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종근의 행복산책

축제 예산을 아껴 일자리를 창출한다면

경제 위기에도 아랑곳 하지 않고 4월부터 축제들이 도내 곳곳에서 열린다. 올해도 도내에서 개최되는 축제 숫자는 달라진 게 없이 여전히 그대로이다. 축제 및 행산 예산을 아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길은 없는가.
 경기도 하남시, 창원시, 부산 사상구와 강서구 등 타 지역의 경우 각종 축제나 기념식의 일부를 폐지하거나 축소하는 등 예산 절약에 이은 또 하나의 일자리 나누기 모델을 제시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를 이룬다.
 거의 특색 없는 ‘그 나물의 그 밥’식의 판박이 축제가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한다는 주장이지만 자세히 속내를 들여다보면 지자체장의 얼굴 알리기 위한 생색내기용 축제가 더욱 많아 문제다.
 각 지자체장들이 매년 열어온 지역 축제나 각종 기념식 중 일부를 폐지, 축소해 절약한 돈으로 일자리 나누기에 나서고 있다고 한다. 경기도는 세계 도자 비엔날레 홍보 예산 20억 가운데 5억6000만원을 줄여 일자리 사업에 투입, 하남시와 군포시 등도 축제 예산을 각각 4억원과 1억3700만원을 절감해 공공근로 등 일자리 나누기 사업에 쓰기로 했다.
 경남 창원시도 매년 개최해오던 철쭉제, 고향의 봄 축제, 시민건강축제 등을 통·폐합해 봄과 가을 두 차례에 나눠 열기로 했으며, 부산시와 대구시 등 또한 축제 예산의 일부를 지역경제 회생 및 일자리 창출에 활용할 계획이다.
 그러나 도내의 경우 여전히 소모성 축제 및 행사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 붓고 있다. 일각에서는 모두가 허리띠를 졸라매는 경제 위기 상황에서 각 지자체장들이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선심성 예산을 투입하는 것 아니냐는 좋지 못한 시선도 있다.
 전북도를 비롯한 14개 시군은 올해 155억여 원의 예산을 투입, 매년 실시하는 50개의 도내 주요 축제를 추진할 예정이다. 지난해 전체 축제 예산 120억여 원에 비해 25% 가까이 증가한 금액으로 지난해의 예산을 크게 웃돈다.
 물론 불경기라고 해서 그동안 해왔던 축제를 그만두거나 또는 무작정 미루라는 의미는 아니다. 축제를 통해 감정 표출이나 카타르시스의 기회를 제공하므로 오히려 지금 같은 위기의 상황에서 더욱 필요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지역 축제를 한시적으로 축소하거나 중단해 절약된 비용으로 일자리 창출에 나눠 쓸 수 있는 여유를 가진다면 더 없이 좋은 세상이 될 것이다. / 입력 : 2009-03-31 08:5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