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00대 민족문화

(105)
금줄 금줄 선정취지 및 필요성 금줄문화는 ‘금하는’ 의미를 지닌 신성스러운 줄이었다. 그러나 금줄문화는 점차 소멸을 거듭하고 있으니, 가령 아기를 낳을 때 치던 인줄도 산부인과와 더불어 사라졌다. 금줄은 가장 한국적인 문화 원형질의 하나이다. 역사적 배경 및 상징물의 의미 금줄의 역사는 선사..
도깨비 도깨비 선정취지 및 필요성 한국의 어린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전통문양상징은 도깨비다. 도깨비는 문양으로서만이 아니라 설화로서도 가치가 뛰어나다. 붉은악마가 치우천황을 상징하듯이 도깨비의 벽사적 원형질은 한국벽사신앙의 최고의 상징물로 인정된다. 대내외적으로 도깨비의 상징성을 제..
서낭당 서낭당 선정취지 및 필요성 서낭당은 마을의 수호신인 서낭을 제사하는 곳으로 흔히 마을 입구나 고개에 형성된 성스러운 공간이었다. 서낭당은 마을과 마을, 도시와 도시간의 경계와 성스러운 공간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공간적인 상징이다. 서낭당은 일반 사람들의 일상적인 삶 속에서 구현된 민속..
굿 굿 선정취지 및 필요성 무당은 변화된 의식의 상태(altered state of consciousness)를 경험하면서 인간의 삶 속에서 얽히고설킨 갖가지 삶의 문제에 해답을 제시해온 한국의 대표적인 종교전문가로서 치병, 점복, 의례의 영역에서 고유한 직능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한국 무당은 점차 명멸해가는 샤머니즘의 ..
종묘와 종묘대제 종묘와 종묘대제 선정취지 및 필요성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전통왕실의 제사를 지내는 장소와 의식이다. 역사적 배경 및 상징물의 의미 종묘제도는 이미 삼국시대에 도입되어 정착하였으며 고려시대에도 종묘가 있었다. 조선왕조가 시작되자마자 태조 이성계는 종묘건설부터 독려하였다. 처음에 ..
선비 선비 선정취지 및 필요성 선비는 학식과 인품을 갖춘 유교의 인격체로서 현대교육이 추구하는 개인의 완성과도 무관하지 않다. 선비는 관직이나 신분의 의미보다는 부단한 교육과 연마를 통한 인격의 완성에 근본적인 뜻이 있다. 따라서 선비정신은 실용적인 교육 목표에 함몰되어 있는 현대인에게 ..
효(孝) 선정취지 및 필요성 부모님을 잘 섬기는 정신, 근본덕행이 바로 효이다. 인간이 자신을 낳아주고 길러준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은 최소한의 도리일 것이다. 자신을 낳아주고 길러준 부모를 배반하고 무시하는 것은 인간이 할 짓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예로부터 한국은 물론이고 이웃 중국..
미륵 미륵 선정취지 및 필요성 미륵(彌勒)은 미래불로서 세상에 하생하기 전까지 성불을 미룬 대승불교의 대표적인 보살로서 한국인에게 널리 사랑을 받아왔다. 한국인들은 미래와 희망의 상징으로 미륵을 신앙했다. 화랑은 미륵의 화신으로 간주되었고 화랑도는 미륵을 따르는 집단으로 불리었다.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