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새통

읽기 어려운 음식 고문헌 쉽게 만나요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와 한식재단(이사장 강민수)가 읽기 어려운 음식을 고문헌을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조선 왕실에서 먹던 최고의 식재료는 무엇이며, 임진왜란 중에 우리 조선의 백성들은 무엇을 먹었으며, 개화기 조선에 온 서양인들의 눈에 비친 조선 식생활은 어떠했는지 등 다양한 궁금증을 해소해 줄 수 있는 책자를 발간한 것.
 이 책자는 지난 2011년부터 한식재단에서 추진한 조선시대부터 근대에 이르는 한식 원형복원사업의 결과물로, ‘조선 왕실의 식탁’, ‘조선 백성의 밥상’, ‘근대 한식의 풍경’ 3종의 책자로 나뉘어 진다.
 ‘조선 왕실의 식탁’은 조선시대 궁중의 연회음식문화를 보여주는 424종의 고문헌을 토대로 조선 왕실에서 먹던 음식은 물론 왕실의 식재료, 왕실에서 사용한 식기 등을 흥미롭게 기술하고 있다.
 또 ‘조선 백성의 밥상’은 조선시대 민간에서 먹던 음식에 대한 기록 500여종 문헌을 발굴. 조사해 설명 및 분석한 연구물 등을 바탕으로 쉽게 풀어 썼다. 그 당시 민간의 밥상, 삶의 곡절과 음식이야기, 이웃나라(일본, 중국) 음식이야기 등이 수록되어 있다
 ‘근대 한식의 풍경’은 1897년부터 1945년까지의 요리서다. 서양인의 식생활관련 기록물, 식생활관련 일본문헌, 신문과 잡지 속 음식관련기록 등을 통해 우리음식의 변화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그동안 농림축산식품부와 한식재단은 한식과 관련된 고문헌 등 역사적 자료의 발굴을 토대로 궁중음식, 원형자료 등을 복원하고, 대중화, 세계화을 꾸준하게 추진해 왔다.
 앞으로도 역사성이 담긴 한국 음식문화의 규명은 우리 선조들의 삶과 지혜가 담긴 우리문화를 창조적으로 계승, 우리 식문화를 풍부하게 하면서, 세계인에게 한식을 알리는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이종근기자

'BOOK새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예로 보는 전북문화유산  (0) 2014.07.04
전북의 빛깔 창간호  (0) 2014.07.03
박도순, '그저 바라볼 수만 있어도' 에세이   (0) 2014.04.11
내 일:은 맑음  (0) 2014.03.17
전봉준과 동학농민혁명  (0) 2014.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