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스님이 남긴 맑고 향기로운 이야기
▬ 글 : 법정스님 · 그림 김계윤 작가
▬ 4*6판 : 96쪽 , 가격 : 6,000원
▬ 출간일자 : 2020년 5월 15일
▬ 불교신문사 발행
■ 출판사 서평
불기 2564년(2020) 부처님오신날 봉축행사는 아주 특별하다. 세상을 뒤흔든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음력 4월 8일에 치러졌던 부처님오신날 봉축법요식이 한 달 연기된 음력 윤 4월 8일인 5월 30일 봉행된다.
이러한 아주 특별한 부처님오신날을 봉축하고 우리시대의 선지식이었던 법정스님(1932∼2010)의 원적 10주기를 추념하는 특별한 책이 출간됐다. 불교신문사(사장 정호스님)는 불기 2564년 부처님오신날을 봉축하고, 법정스님 원적 10주기를 추념하기 위한 창작 불교설화집 『법정스님이 세상에 남긴 맑고 향기로운 이야기』를 출간했다.
이번에 출간된 책은 지난해 불교신문사가 출간한 법정스님 원적 10주기 추모집 『낡은 옷을 벗어라』에 수록돼 있는 불교창작 설화 13편을 모아 소책자 형태로 전법(傳法)을 위한 보급형으로 제작됐다. 『법정스님이 세상에 남긴 맑고 향기로운 이야기』는 『낡은 옷을 벗어라』 출간 이후 ‘법정스님이 불교경전을 번역하면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널리 전하기 위해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책을 만들어 달라’는 애독자들의 요청에 따라 (사)맑고 향기롭게와 협의해 부처님오신날을 즈음해 엮어냈다. 13편의 창작 불교설화는 1960년대 초 《불교신문》에 법정스님이 게재한 글이며, 김계윤 작가의 그림을 더해 한 권의 책으로 나왔다.
『법정스님이 세상에 남긴 맑고 향기로운 이야기』에는 법정스님이 초기 경전번역을 하며 부처님의 가르침을 어떻게 세상에 전할까에 대한 깊은 고민의 흔적이 곳곳에 배여 있다. 첫 번째 설화 「어진사슴」은 『불설구색록경(佛說九色鹿經)』 이야기가 들어 있다.
먼 옛날 인도 갠지스 강가에 아홉 가지 털빛을 가진 사슴 한 마리와 까마귀가 평화롭게 살고 있었는데 어느 봄날 강기슭에서 목을 축이던 중 한 사나이가 물에 빠져 허우적거리며 떠내려 오자 가엾은 생각이 들어 구해준다. 사나이는 자신을 구해 준 사슴에게 은혜를 갚으려 하지만 사슴은 ‘은혜를 갚아주려거든 자신이 살고 있는 집을 다른 사람들에게 알리지나 말아 달라’고 당부한다. 이후 나라에서 왕비가 병석에 눕게 되었는데 앓고 있는 이유가 사슴의 털로 깔개를 만들고 뿔로 부채자루를 만들고 싶어한다. 은혜를 잊은 사나이는 큰 상을 내리겠다는 영에 그곳을 알려주게 되어 사슴은 잡히게 되었고, 사슴은 죽기 전에 자신의 은혜를 배신한 사나이를 고발한다. 임금은 사슴을 살려주고 많은 사슴들이 아홉 가지 털빛이 있는 사슴에게 모여들어 평화롭게 산다. 이 사슴은 부처님이 보살행을 닦을 때의 모습이며 까마귀는 부처님의 제자 ‘아난다’였다.
두 번째 설화 「조용한 사람들」은 불교경전 『비나야파승사(毘奈耶破僧事)』를 이야기로 풀어냈다. 어느 달밝은 보름 밤 많은 신하들이 어떻게 하면 즐거운 날을 보낼 수 있을까를 고민한다. 여기저기서 다양한 의견이 나왔지만 한 사람의 신하는 아무런 말이 없었다. 그 이유를 묻자 신하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큰 동산에 부처님이 와 계시는데 그곳에 가 주셨으면 한다’고 청했다. 신하를 신망한 임금은 그의 의견을 따르기로 하고 숲에 들어가 천이백오십인의 제자와 함께 수행하고 있는 부처님을 만나 대화를 나눈다.
“오오, 부처님이시여!. 제가 지배하고 있는 사람들은, 아니 제 명령이라면 무슨 일이든지 복종하고 있는 군대라 할지라도 단 한순간만이라도 이와 같이 조용히 있게 할 수는 도저히 없습니다. 부처님께서는 어떻게 이토록 조용하게 할 수 있게 되었습니까?”
부처님은 조용히 대답하셨다. “임금님은 사람의 근본을 이루고 있는 마음을 가라앉히려고는 하지 않고 사람들의 겉모양만을 다스리려고 합니다.” 이 말을 듣고 난 임금님의 마음속에는 어느새 보름달처럼 조용하면서도 밝은 빛이 번지고 있었다.
열두 번째 설화 「땅거미」는 『본생담(本生譚)』 이야기를 근거로 원숭이 얼굴과 엉덩이가 빨간 사연을 흥미롭게 풀어내고 있다. 악마가 땅거미에게 시달린 이야기를 전해들은 원숭이가 땅거미는 없다고 단언한다. 그러다 말 도둑이 도망치려 원숭이 꼬리를 밧줄로 착각해 죽기 살기로 붙잡게 되고 빼내려던 원숭이는 땅거미로 착각해 벗어나려다가 꼬리가 빠지고 만다. 그 일로 원숭이의 얼굴과 엉덩이(밑)가 빨개졌다고 하는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열세 번째 설화 「구도자」는 경전에 근거하지 않는 불교소재를 가져와 창작한 설화다. 여기에는 중국 선종의 초조인 달마대사에게 법을 구하기 위해 어깨를 자른 혜가대사의 이야기를 드라마틱하게 풀어내고 있다. 법정스님은 글 후기에 다음과 같은 글을 남기기도 했다.
“이것은 중국 선종의 제2조인 혜가가 초조인 달마를 찾아가 설중단비(雪中斷臂)로써 구도한 이야기입니다. 지금까지 전해온 기록과는 얼마쯤 다른 점이 있을 줄 압니다. 그것은 하늘도 저렇게 높아버린 계절이고 해서 상상의 나래를 가볍게 펼쳐본 것에 지나지 않습니다.”
이 밖에도 『법정스님이 세상에 남긴 맑고 향기로운 이야기』에는 불교경전에 근거한 주옥같은 설화인 「겁쟁이들」 「저승의 선물」 「그림자」 「장수왕」 「봄길에서」 「봄 안개 같은」 「모래성」 「연둣빛 미소」 「어떤 도둑」 등 13편의 불교설화가 수록돼 있다.
13편의 설화에 그림을 그린 김계윤 작가는 20대의 젊은 불자로 진실하고 편안한 포교를 위해 유튜브 ‘피안가는 길’을 운영하며 그림과 영상 편집에 매진하고 있다. 2018년에 『한글 자비경』 사경집을 출간했다. 2019년 ‘10・27 법난문예’ 공모전에서 만화부문 최우수상과 2019년 ‘신행과 수행 포교와 문화를 더하다’ 공모전에서 우수상을 수상했다. 특히 이번 그림작업을 앞두고 뇌종양이라는 병고와 투병하면서 삽화그림을 완성, 부처님의 가르침이 담긴 법정스님의 책이 널리 전해지기를 발원했다.
불교신문사 사장 정호스님은 “법정스님의 주옥같은 전법의 글귀를 독자들이 읽기 편하게 전해드리기 위해 전체 맥락이 변하지 않는 범위에서 최소한 문장을 수정하였고, 어법 또한 현대문법에 맞추어 출간했다”며, “책에 대한 수익금은 상업적으로 활용하지 않고 불교신문 문서포교와 (사)맑고 향기롭게의 장학기금으로 활용한다”고 말했다.
■ ?… 맑고 향기로운 이야기? 책 속으로
“제가 전날 물에 떠내려가는 것을 보고 구해준 이는 바로 저 사람이에요. 사람들이란 은혜도 몰라보는군요!” 이 말을 듣고 임금은 크게 부끄러웠다. 당장 그 인정머리 없는 사내를 꾸짖고 나서 “이 은혜로운 어진 사슴을 죽여서는 안 된다.”라며 나라 안에 영을 내리고 놓아주었다. 그 뒤부터 많은 사슴들은 이 사슴이 있는 곳으로 모여와서 마음 놓고 살게 되었고, 온 나라 사람들도 모두 평화롭게 살았다고 한다. 그때 아홉 가지 털빛을 가진 사슴은 부처님이 지난 성상에 보살행을 닦을 때의 몸이고 사슴을 따르던 까마귀는 부처님을 오랫동안 모신 ‘아난다’란 제자이며 은혜를 저버린 사내는 한 평생 부처님을 괴롭히던 ‘데바닷다’였다고.
『불설구색록경(佛說九色鹿經)』에서
- 본문 12쪽 「어진사슴」 중에서
“오오 부처님이시여! 저는 한 나라의 임금으로서 여러 가지 법을 만들어 백성을 다스리고 있습니다만 제가 지배하고 있는 사람들은, 아니 제 명령이라면 무슨 일이든지 복종하고 있는 군대라 할지라도 단 한순간만이라도 이와 같이 조용히 있게 할 수는 도저히 없습니다. 부처님
께서는 어떻게 이토록 조용하게 할 수 있게 되었습니까?”
부처님은 조용히 대답하셨다. “임금님은 사람의 근본을 이루고 있는 마음을 가라앉히려고는 하지 않고 사람들의 겉모양만을 다스리려고 합니다.”
이 말을 듣고 난 임금님의 마음속에는 어느새 보름달처럼 조용하면서도 밝은 빛이 번지고 있었다. 부드러운 밤바람은 나뭇잎을 스치고 신하들도 임금님 곁에서 빙그레 미소를 띠고 있었다.
『비나야파승사(毘奈耶破僧事)』 20
- 본문 17쪽 「조용한 사람들」 중에서
원숭이는 소리를 치면서 정신없이 나뭇가지로 뛰어 올랐다. 악마는 이때, “저놈이 땅거미임에 틀림없다. 무섭다는 그 땅거미가 아니고야 영리한 원숭이 놈을 저렇게 형편없이 만들겠는가?” 하고는 두 주먹을 불끈 쥐고 산골짝 깊이 도망치고 말았다. 원숭이의 얼굴과 밑이 빨갛게 된 것은 이때부터라고. 막망상莫妄想! 막망상莫妄想!
『본생담(本生譚)』에서
- 본문 87쪽 「땅거미」 중에서
사내는 서릿발 같은 노승의 이 말을 간절한 격려의 말로 들었다. 목숨을 버려서라도 노승에게서 도를 배워야겠다고 비상한 결심을 했다. 허리에 차고 있던 칼을 뽑았다. 선뜻 자기의 왼쪽 팔을 쳤다. 하얀 눈 위에 빨간 피가 번졌다. 동강 끊어진 팔을 노승 앞에 바쳤다. 노승은 퉁방울 같은 눈으로 젊은 사내를 쏘아보았다. 속으로는 ‘이제야 사람 하나를 만났구나’ 싶었다.
십년의 그 오랜 기다림이 결코 헛되지 않았다. “으음… 모든 부처님이 처음 도를 구할 때에 법을 위해 형상을 잊었느니라. 네가 이제 내 앞에서 팔뚝을 끊었구나. 이만 가까이 오너라.”
- 본문 91∼92쪽 「구도자」 중에서
=============================================================================
■ 목 차
01_ 어진 사슴 … 007
02_ 조용한 사람들 … 013
03_ 겁쟁이들 … 018
04_ 저승의 선물 … 024
05_ 그림자 … 029
06_ 장수왕 … 034
07_ 봄길에서 … 045
08_ 봄 안개 같은 … 053
09_ 모래성 … 060
10_ 연둣빛 미소 … 065
11_ 어떤 도둑 … 075
12_ 땅거미 … 080
13_ 구도자 … 088
=============================================================================
■ 저자 소개
법정法頂스님(1932~2010)
1932년 태어나 1956년 효봉스님을 은사로 사미계를, 1959년 자운율사를 계사로 비구계를 받았다. 1960년 통도사에서 운허스님을 도와 『불교사전』 편찬 작업에 동참하였고, 불교 경전 번역을 하며, 불교계 언론과 일반 신문에 죽비 같은 글로 신선한 바람을 일으켰다.
1973년 함석헌, 장준하 등과 함께 민주수호국민협의회를 결성하여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였다. 1975년 젊은 목숨을 앗아간 제2인혁당 사건을 목격한 스님은 큰 충격을 받고 그해 10월 본래 수행자의 자리로 돌아가기 위해 송광사 뒷산에 불일암을 짓고 무소유 사상을 설파하며 텅 빈 충만의 시기를 보낸다.
1993년 8월 ‘맑고 향기롭게 살아가기 운동 준비 모임’을 발족하여, 뜻을 함께 하는 회원들을 결집해 ‘맑고 향기롭게 살아가기 모임’을 이끌었다. 2010년 3월 11일(음력 1월 26일) 세수 78세, 법랍 55세로 원적에 들었다. 저서로 『영혼의 모음』 『무소유』 『낡은 옷을 벗어라』 등 50여 권을 남겼다.
그림 김계윤 작가
20대의 젊은 불자로 진실하고 편안한 포교를 위해 유튜브 ‘피안가는 길’을 운영하며 그림과 영상 편집에 매진하고 있다. 2018년 『한글 자비경』 사경집을 출간했다. 2019년 ‘10・27 법난문예’ 공모전에서 만화부문 최우수상과 2019년 ‘신행과 수행 포교와 문화를 더하다’ 공모전에서 우수상을 수상했다.
이 책에 대해 추가로 사진 및 자료삽화에 문의가 있으시면 불교신문 출판부로 연락 주세요.
불교신문 출판부장 여태동
(02)733-1604 | 010-3686-1582 | ytd25@hanmail.net
'BOOK새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상훈 마령고 교사의 ‘희망 진안’ 스토리! (0) | 2020.06.01 |
---|---|
전북은 어떻게 아시아 최강팀이 됐을까.. '절대 1강 전북현대' 출간전북은 어떻게 아시아 최강 (0) | 2020.05.27 |
이종근의 인문학으로 만나는 음식문화 표지글씨 (0) | 2020.05.18 |
한국의 미 꽃문(이종근,신아출판사) (0) | 2020.05.13 |
한국의 꽃살문(이종근,신아출판사) (0) | 2020.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