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http://royaltombs.cha.go.kr/html/_images/funeral/title_03_01.gif)
Home > 왕릉의비밀 > 산릉제례 > 정의
- 산릉제례란 조선 왕조의 역대 왕과 왕비에 대한 제사 의식의 하나로, 종묘가 아니라 직접 능에 행차하여 치르는 제례를 뜻한다. 『국조오례의』에서는 왕릉에서 지내는 제례로, 사시, 납일, 속절, 삭망에 치르는 정기적인 제례와 임금이 친히 능에 와서 치르는 친제에 대해서 소상히 규정해 놓고 있다. 사시란 봄, 여름, 가을, 겨울을 가리키며 1월, 4월, 7월 10월의 초순을 말한다. 납일은 동지 지난 세 번째 술일로 보통은 연말을 가리키며 속절은 한식, 단오, 중추와 같이 풍속에 따라 지키는 절기를 말한다.
- 제례일을 맞으면 하루 전날 제례의 모든 준비를 마련하고 제례 당일에는 축문을 적은 글과 향을 피우는 향로, 음식과 술잔 등을 마련하여 향을 피우고 술잔을 올리며 절을 하는 의례가 거행된다.
- 그 의식은 엄숙하며 절차는 정해진 틀에서 벗어나는 법이 없다. 축문을 읽음으로써 돌아가신 분의 위업을 다시 한 번 기리고, 향을 피우고 술잔을 바침으로써 돌아가신 분의 존경을 한껏 표현하는 것이다. 모든 것은 정성을 다해서 이루어진다.
- 조선 왕조의 제례는 위로는 왕가에서부터 일반 사대부 및 서민에 이르기까지 모든 사람들이 몸으로 실천한 의례였다. 무덤에서 치르는 제례는 사람이 그 자신 홀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조상들로부터 물려 받은 삶을 사는 존재라는 것을 일깨워주는 의식이다. 그 가운데도 왕릉의 제례는 왕의 존재가 단지 그 자신만의 것이 아니고 먼 조상 임금으로부터 이어져 내려온 유산임을 재인식시키는 행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