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왕릉은 유네스코 세계유산협약에서 정하고 있는 10가지의 보편적인 가치 기준 가운데 아래의 세가지 기준을 충족하였다.
첫째, 기준 3 문화적 전통 또는 살아 있거나 소멸된 문명에 관한 독보적이고 특출한 증거가 되어야 한다. 와 관련하여 조선왕조 특유의 세계관, 종교관 및 자연관에 의해 타 유교 문화권 왕릉들과 다른 자연친화적인 독특한 장묘 문화를 보여준다.
둘째, 기준 4 인류 역사의 중요한 단계를 보여주는 건조물의 유형, 건축적 또는 기술적 총체 또는 경관의 탁월한 사례이어야 한다. 와 관련하여 5백년 이상 지속하여 만들어진 조선왕릉은 당대의 시대적 사상과 정치사, 예술관이 압축적으로 나타나 있으며 공간구성과 건축물과 석물 등이 가지고 있는 예술적 독창성이 뛰어나다.
셋째, 기준 6 탁월한 보편적 중요성을 보유한 사건 또는 살아 있는 전통, 사상, 신념, 예술적/문화적 작품과 직접 또는 가시적으로 연계되어야 한다. 와 관련하여 국가 제례가 정기적으로 이어지고 있고, 왕의 신위를 모시고 제례를 지내기 위한 공간인 종묘가 설립되어 조상숭배의 전통이 이어져 오고 있다.
- 이런 보편적 가치와 함께 조선왕릉 만이 갖는 고유한 가치 또한 지나칠 수 없다. 무엇보다 조선왕릉은 그 전체 형태나 석물의 예술적 표현에서 고유한 가치를 찾을 수 있다. 중국이나 일본의 능묘와 견주어 알 수 있듯이 조선왕릉의 봉분 축조방식이나 원장설치, 각종 석물배치는 주변나라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문무인석의 조형이나 호석과 난간석은 조선왕조 조형예술에서 달성한 독특한 경지를 잘 보여준다. 또한 홍살문에서 향로를 따라 이어지는 참도와 참도 끝에 놓인 정자각의 단순하면서 절제된 건축형태는 조선 왕릉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엄숙하고 독특한 조형세계이다.
- 풍수 이론에 대한 조선 고유한 해석과 적용도 조선 왕릉이 보여주는 문화적 특징이다. 조선 왕릉에 적용된 풍수이론은 한반도의 지리특성이 고려된 조선 고유한 방식으로 구현 되었다. 중국처럼 지리적 약점을 인공적인 구조물로 보완하려는 방식 대신에 자연지형을 최대한 살리면서 그 조건에 구조물을 맞추어나가는 자연친화적인 방식을 선택하여 그 가치와 독창성을 더한다.
- 조선 왕릉과 관련한 풍부한 기록물 역시 주목할 가치이다. 능원을 조성하면서 작성한 산릉도감의궤는 석물의 배열이나 정자각의 조성과정은 물론 산릉조성을 위해서 흙을 지어 나르는데 참여한 단순노역자의 이름까지 작성한 모든 문서가 남아있다. 산릉도감의궤는 왕릉이 만들어졌을 때의 모든 내용을 기록으로 전하고 있다. 따라서 설령 왕릉 중 일부가 불의의 사고로 훼손되거나 본래 모습을 상실했다고 해도 이들 의궤를 통해서 원래 모습으로 복구하는데 결정적인 근거가 된다. 산릉도감의궤라는 뛰어난 기록물이 있음으로써 조선 왕릉은 그 물리적 진정성을 견지할 수 있으며 이것이 조선 왕릉이 갖는 고유한 가치의 또 다른 면이라고 생각된다.
- 끝으로 언급해야 할 것은 6백년을 이어온 조선 왕릉의 제례이다. 1910년 조선왕조가 막을 내렸을 때 왕릉의 제례 역시 더 이상 지속되기 어려운 여건에 처했다. 그러나 전주 이씨 종약원이 어려운 소임을 맡아서 제례를 계속해 나갔으며 그것은 21세기에 접어든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전주 이씨 종약원은 왕릉 제례 외에도 종묘제례도 주관하면서 조선왕조의 무형적인 문화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구분 | 대상 |
---|---|
세계문화유산 | 석굴암, 불국사 / 해인사 장경판전 / 종묘 / 창덕궁 / 수원화성 / 경주역사유적지구 / 고인돌유적 |
세계자연유산 |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
세계기록유산 | 훈민정음 / 조선왕조실록 / 직지심체요절 / 승정원일기 / 조선왕조의궤 / 해인사 고려대장경판과 제경판 |
세계무형유산 |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 / 판소리 / 강릉단오제 |
'궁궐과 왕(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종대왕 탄신 613돌 숭모제전 봉행 (0) | 2010.05.08 |
---|---|
조선왕릉과 베트남, 일본 능제 비교 (0) | 2010.05.08 |
한국의 능침제도 변천사 (0) | 2010.05.08 |
한국과 중국의 능침제도 (0) | 2010.05.08 |
왕릉 주변 옛 풍경 (0) | 2010.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