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역(人易, 지은이; 성이심, 엮은이; 심의용, 발간; 지식을 만드는 지식)'은 '주역'에 대한 새로운 해석 체계다.
'주역'은 텅 빈 집과 같다. 성이심은 거기에 인간의 마음을 채워 넣었다. 역의 이치로 인간의 마음과 감정을 이해하려 했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인간의 마음에 대한 연구서이며 감정에 대한 백과사전이라 할 만하다.
'인역'의 의의도설(擬議圖說)과 전체 5권 가운데 권1, 문자회(文字膾) 1권을 번역했다.
이 책은 구성 체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책의 구성 자체에 ≪주역≫을 바라보는 성이심의 관점이 고스란히 드러나 있기 때문이다. 흔히 64괘의 발생 과정을 태극(太極)-양의(兩儀)-사상(四象)-8괘-64괘의 순서로 설명한다. 이것은 단지 64괘의 발생 순서만이 아니라 우주 만물의 생성 과정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그러나 성이심은 이를 온전히 마음의 현상에 견주어 설명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그는 이를 ‘의의설(擬議說)’, 즉 ‘견주어 보고서 논의하는 글’로 설명하고 있다. 견주어 보아 논의한다는 것은 이러한 도식을 마음의 문제에 견주어 논의한다는 의미다. 여기서 특이한 점은, ≪역≫의 64괘에 나온 괘상, 괘사, 효상, 효사 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려 하지 않고, 각 괘의 특성에 맞는 마음을 각 괘에 견주어 배치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소성괘인 8괘에서는 경건함[敬]을 곤(坤)괘에 배치하고, 사랑[愛]을 건(乾)괘에 배치했으면서도, 대성괘인 건(乾)괘에는 인(仁)을 배치하고, 곤(坤)괘에는 의(義)를 배치했다.
64괘는 모두 이러한 인간의 감정들을 견주어 논의하고 있다.그의 문인 이뢰가 말하듯이 성이심은 “사람들이 하늘과 사람이 하나의 이치임을 깨닫고, 안과 밖이 합치함을 보며, 역의 도에 근본이 있음을 알고, 스스로를 수양하고 어그러질 때의 길흉을 살피게 하기” 위해서 이 책을 지었다.
달리 말하자면 하늘이라는 자연의 법칙과 인간이라는 도덕의 세계는 하나의 이치일 뿐이기 때문에 상수와 의리가 배척되는 것이 아니라 함께 논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철학사에서 최초로 역학의 새로운 사유를 개척했다는 점에서 성이심의 ≪인역≫을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이종근기자
'BOOK새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북작가회의, 세계 최초로 미얀마 민주화를 염원하는 3개 국어 시집 발간 (0) | 2022.02.03 |
---|---|
은희경 '장미의 이름은 장미' 발간 “누군가의 왜곡된 히스토리는 장밋빛으로 시작한다" (0) | 2022.02.02 |
'눈내린 길 함부로 걷지 마라: 산운집(지은이 이양연, 출판 소명출판)'은 담백한 시어, 뛰어난 발상과 감각 (0) | 2022.01.10 |
이종근 '전라감영 600년 오디세이' 발간 (0) | 2021.12.15 |
최기우, '달릉개' 발간 (0) | 2021.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