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스토리

선조들의 피서법을 공개합니다

 

 

 경남 거창 사람들의 피서법은 ‘거창(居昌)’하다 못해 정말로 ‘거창(巨創)’하다. 연극을 통해 5대양 6대주 지구촌 사람들을 한곳에 불러 모으는 아주 큰 피서지를 꿈꾸고 있기 때문이다.

 거창국제연극제는 거창군 위천면 대정리 황산마을 수승대 야외무대에서 매년 여름 무렵 막이 올라 관객들이 시원하다 못해 한기까지 느끼게 할 정도의 계곡에 발을 담근채 화려한 자연 속에서 초롱초롱 빛나는 여름밤의 별을 벗삼아 연극에 빠지다 보면 더위를 느낄 겨를마저 잊게 만든다.

 경남 거창은 바람소리마저 빚어내는 산고장수(山高水長)의 고을이요, 요산요수(樂山樂水)의 고장으로, 덕유산과 가야산, 지리산을 지척에 거느리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모두는 자연의 일부, 이 여름이면 상념에 짙은 초록숲으로 몸을 내던진다. 연극을 보면서 텐트를 치고 은하수 아래에서 밤을 보내도 좋은 일이거니와 이것도 저것도 아니라면 당일치기로 놀다 오는 것도 꽤나 좋은 일이리라.

 개울가에서 아이들이랑 피라미를 잡고, 폭포수에 등목도 하고 잠자리를 잡으면서 이내 ‘숲의 공기’엔 청향(靑香)이 깃들어있다는 이치를 깨닫는다.

  숲의 향기에 취해 문득, 선잠에 빠진다. 나는 한 그루의 나무로 변신한다. 나이 먹어 편히 기댈 수 있고, 외로운 날이면 낙엽 하나 발밑에 깔아줄 법한 소담한 나무 한 그루를 오늘 이 순간, 지금부터 키우기로 결심한다.

 에어컨도 선풍기도 없던 시절, 우리 선조들은 어떤 방법으로 더위를 쫓았을까. 조선 후기 실학자 다산 정약용이 쓴 '다산시문집'에 보면 8가지 피서법이 나온다.

△깨끗한 대자리에서 바둑두기 △소나무 단(壇)에서 활쏘기 △빈 누각에서 투호놀이 △느티나무 그늘에서 그네뛰기 △서쪽 연못에서 연꽃 구경 △동쪽 숲속에서 매미 소리 듣기 △비오는 날 시 짓기 △달 밝은 밤 발 씻기 등이 그것이다.

 마지막 추천법인 '탁족'은 '탁영탁족(濯纓濯足)'이란 고사성어에서 나온 말로, 갓끈과 발을 물에 담가 세속에 얽매이지 않고 자연에 순응하며 살겠다는 인격 수양의 의미도 있었다.

 계곡물에 발을 담근 선비가 바람에 머리카락을 말리는 모습을 그린 조선 중기의 화가 이경윤의 ‘고사탁족도’가 바로 탁족화이다. 탁족이란 말에는 ‘군자는 벼슬의 진퇴를 신중하게 선택할 줄 알아야 한다’는 뜻도 내포되어 있다.

 깊은 산 속에서 그곳(?)을 드러내고 볕을 쬐는 ‘풍즐거풍(風櫛擧風)’은 과학적이면서도 여유로운 선비들의 피서법이었다.

 이인상, 윤두서 등 조선 후기의 이름난 문인화가들이 즐겨 그린 ‘송하관폭도’에는 폭포수 아래서 더위를 식히고 있는 선비의 모습이 잘 묘사돼 있다.

 요즘처럼 바람 한 점 없는 열대야 때문에 잠을 설칠 때, 옛 사람들은 바람 잘 통하는 뜰이나 마당에 두어 자 쯤 높이의 평상을 내어다 댓자리나 돗자리를 깔고 잠을 청했다.

 지체높은 선비들은 사랑방에서 체온이 뜨거운 마나님 대신 대줄기를 엮어 긴 원통형으로 짜 만든 `죽부인'을 껴앉고 잤는데 허전함을 덜 뿐 아니라 대나무의 서늘한 기운과 통풍이 잘돼 쉽게 잠에 빠지곤 했다.

 어떻게 하면 세속의 시름을 잊고 이 무더위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까. 수승대는 삼국시대 때 백제와 신라가 대립할 무렵 백제에서 신라로 가는 사신을 전별하던 국경지대로, 처음에는 돌아오지 못할 것을 근심했다고 해서 ‘근심 수(愁)'자에, '보낼 송(送)'자를 써서 처음엔 ‘수송대(愁送臺)’라고 했다.

 자신의 목숨을 건 행차. 살아서 돌아올 것이라는 희망도 없이 떠났을 것인데, 과연 저 아름다운 모습이 또랑또랑한 눈망울에 들어왔을까.

 ‘수송대’는 ‘속세의 근심 걱정을 잊을 만큼 승경이 빼어난 곳’이란 뜻으로, 불교의 이름에 비유되기도 한다.

 1543년(중종 38년) 퇴계 이황선생이 마리면 영승촌의 장인(권질)댁에 머물다 떠나면서 그 내력을 듣고 이름이 아름답지 못하고 수송과 수승이 소리가 같으므로 수승대(搜勝臺)로 고칠 것을 권하는


‘수승이라 대 이름 새로 바꾸니 봄 맞은 경치는 더욱 좋으리다. 먼 숲 꽃망울은 터져 오르는데 그늘진 골짜기엔 봄 눈이 희끗희끗. 좋은 경치 좋은 사람 찾지를 못해 가슴 속에는 회포만 쌓이는 구려. 수승이라 대 이름 새로 바꾸니 봄 맞은 경치는 더욱 좋으리다’


 사율시를 보내면서 요수 신권(1501~1573)선생이 대의 면에 새김에서 비롯됐다.


‘자연은 온갖 빛을 더해 가는데 대의 이름 아름답게 지어 주시는도다. 좋은 날 맞아서 술동이 앞에 두고 구름같은 근심은 붓으로 묻어둔다. 깊은 마음 귀한 가르침 보배로운데 서로 떨어져 그리움만 한스러우니 속세에 흔들리며 좇지 못하고 홀로 벼랑가 늙은 소나무에 기대 어본다’

 


 맑은 계류가 넘쳐나는 이승 최고의 무릉도원이 수승대다. 경내에는 구연서원, 내삼문, 관수루, 전사청, 요수정, 산고수장비, 암구대, 500년생 은행나무, 현수교 등이 바위와 계곡과 어우러지면서 수려함을 뽐낸다.

 수승대 유원지 안에 자리한 구연서원은 1694년(숙종 20년)에 지방 유림이 요수 신권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신권이 제자를 가르치던 구주서당 자리에 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구연서원의 앞뜰에는 관수루가 있다. 자연과의 조화라는 한국 건축의 가장 큰 특징을 잘 보여주고 누정 건축의 모범이라 할 만큼 입면의 비례가 뛰어나 학술적 가치가 높다.

 ‘관수(觀水)’라는 뜻은 ‘맹자’의 ‘진심장(盡心章)’에 연유한 것으로,


 ‘물을 보는 데(觀水) 방법이 있으니, 반드시 그 물의 흐름을 보아야 한다. 흐르는 물은 웅덩이를 채우지 않고는 다음으로 흐르지 않는다(流水之爲物也 不盈科不行)’


는 글에서 따온 이름이다.

 세상을 보는 일, 나 자신을 추스르는 방법을 일러주는 말씀인 셈이다.

 '물을 보고 마음을 씻고(觀水洗心) 꽃을 보면 마음을 아름답게 하라(觀花美心)’란 글귀를 마음에 새겼을 것이란 생각이다.

 

김득신 '강변회음도'의 숨은 아이


어른들의 천렵에 아이는 왜 끼지 못했을까
나무 뒤 어른 눈치보는 아이 천차만별 인물들 표정에 해학적인 서민의 삶 묻어나
여섯빛깔 문화이야기

 
  김득신의 '강변회음도'. 종이에 담채, 22.4×27.0㎝, 조선시대, 간송미술관 소장.
현대인에게 피서는 휴식으로 통한다. 일상의 공간에서 벗어나 낯선 곳에서 놀고 먹으며 스트레스를 푸는데 피서의 의미가 있다. 이와 달리 선조들의 피서는 '수신(修身)'과 '보신(補身)'의 의미였다. 멀리 떠나기보다 일상에 약간의 변화를 주는 방식으로 더위를 피했다. 시원한 폭포를 관조하는 '관폭', 찬물에 발을 씻는 '탁족', 책을 접하며 더위를 잊는 '독서', 냇물이나 강에서 고기를 잡으며 노는 '천렵', 폭포에서 떨어지는 물을 맞는 '물맞이' 등으로 헐거워진 심신의 기운을 추슬렀다. 그런데 선비와 서민들의 피서법에는 차이가 있다.

선비들에게 피서는 단순히 더위를 피하기 위한 행위가 아니다. 시원한 물과 그늘에서 더위를 식히되 수양도 겸한 것이었다. 혼자서도 즐길 수 있는 '탁족'과 '독서'가 대표적 피서법이다. 반면에 서민들의 피서는 마음의 수양보다는 보신이 중심이었다. 쇠약해진 기운을 보충하기 위해 먹고 마시는 데 치중했다. '천렵'도 그중의 하나다.

천렵과 가마우지 낚시

긍재 김득신(1754~1822)의 '강변회음도'에는 천렵 광경이 실감나게 담겨 있다. 그림을 보면, 바람이 시원한 강가에 물고기 한 마리를 중심으로 6명의 어른이 둘러 앉아 있다. 그리고 잔심부름을 하는 아이와 나무 뒤에 숨어 있는 아이가 등장한다. 어른들은 물고기에 젓가락을 대는 사람, 살점을 입에 넣거나 탁주를 마시는 사람, 양념을 준비하는 사람, 한 쪽에서 다리를 모은 채 홀로 앉은 사람 등 표정이 제각각이다.

이들 뒤로 정박해 있는 배에는 다섯 마리의 새가 대나무에 앉아 있다. 그런데 이상하다. 새들이 전혀 사람을 두려워하지 않는 폼이다. 왜 그럴까? 검은색과 부리의 모양으로 봐서 새들은 어부가 기르는 가마우지 같다. '물매'(물에 사는 매)라고도 불리는 가마우지는 예로부터 고기잡이 도구이기도 하다. 가마우지 낚시 방법은 간단하다. 가마우지의 목을 끈으로 묶은 뒤 강에 풀어둔다. 그러면 가마우지가 물고기를 잡되 삼키지는 못한다. 이때 부리에서 물고기를 꺼내면 된다. 지금 어른들이 먹고 있는 물고기도 가마우지 낚시로 잡은 것 같다.

아이는 왜 숨어 있을까?

뿐만 아니다. 그림에는 흥미로운 등장인물이 있다. 오른쪽 나무 뒤에 숨어 있는 아이다. 어른들의 시선이 물고기를 향해 있는데, 이 아이의 시선은 방향이 다르다. 그가 지금 보고 있는 사람은 오른쪽의 어른이다. 누구일까? 그들은 어떤 관계일까? 아버지와 아들일까? 무슨 잘못을 저지른 것일까? 아이는 이 어른 때문에 나무 뒤에서 눈치만 보고 있다.

그런데 이런 아이를 보고 있는 시선이 있다. 역시 뒷모습으로 앉아 있는 맨 앞쪽의 아이다. 숨어 있는 아이와 동떨어진 어른, 그리고 뒷모습의 아이, 이들의 묘한 관계가 그림에 재미를 더한다. 게다가 그 재미는 두 그룹의 역학관계에서도 발생한다. 무슨 말인가 하면, 이 그림의 등장인물은 크게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물고기를 중심으로 모여 있는 다섯 명의 어른이고, 다른 하나는 숨은 아이를 중심으로 구성된 어른과 아이다. 이들은 같은 장소에서 다른 분위기를 연출한다. 한쪽은 흥겹고, 다른 한쪽은 심각하다. 이 이질적인 표정의 공존이 은근한 해학성을 부추긴다.

긍재는 단원 김홍도, 혜원 신윤복과 더불어 조선 후기의 3대 풍속화가로 꼽힌다. 도둑고양이가 병아리를 물고 달아나는 한낮의 소동을 그린 '파적도'나 은밀히 투전을 즐기는 사람들의 '밀희투전'처럼 그림의 주특기는 일상을 생생하게 포착한 해학적인 풍속화였다. '강변회음도' 역시 같은 맥락에서 웃음이 번지게 한다. 나무 뒤에서 아이가 펼치는 극적인 상황이 재미있다. 아버지한테 꾸중을 들은 것일까? 아니면 천렵에서 소외된 아버지를 측은하게 엿보는 것일까? 선비들의 내면을 표현한 '탁족도'나 '독서도'와 달리, 이 그림은 긍재가 서민의 생활상을 스냅사진을 찍듯이 기록한 것이다. 서민들은 궁핍한 생활을 연명하기 위해서는 건강이 최우선이었던 만큼 보양의 일환으로 천렵을 즐긴 셈이다. 현대인의 피서는 선조들의 피서법 중에서 긍재의 '강변회음도'에 가깝다. 마음의 단련보다는 몸을 생각하는 보양에 무게가 실려 있다. 정민영 ㈜아트북스 대표

 

피서지:명승  제53호  거창 수승대(居昌 搜勝臺) 


 

 

수승대는 조선시대 선비들이 영남 제일의 동천으로 쳤던 ‘안의삼동(安義三洞)’ 중 하나인 원학동 계곡 한가운데 위치하는 화강암 암반으로 깊고 긴 계곡과 주변 임야와 어우러져 탁월한 자연경관을 보여준다.

 ‘수승대’ 명칭과 관련하여 퇴계 이황의 개명시와 갈천 임훈의 화답시가 전하고, 수승대 양쪽에 위치하는 요수정과 관수루 등이 잘 남아 있어 요산요수하는 조선시대 유학자들의 산수유람 문화가 결합된 장소적 상징성이 큰 명승지이다. 전민일보 이종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