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새통

한국의 왕릉, 10권 발간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최맹식)는 세계유산 조선왕릉의 학술가치를 규명하고 보존관리를 위한 고증자료를 확보하고자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년간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진행하고, 그 성과를 담은 보고서 9을 완간하였다.

 

2006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사업을 처음 시작할 당시에는 사진, 도면 등 릉에 대한 현황자료가 충분하지 못해 그 면모를 제대로 확인하기 어려웠다. 이에, 관련 기초정보 축적과 학제 간 연구에 집중하였고, 이 과정에서역사의 숲, 조선왕릉을 국영문판으로 발간하여 2009년 조선왕릉이 우리나라의 아홉 번째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는 데 일조하였다.

 

아울러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 사업을 통해 태조 건원릉 등 조선왕릉 40기의 능역, 공간구조, 석물 등에 대한 3차원 정밀스캐닝, 도면작성, 항공사진 촬영 등을 실시하여 기초 학술자료 5만여 건을 구축하였다. 이 자료들은 왕릉 보존관, 전시관 운영, 학계국민 등의 연구자료, 조선왕릉 홍보 등 정책과 학술진흥을 한 자료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2009년을 시작으로 지난해까지 총 9권으로 완간된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고서는 조선왕릉이 역사건축미술 등 여러 분야를 포괄하는 문화유산이라는 특성을 살려 분야별 전문연구를 수행한 결과물이다.

 

이 보고서는 고려말~20세기까지 약 530년에 이르는 방대한 기간에 조성된 조선왕릉의 왕릉별 정확한 조성 시기 시대별 능제(陵制) 변화와 그 요인 정자각재실 등 구성물의 현황과 특징 17~19세기 동안 이루어진 석물의 재활용 실태 등 왕릉의 역사성을 새로이 규명하고 다양한 변화상에 대해 객관적종합적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또한, 의궤(儀軌) 등 고문헌을 분석하여 참도(參道)’향어로(香御路)’로 수정하는 등 일제 강점기 이후 왜곡된 용어를 바로잡았으며, 국가기록원 등에 소장된 각종 사진, 고지도, 고신문 등을 다수 발굴수록하여 능제복원을 위한 고증자료를 제공하였다.

* 향어로(香御路): 홍살문에서 정자각을 잇는 돌길로, 박석이 두 줄로 넓게 깔린 길. () 가는 길을 향로(香路; 神路)’, 왕이 가는 길을 어로(御路)’라고 함

 

이번 보고서 완간으로 개별 왕릉에 대한 기초자료가 집성됨에 따라 앞으로 계유산 조선왕릉의 체계적인 보존관리와 후속 연구 등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보고서 내용은 국립문화재연구소 누리집(www.nrich.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지난 10년간의 조사결과를 정보통신기술(ICT)과 접목하여 일반인이 흥미롭게 왕릉을 이해할 수 있는 웹사이트 개발에 착수하였으며, 앞으로도 조선 시대 조각사에 있어 왕릉조각의 위상을 규명하는 연구 등을 통해 심화된 학술성과를 지속적으로 공유해 나갈 계획이다.

 

붙임 1.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 발간 현황.

2. 사진 자료. .

 

공공누리 구분

이용 허락 범위

출처 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붙임 1)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 발간 현황

 

 

발간

연도

권차

시기

수록대상 왕릉

비고

2009

1

고려말~

15세기 초

현정릉(玄正陵), 건원릉(健元陵), 제릉(齊陵), 정릉(貞陵), 후릉(厚陵), 헌릉(獻陵)

6

2011

2

15세기 중반

~15세기 후반

영릉(英陵), 현릉(顯陵), 장릉(莊陵), 사릉(思陵), 광릉(光陵), 경릉(景陵), 창릉(昌陵), 공릉(恭陵)

8

2012

3

15세기 후반~

16세기 전반

선릉(宣陵), 순릉(順陵), 정릉(靖陵), 온릉(溫陵), 희릉(禧陵), 태릉(泰陵)

6

2013

4

16세기 중반

~17세기 전반

효릉(孝陵), 강릉(康陵), 목릉(穆陵), 장릉(章陵)

4

5

17세기

장릉(長陵), 휘릉(徽陵), 영릉(寧陵), 숭릉(崇陵)

4

2014

6

18세기 전반

명릉(明陵), 익릉(翼陵), 의릉(懿陵)

3

7

18세기 후반

혜릉(惠陵), 원릉(元陵), 홍릉(弘陵), 영릉(永陵)

4

2015

8

18~19세기

융릉(隆陵), 건릉(健陵), 인릉(仁陵), 수릉(綏陵)

4

9

19~20세기 전반

경릉(景陵), 예릉(睿陵), 홍릉(洪陵), 유릉(裕陵)

4

합 계

43(북한소재 왕릉 3기 포함)

 

 

* 보고서는 국립문화재연구소 누리집(www.nrich.go.kr)에서 원문서비스

'BOOK새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라장터로 여행을 떠나요‘, 지역여행 안내서 발간   (0) 2016.01.29
진주의 무형유산  (0) 2016.01.26
진주의 무형유산  (0) 2016.01.25
임실우물과 샘은 215개   (0) 2016.01.17
고산지 50여년 만에 완역  (0) 2016.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