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철장 원광식
세상의 모든 번뇌 종소리에 담고
열일곱이었다. 나는 종을 제작하는 일을 하던 아버지 연배인 팔촌형님의 양자가 되었다. 할아버지가 해오시던 일을 형님을 거쳐 내가 물려받게 된 것이다. 종에 대한 사명감 같은 건 없었다. 그저 먹고 살기 위해서였다. 엄한 교육을 받으며 기술을 전수 받았다. 나는 종을 만들며 살고 있었지만, 종은 아직 내 인생 깊은 곳으로 들어오지 못하고 있었다. 1960년대 사찰과 교회가 늘어나면서 종을 만들어 달라는 주문도 엄청 늘었다. 돈 버는 재미에 힘든 줄도 모르고 종을 만들었다. 그러다 사고가 났다. 폭발 사고였다. 달궈진 붉은 쇳물이 나의 오른쪽 눈으로 튀어 올랐다. 세상이 무너지는 것 같았다. 나는 눈을 잃은 슬픔에 젖어 세상 속을 헤매었다. 나의 인생이 어떻게 되는 건지 두려웠다. 그런데 1년 뒤 나는 다시 작업장으로 돌아가고 있었다. 수덕사에서 한국 최대의 범종을 만든다고 했을 때, 나는 머리를 깎고 수덕사로 들어갔다. 3년 걸려 있는 힘을 다해 범종을 완성하면서 종 만들어 팔던 내가 점차 변하기 시작했다.
끝이 없는 길
끝이 없는 길을 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산 너머 산이라고 할까. 내가 도달할 수 없는 그곳에 내가 찾는 소리가 종의 모습으로 묻혀있다. 종을 제외시켜 놓고는 내 인생을 생각할 수 없어 나는 오늘도 그곳으로 향한다. 담장이 아무리 높아도 앞마당에 피어난 꽃의 향기를 막을 수 없고, 창문을 굳게 닫아도 스며드는 밤하늘의 달빛을 막을 수는 없는 일이지 내게 종은 그런 존재다. 말하자면 꽃 피고 지는 일이거나, 사람이 살다가 죽기도 하는 그런 일. 그걸 막을 수 있는 힘은 이 세상에 없다. 간혹 바람이 불어오거나 폭풍우가 몰아치기도 하지만 절망하지 않고 여기까지 올 수 있었던 것은 종이 내게 준 꿈 때문이다. 지금도 종을 만들고 있지만 항상 부족하다는 생각뿐이다. 종이 내는 소리에 스며들어 나를 찾기 시작하던 청춘의 그 시절로 돌아갈 수 있다면, 이 길을 처음부터 다시 걸어서 오로지 종을 위해 살고 싶다. 그리하여 마지막 순간까지 종을 만들다 죽고 싶다.
세상에 울려라, 천 년의 종소리
한국 종의 비밀은 신라의 종이 품고 있다. 신라의 장인들은 종을 만들 때 밀랍주조공법으로 만들었다. 섬세한 문양과 매끄러운 표면, 한국 종 특유의 웅장한 소리는 진짜 한국 종인 밀랍주조공법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나는 가슴이 설레었다. 그리고 신라의 종을 꿈꾸기 시작했다. 밀랍주조공법이란 무엇인가. 그 비밀을 캐내기 위해 중국과 일본을 돌아다니고, 경주 남산의 흙을 샅샅이 뒤졌다. 신라의 흙에 그 비밀이 있을 거라 믿었기 때문이다. 그런지 10여 년, 나는 밀랍주조공법으로 한국 종의 맑은 소리를 재현하는 데 성공했다. 비밀은 남산의 활석에 있었다. 활석은 모양을 만들기 쉽도록 무르고, 내화력이 좋고, 밀랍이 열에 녹아내리지 않게 하는 신비한 힘을 가지고 있었다. 종을 만든 지 40여 년, 그동안 내가 만든 종은 모두 7000여 개. 고유한 우리의 전통 문화와 예술에는 너무나 창의적인 우리 조상들의 숨결이 살아있다. 나는 한국인들이 우리의 종이 얼마나 우수하고 아름다운 것인지 알아주기를 소망한다.
▶글 : 이지혜 ▶사진 : 임재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