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스토리

홍귀달, 전북 고산에서 태화탕(太和湯)을 처방받다

 

다스림에는 두 종류가 있으니, 하나는 어떤 일이 벌어지기 전[事前]에 다스리는 것이요, 다른 하나는 사후에 다스리는 것이다. 중국의 고대 경전인 예기(禮記)에는 ()란 일이 발생하기 전에 다스림이요, ()은 일이 발생한 후 다스리는 것이라 했다. 최고의 다스림은 우려할 만한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 곧 예방이었다. 그러므로 건강을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약물로 치료하기 이전에 음식으로 조리하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는 흔히 의식동원(醫食同源)’이라 하여 의약이나 음식이 공히 사람의 몸을 보하는 동일한 원천으로 생각하지만, 적어도 조선 사람들은 의약보다 음식[]을 더 중시했고, 건강의 근본으로 여겼다. 음식은 단지 먹을 것에 그치지 않았다. 음식은 식색(食色)이라는 인간의 근본적 욕망을 상징했다.

조선후기 삶의 지침서였던 산림경제를 보면, 사람들이 병들어 죽는 이유가 식욕을 절제하지 못한 탓이라고 보았다. 인간에게 음식은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이지만 해로울 때가 많다는 지적인데, 특히 과식이 문제였다. 16세기 조선의 대학자 노수신은 건강하려면 절대 과식을 금해야 한다고 했다. 시도 때도 없이 먹어서도 안 되었다. 무엇보다 기름진 음식은 백병의 근원이었다.

미식가로도 유명했던 허균이 100세 넘게 산 노인을 만나 양생의 비결을 물은 적이 있었다. 돌아온 답변은 단지 기름진 음식을 멀리하고 배불리 먹지 않았을 뿐이라는 것이었다. 과유불급이 중요했다. 무엇이든 지나치거나 모자라지 않아야 했다. 몸에 좋다고 지나치게 탐하다가는 도리어 몸을 해치기 십상이었다. 따라서 병들기 전에 음식으로 양생하고, 음식으로 조리하되 절제할 수 있어야 군자라 할 만했다.

조선시대에는 질병에 걸린다면 치료를 받기가 쉽지 않았다. 따라서 병에 걸리지 않는 것이 훨씬 더 효율적이며, 당시에는 이를 양생이라고 하였는데 오늘날의 예방의학과도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전통의학에서 말하는 병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치료한다는 개념에서 나온 말이기도 하였다. 그런데 조선시대 양생의 방법으로 가장 우선되었던 것은 욕심을 억제하는 것, 욕심의 근원이 되는 마음을 수련하는 일이었다.

1460(세조4) 세조의 명을 받든 어의 전순의는 식료찬요(食療纂要)라는 조선 최초의 식치 의서를 편찬했다. 이 책에서 전순의는 죽은 나무와 풀뿌리[藥材]로 인간의 기질을 바꾸고 병을 치료하기보다 생기 넘치는 재료, 즉 음식으로 몸의 기운을 북돋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는 데 음식이 으뜸이고 약물이 그 다음이라는 것이다. 이어서 그는 계절에 맞추어 풍한서습(風寒暑濕)을 막고, 음식과 남녀관계[食色]를 절제할 수 있다면 무슨 이유로 병이 들겠는가?”라고 말했다.

전순의가 말하는 건강의 비결은 약물보다는 음식이요, 음식보다는 근본적으로 식색의 조절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조선에서 가장 유명한 처방전이 하나 있었으니 바로 중화탕이다. 퇴계 이황이 선비들의 최고 보약으로 추천할 정도였다.

이른 시기에 전래되었던 주권(朱權)활인심방(活人心方)이 마음의 수양과 관련하여 널리 이용되었는데, 우리에게 잘 알려진 계기는 바로 퇴계 이황(李滉)활인심방을 통해 건강을 유지했다는 사실이다.

활인심방에서 언급한 것이 주로 도인법(導引法)이지만, 그 근본은 마음의 수양이었다. 홍귀달(洪貴達, 1438~1504)1472(성종3) 호남에 있는 고산(高山)의 옥중에서 병을 앓다가 당시 현의 수령이었던 남정(南鼎)에게서 태화탕(太和湯)이라는 처방을 받았다고 소개하였는데 바로 활인심방의 중화탕(中和湯)이었다.(‘虛白亭集續集 卷3, , 在高山作 幷小序)

 

마음을 수고롭게 하고, 지혜를 부리니 어찌 몸을 상함이 없겠는가? 병들어 종전의 일들을 후회하고 나서야 무아의 경지를 배우네. 30가지의 약재를 내가 가지고 있으니, 이제부터 헤아려 태화탕을 복용하네.(사무사(思無邪) 행호사(行好事) 막기심(莫欺心) 행방편(行方便) 수본분(守本分) 막질투(莫嫉妬) 제교사(除狡詐) 무성실(務誠實) 순천도(順天道) 지명한(知命限) 청심(淸心) 과욕(寡慾) 인내(忍耐) 유순(柔順) 겸화(謙和) 지족(知足) 염근(廉謹) 존인(存仁) 절검(節儉) 처중(處中) 계살(戒殺) 계노(戒怒) 계폭(戒暴) 계탐(戒貪) 신독(愼獨) 지기(知機) 보애(保愛) 념퇴(恬退) 수정(守靜) 음즐(陰騭)30가지의 약재를 씹어 가루로 만들어 심화(心火) 1근과 신수(腎水) 2사발에 약한 불로 끓여 절반이 되게 하여 날씨에 관계없이 따뜻하게 하여 복용한다)

 

虛白亭集續集 卷3, , 在高山作 幷小序 勞心役智豈無傷 病悔從前學坐忘 三十藥材吾自有 從今擬服太和湯思無邪 行好事 莫欺心 行方便 守本分 三字缺 除狡詐 務誠實 順天道 知命限 淸心 寡慾 忍耐 柔順 謙和 知足 廉謹 存仁 節儉 處中 戒殺 戒怒 戒暴 戒貪 愼獨 知機 保愛 恬退 守靜 陰騭 右三十味 咬咀爲末 用心火一斤 腎水二椀 慢火煎至五分 不拘時候溫服

 

심화(心火)와 신수(腎水)를 다스리는 방법으로 중화탕에서는 자신의 본분을 지키면서 마음의 안정을 꾀하며, 일체의 욕구를 절제하도록 하는 마음의 수련을 말하고 있었다. 즉 중화탕에 들어가는 30가지의 약재는 바로 마음의 수련에 필요한 경구들이었다.

마침 홍귀달의 친구가 고산현 사또로 재직하던 중이라 소식을 듣고 찾아와 처방전을 주고 갔다. 30여 가지의 재료가 들어가는데 약재를 살 수 없다는 것이 문제였다.

 

 

약재 이름은 청심, 과욕, 인내, 유순, 지족 등 실제 본초가 아닌 성리학에서 강조하는 마음 다스리는 방법 서른 가지였다. 사심을 버리고 욕망을 이겨내어 선()으로 돌아가는 위기지학(爲己之學)이야말로 병을 치료하는 근본이라는 내용이었다. 한마디로 조선의 식치는 욕망의 절제라는 수양론과 다름없다. 영조 임금은 자성편(自省篇)을 지어 어린 손자에게 남겨 주었다.

 

식색은 인간의 근본적인 욕망이되 성인은 절도에 맞고 뭇사람은 절도에 맞지 않나니, 슬프구나. 보통사람이 절도에 맞지 않는 것은 그 해로움이 한 몸에 그치지만 제왕이 절도에 맞지 않는다면 그 해를 가히 어떻게 말하겠는가? 역사를 보면 형편없는 임금일수록 그의 허물이 모두 식색에서 말미암았으니 어찌 두렵지 않겠느냐?”

 

사실, 오늘날 우리는 너무 먹을 것이 풍부한데다,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세상에 살고 있다. 우리에게 진정한 식치는 몸에 좋은 음식을 찾아다니기보다 지나친 욕심을 절제하는 것에 있으리라.(문화재청 문화재사랑의 도움받아 글 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