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스토리

전주 발견 윤지충 사발 명문, 정약용의 필체다

한국 천주교 최초 순교자인 윤지충(1759~1791)의 묘에서 발견된 백자사발지석에 쓰인 글씨는 다산 정약용(1762~1836)의 것이라는 주장이 처음으로 제기됐다.

다산 전문 연구자인 정민 한양대 교수가 지석 글씨와 그의 생전 필체를 비교 분석, 10일 자로 발행된 가톨릭평화신문에 이같은 주장을 기고했다.

백자사발지석은 지난 3월 윤지충·권상연의 묘 발굴 당시 출토됐다. 백자 사발 안쪽에 무덤 주인의 이름과 세례명, 생년, 본관과 무덤 조성 일자 등 79()가 적혀 있었다.

윤지충의 지석에는 당시 성균관에서 치르는 과거시험 소과(小科)인 생원시에 합격한 사람을 뜻하는 成均生員’(성균생원), 윤지충을 높여 이르는 尹公’(윤공)의 묘라는 의미의 尹公之墓’(윤공지묘)가 적혀 있었다. , 그가 성인이 되고 나서 가진 또다른 이름인 禹庸’(우용)을 나타내는 字禹庸’(자우용), 윤지충의 묘 왼쪽으로 권상연의 묘가 있다는 의미인 權公墓在左’(권공묘재좌)도 남아있었다.

권상연의 지석에도 마찬가지로 망인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權公之墓’(권공지묘), 망인의 생전 이름이 상연이라는諱尙然’(휘상연), 성인 때 또 다른 이름이 景參(경삼)이라는 의미의 字景參’(자경삼) 등이 적혀 있었다. 사발에 남은 묵서명은 기존에 전해오던 두 순교자 관련 사료와도 일치함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정교수는 "사발 지석의 글씨를 본 순간 대단히 낯익은 느낌이 들었다"고 말했다. 글씨를 보고 정약용의 글씨체와 비슷하다는 인상을 받았다는 것이다. 사발 지석에 적힌 글씨가 정약용이 쓴 글씨일 수 있다고 판단했다.

사발 지석의 글씨는 글씨를 정자로 바르게 쓰는 한자 서체인 해서이다. 해서로 된 정약용의 친필 글씨는 산재냉화, 백운첩등에 남아있다. 정교수는 사발 지석에 적힌 글씨를 글자별로 잘라 내 표 안에 넣고, 정약용의 친필 글씨 중 표 안에 글자와 같은 글자를 찾아 44자로 된 샘플을 만들었다. 그 결과, 경우의 수가 많아질수록 글씨의 유사성도 높아지는 결과가 확인됐다. 지석의 글씨가 정약용이 쓴 글씨일 수 있다는 개연성도 높아졌다.

주장을 뒷받침할 근거는 관계에서도 찾을 수 있다. 정약용은 윤지충과 사촌 간이었고, 정약용을 통해 윤지충이 신앙을 갖게 됐다는 것이다.

정교수는 "윤지충의 죽음에 대한 부채감까지 고려하면 정약용이 자신의 글씨를 담은 지석으로 윤지충과 영결코자 한 뜻을 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당시 행사가 교회 차원으로 진행됐다면 사발 지석의 글씨를 다산이 썼을 개연성은 충분하다.

정교수는 다만 "44자의 샘플 비교만으로 이 글씨를 다산이 썼다고 확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면서도 "다른 사람의 필체와 비교했을 때 이 같은 유사도를 얻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사실을 분명히 해두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사발 지석의 글씨가 정약용의 글씨일 경우 당시 윤지충, 권상연 묘소의 조성 과정과 의미에 대해 또 다른 의미와 의의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천주교 전주교구는 지난달 1일 오전 11시 천주교 전주교구 호남의 사도 유항검관에서 한국 천주교 최초의 순교자 유해 발견 관련 발표와 천주교 전주교구장 주교의 순교자 현양에 관한 교령과 담화문을 공포했다.

한국 최초의 순교자 복자 윤지충 바오로와 권상연 야고보, 신유박해 순교자 복자 윤지헌 프란 치스코의 유해가 230년 만에 발견됐기 때문이다. 지난 311일 오전 1110분경 한국 최초의 순교자 복자 윤지충 바오로와 권상연 야고보의 유해가 초남이성지로부터 북쪽으로 1km도 채 안되는 바우배기(완주군 이서면 남계리 169-17)에서 순교 230년 만에 발견됐다.

두 복자는 1790년 북경 주교의 제사 금지령에 따라 모친상을 유교식 제사 대신 천주교의 예절로 치렀다는 이유로 1791128일 지금의 전동성당 자리에서 참수형으로 순교, 어딘가에 매장됐다고 알려졌다. 1791(신해박해) 순교된 사람이 윤지충 바오로와 권상연 야고보(1751~1791). 윤지헌 프란치스코(1764~1801)1801(신유박해) 순교자로, 1791년의 신해박해 때 순교한 윤지충(바오로)은 그의 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