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 양어머니를 가슴으로 사랑한 배리 변산바람꽃으로 피어나다
전주 ‘다가산방’ 편액에서 이광열 서예가와 신석정시인을 만나다
고제안이 창작한 ‘신기도(神機圖)’
새롭게 찾은 매창의 애인들
이매창 얼굴은 어땠을까
변산 솔씨 서말
인물문이 들어간 걸작 부안 유천리 청자상감인물문매병
맛깔나는 위도 음식
신석정시인과 음식 이야기
양하김치와 양하느름적
강흔 부안현감, 관아 후선루에서 꿩과 사슴을 안줏거리로 삼다
서울 누이에게 부안 생선과 게를 보낸 유형원
허균과 부안의 방풍죽
부안태수 김윤제, 소세양에게 새우젓과 생선을 선물하다
부안현감 원근례 산고래 못잡아 파직하다
변산팔선주
부안현감 이운해가 쓴 부풍향다보(扶風香茶譜)
부안의 새우와 사슴이 유명함을 기술한 도문대작
고창과 부안의 칠산앞바다
부안 양잠
강세황의 ‘격포유람기’와 ‘유우금암기’
고려의 배 송방과 변산 구진조선소
문학으로 만나는 부안
보물로 지정된 최광지홍패
부안이 아닌 효자동 공원묘지에 누워 있는 명창 김옥진
지포 김구와 밭담
‘반계수록’을 널리 알린 덕촌 양득중
반계 유형원을 배향한 ‘동림서원지’ 발견
변산바람꽃과 위도 노랑 상사화
동학의 땅, 부안에서 꽃이 피고, 결실을 보리라
'홍길동전'
'전북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창팔경가를 아십니까 (0) | 2021.03.14 |
---|---|
[전북 둠벙의 문화사] (0) | 2021.03.08 |
고창출신 진환과 서정주의 콜라보 (0) | 2021.02.21 |
'인쇄 출판의 문화사적 연구(지은이 이태영, 출판 역락)' , 완판본 옛 책 전반을 문화사적인 관점으로 다루다 (0) | 2021.02.18 |
전라도 관찰사들의 보고문 '전라감사계록2' 번역 (0) | 2021.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