아서������등 8권
❍ 한국 불교미술, 특히 불상 관련 연구 논문 지속적 발표
- 「金銅製一光三尊佛의 系譜 -韓國과 中國 山東地方을 中心으로-」, 「高句麗彫刻의 對日交涉에 관한 硏究」 등 32편
우리문화재 연구 성과 국외 발표 및 국제 심포지움 개최
❍ 연구 성과 일본, 미국 등 국외 발표
- 「韓國の佛敎美術」, 「Korean Gilt-Bronze Single Mandorla Buddha Traids and the Dissemination of East Asian Sculptural Style」(Japan Society) 등 논문 3편/저서 1권
❍ 우리문화재 국외 홍보를 위한 국제심포지움 개최
- 한국, 중국 초상화 비교연구 및 발표를 통한 한국미술 기원 탐색을 위한 심포지엄 <경계를 넘어서> 개최(’09.5)
- 고려불화와 동아시아 불화와의 관계를 고찰한 <동아시아 불화와 고려불화> 국제심포지움 개최(‘10. 10)
※ 독일, 일본, 러시아 등 관련 학자 8명 발표/한국내 개최된 국제학술심포지움 사상 최대 청중 입장(1,050명)
❍ 동아시아 반가사유상 한․일 공동조사연구
- 한․중․일 반가사유상의 특징과 상호 영향 관계 규명 조사(’09~’12)
이 력 서 | ||||||
성 명 |
곽 동 석 (郭東錫)������ |
| ||||
| ||||||
생년월일 |
1957 년 1월 28일 부산 출생 | |||||
년 월 일 |
학 력 및 경 력 사 항 |
발 령 청 | ||||
|
|
|
<학 력 사 항> |
| ||
1975 1982 |
3 2 |
|
부산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문학사) |
| ||
1982 1985 |
3 2 |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부속대학원 미술사학과(문학 석사) |
| ||
1996 1998 |
3 8 |
|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과정(수료) |
| ||
|
|
|
<가족사항> 처, 모, 자(2녀) |
| ||
|
|
|
<경 력 사 항> |
| ||
1984 |
2 |
1 |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연구원 |
국립중앙박물관 | ||
1987 |
7 |
23 |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실 미술부 학예연구사 |
문화부 | ||
1991 |
10 |
1 |
국립경주박물관 학예연구실 학예연구관 |
문화부 | ||
1997 |
1 |
15 |
국립전주박물관 학예연구실 학예연구관 |
문화체육부 | ||
1999 |
11 |
22 |
국립공주박물관 관장 |
문화체육부 | ||
2005 |
1 |
14 |
국립청주박물관 관장 |
문화관광부 | ||
2007 |
6 |
25 |
국립중앙박물관 교육문화교류단 전시팀장 |
문화체육관광부 | ||
2008 |
11 |
7 |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실 미술부장 |
문화체육관광부 | ||
2010 |
12 |
8 |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실 연구기획부장 |
문화체육관광부 | ||
2011 |
1 |
11 |
국립전주박물관 관장 |
문화체육관광부 |
2011년도 주요 업무 계획 |
2011. 1.
국립전주박물관
국립전주박물관 2011년도 주요업무 |
|
《2011년도 운영 목표》 |
|
|
| |
������ 다양하고 내실 있는 전시를 통한 고객 만족 ������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운영 ������ 복합 문화 기능 강화로 문화 여가 쉼터화 ������ 소장품의 체계적인 관리 및 보존처리 강화 ������ 지역 문화 정체성 규명을 위한 연구 역량 강화 ������ 박물관 외연 확대를 위한 국내․외 교류 활성화 |
○ 미술실․민속실․석전기념실 특집전시
- 기존 상설전시품 교체 확대하여 계기에 따른 주제 설정
연번 |
전시실 |
특집전시 주제 |
전시 기간 |
주요 전시품 |
1 |
미술실 |
전북의 서예 |
2.1.~5.22. |
창암 이삼만 글씨 등 10여 점 |
2 |
미술실 |
전북의 사군자 |
5.24.~9.25. |
유하필 묵죽도 등 10여 점 |
3 |
미술실 |
전북의 초상화 |
9.27.~′12.1.29. |
강응환 초상화 등 5점 내외 |
4 |
민속실 |
옛 사람들의 과거 답안지 |
12.20.~′12.12.9. |
시권 등 5점 내외 |
5 |
석전기념실 |
석전의 한글 글씨 |
12.6.~′12.12.16. |
‘정치적 이상’ 등 10여 점 |
○ 고대문화실 등 상설전시실 전시품 교체: 정례화
연번 |
전시명칭 |
전시 기간 |
주요전시품 |
언론공개회 |
1 |
신묘년 새해맞이 작은 전시, 토끼 |
1.4.~2.13. |
십이진신도 등 4점 |
|
2 |
석지 채용신, 붓으로 사람을 만나다 |
2.15.~3.27. |
권기수 초상 등 40점 |
2.14(월) 11:00 |
3 |
금강유역의 새로운 힘 |
4.19.~6.5. |
신풍출토 동경 등 100점 |
4.18.(월) 11.:00 |
4 |
전북의 역사문물전Ⅹ-임실 |
7.5.~9.18. |
진구사지 철불등 200점 |
7.4.(월) 11:00 |
5 |
일본 자매관 교류 20주년 기념 전시 일본 에도시대의 사회와 문화 |
10.18.~11.27. |
다이묘 행렬도 등 130점 |
10.17.(월) 11:00 |
6 |
보존 문화재 전시 |
11.29.~‘12.1.8. |
신규 보존처리 문화재 |
|
○ “석지 채용신, 붓으로 사람을 만나다”
- 전시기간: 2.15.(화)~3.27.(일)
- 언론공개회: 2.14.(월) 11:00
- 전시내용: 채용신(1850~1941) 서거 70주기 기념 전시
- 전시품: 권기수 초상 등 40여 점
○ “금강유역의 새로운 힘, 2100년 전 완주의 청동기와 철기”
- 전시기간: 4.19.(화)~6.5.(일)
- 언론공개회/개막식: 4.18.(월) 11:00/15:00
- 전시내용: 전북지역 발굴 속보전
- 전시품: 완주 신풍유적 출토 동경 등 100여 점
※ 호남문화재연구원과 학술연구 협약 체결: 2.14.(월)
○ 전북의 역사문물전Ⅹ “임실”
- 전시기간: 7.5.(화)~9.18.(일)
- 언론공개회/개막식: 7.4.(월) 11:00/15:00
- 전시내용: 전라북도 지자체의 역사와 문화를 살펴보는 시리즈 전시
- 전시품: 임실 진구사지 철불 등 200여 점
○ 일본 자매관 교류 20주년 기념 전시 “일본 에도시대의 사회와 문화”
- 전시기간: 10.18.(화)~11.27.(일)
- 언론공개회/개막식: 10.17.(월) 11:00/15:00 ※일본 이시카와현 지사 참석
- 전시내용: 이시카와현립역사박물관과 자매교류 20주년 기념 전시
※ 일본 이시카와현: 전라북도와 자매도시
- 전시품: 다이묘행렬도 등 130여 점
프로그램명 |
구 분 |
내 용 |
기간 |
횟수 |
참가 | |
1 |
박물관 학 교 |
어린이 |
미래의 문화 인재 양성을 위한 어린이 박물관 체험 ․유물 속 역사읽기: 매월 둘째 토요일 ․고고씽!어린이박물관학교: 박물관 탐구 체험활동 |
연중 |
10 |
720 |
청소년 |
․제2기 청소년 큐레이터: 고등학생 대상 심화과정 ․대학생 직장체험: 지역 내 유관기관과의 협업 |
연중 |
17 |
520 | ||
2 |
박 물 관 함께 보기 |
유초중고단체 |
학급 및 학교 단체의 전시실 감상과 전통문화 체험 ․전통문화 체험교실 3종 ․박물관 현장학습: 150명 이상 ․터치뮤지엄 가이드 |
연중 |
120 |
7,000 |
영유아단체 |
그림자연극을 통한 전시실 유물 경험 ․박물관 이야기숲 |
연중 |
12 |
600 | ||
군인단체 |
우리관 대표유물 5선에 대한 이해와 감상 ․작전코드명M |
연중 |
14 |
600 | ||
3 |
교 사 연 수 |
초등교사 |
박물관 활용 학교 교육 강화를 위한 교사 워크숍 ․초등교사 직무연수 |
여름 방학 |
1 |
40 |
유치원교사 |
유치원교사를 위한 박물관 활용 방안 워크숍 ․박물관 활용 워크숍 |
3월 |
1 |
40 | ||
교장선생님 |
학교장의 박물관 이해 도모 등 ․교장선생님 박물관 나들이 |
4월 |
2 |
80 | ||
4 |
박 물 관 무지개마을 |
다문화이해 |
외국인, 다문화가정아동 대상 프로그램 ․박물관 무지개마을 |
연중 |
3 |
90 |
장애인 |
소리극을 통한 시각/지체장애인 유물오감체험 ․생애 처음 느낀 유물 |
연중 |
8 |
120 | ||
찾아가는 박물관 |
장기 입원 아동 환자, 결혼이주여성 대상 |
연중 |
2 |
100 | ||
5 |
박물관 플러스 |
토요 특강 |
지역민들의 역사문화예술 관련 교양 강연 |
4월~10월 4주 토 |
7 |
1,050 |
인턴십 |
박물관 교육 전문인력 양성 훈련과정 |
연중 |
- |
4 | ||
6 |
전 시 연 계 |
상설전시 연계 |
계층 별 전시실 활동지 활용 전시 감상 ․미술실 보물찾기 등 3종 |
연중 |
80 |
4,500 |
기획전시 연계 |
전시와 소통할 수 있는 대상별 교육 실행 ․자매관 교류 20주년 전 관련 4종 |
10.12.~ 12.5. |
4 |
2,000 | ||
7 |
박 물 관 징검다리 |
체험학습실 |
지역의 문화유산 체험 활동 공간 ․개인 및 가족 상설 체험 |
연중 |
|
45,000 |
8 |
터 치 뮤 지 엄 |
시각장애인을 위한 유물 오감체험 공간 ․시각장애인 음성안내 시스템 구축 |
연중 |
|
22,000 | |
|
총 27종, 291회, 84,464명 |
야간개장 프로그램: 3월~10월, 매주 토요일 21:00까지 연장 개관
○ 문화 예술 공연 및 영화 상영: 월 1~2회 17:00 /그림자 쇼 등
○ 큐레이터와의 대화: 1, 3주 토요일 18:00~19:00
○ 계기별, 계층별 문화 행사 개최: ‘작은문화축전’ 등
○ 어린이 문화재 그리기 대회, 벽지 어린이 초청 문화 체험 실시: 5월
○ 정보자료실 활성화: 자료 확충 및 대민 서비스 강화
○ 누리집 콘텐츠 확충 및 장애인 웹접근성 강화
○ 터치뮤지엄 내 시각장애인용 음성안내시스템 구축
○ 미등록품 등록: 5,345점
※ 국립중앙박물관 미등록품 등록 사업 3,345점 포함
○ 국가귀속발굴매장문화재 인수: 3,000점
○ 위탁 및 대여품의 체계적 관리: 전주역사박물관 등 9개 기관
○ 기증․기탁․발견․압수문화재 관리
○ 금속제․도토제품, 민속품 등 보존처리: 190점
○ 지류 소장품 표갑 및 금속품 진공 포장: 150점
○ 전시실․수장고 보존 환경(온․습도, 조도 등) 유지 및 소독
○ 유기물 보관 수장고(6수장고) 훈증소독: 3월 중
○ 목적: 최근 발굴 성과를 반영한 전북지역의 마한문화 자료 집대성
○ 조사 대상: 완주 갈동, 신풍 등 초기철기문화 관련 유적과 유물
○ 자료집 발간: 2012년 6월 예정
○ 목적: 전북 출토 금동불 및 철불의 성격 규명을 위한 과학적 조사
○ 조사 대상: 박물관, 사찰 소장 금동불 및 철불
○ 조사 내용: X-ray 촬영, XRF 분석(비파괴 정성․장량분석),
3D 촬영, 타지역 출토품과 비교 연구
○ 자료집 발간: 2012년 12월 예정
○ 목적: 전북 출신 서화가의 신자료 발굴
○ 조사 대상: 채용신, 이정직 등 대표적인 서화가 계보 및 작품 조사
○ 자료집 발간: 2012년 11월 예정
※ 전라북도 박물관․미술관 협의회 지원 강화
○ 제3회 전북지역 학예 인력 전문 교육
- 개요: 전북지역 박물관, 미술관, 지자체 학예인력 전문 교육
- 개최 일자: 7.21.(목)~7.22.(금)
○ 전라북도 박물관, 발굴 기관 보존 처리 지원: 방문 처리
○ 전라북도 박물관 소장품 훈증소독 및 유물 관리 지원: 방문 지도
○ 일본 이시카와현립역사박물관
- 자매교류 20주년 기념 전시 개최
- 전라북도-이시카와현 교류 10주년 연계 문화 행사 개최
○ 중국 소주박물관: 연구원 교류 실시
'아름다운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의 독립운동가 강기동선생 (0) | 2011.02.06 |
---|---|
입춘축 나눠드려요 (0) | 2011.01.31 |
전북시인상 심옥남 시인 (0) | 2011.01.09 |
1월의 독립운동가 신현구선생 (0) | 2010.12.31 |
전주대 ‘제1회 인터랙티브 미디어 기획캠프 개최 (0) | 2010.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