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스토리

기록으로보는 겨울스포프

 

인공 아이스링크장도 없고 스키장도 없었던 1950년대, 사람들은 어떻게 겨울을 났을까?

○ 당시의 영상기록을 보면, 사람들은 강이 얼고 눈이 내리면 겨울스포츠 대제전인 전국동계체육대회의 막이 올랐고, 설과 정월대보름 기간에는 어김없이 연날리기대회가 열렸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이처럼 1950~70년대 겨울 스포츠의 모습을 통해 당시의 시대상을 보여주는 동영상・사진 기록물이 공개되었다.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이 제94회 전국동계체육대회(2.18~21)를 맞아 ‘2월 이달의 기록‘으로 공개한 이번 기록물은 동영상 11건, 사진 14건 등 총 25건으로 2월 18일(월)부터 나라기록포털(http://contents.archives.go.kr)에서 서비스 된다.

한강에서 벌어진 빙상경기대(1958), 제41회 동계빙상대회 스케이팅(1960), 전국스키대회(1961), 제9회 전국연날리기대회결승전(1964) 등 사진 14건

 

서울시민 연날리기대회(1956), 제1회 전국연날리기대회(1956), 제38회 동계빙상대회(1957), 제52회 동계빙상대회(1971) 등 동영상 11건

록물은 1950~70년대 전국동계체육대회와 연날리기대회의 다양한 모습을 담고 있다.

전국동계체육대회 기록에서는 개회식 등의 행사와 경기장 모습, 선수들의 경기복장과 관련된 다채로운 광경을 볼 수 있다.

- 개회식 등 행사 영상에서는 빙상 위에 펼쳐지는 스케이터들의 마스게임, 원색의 유니폼을 입고 행진곡에 맞춰 선수들이 트랙으로 입장하는 모습 등을 볼 수 있다. 특히 1971년 대회 사상 처음으로 선보인 꼬마 스케이터들의 그룹 아이스댄싱이 흥미롭다.

- 경기장 기록에서는 1950년대 빙상경기가 한강 등 얼어붙은 강에서 열린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짚으로 엮은 멍석으로 만든 대회 본부 사진, 피겨 공연곡을 군악대가 경기장에서 직접 연주하는 영상 등이 이채롭다. 또한 1960년대 야외 링크장에바람을 막기 위해 천으로 천정을 만들고, 스키장 리프트가 없어 출발지점까지 스키를 들고 걸어 올라가는 사진 지금은 찾아볼 수 없는 풍경이다.

- 경기복장 관련 영상에서는 방울 달린 털모자를 쓰고 전력 질주하는 스피드스케이트 선수들, 귀마개에 털원피스를 입은 피겨스케이트 선수들, 일상복에 가까운 복장으로 공연을 펼치는 피겨 커플, 검은 교모를 쓴 하키 선수 등 지금의 선수복과는 다른 모습을 볼 수 있다.

연날리기대회 영상에서는 1950~60년대 소박한 방패연, 가오리에서 1970년대 공작, 용, 복조리 등 화려한 연으로 변화된 것을 볼 수 있다.

- 특히 1950~60년대 국립국악원의 국악 연주가 펼쳐지는 가운데 연 끊어먹기 등의 다양한 종목이 개최되고, 흥미로운 표정으로 연을 직접 날려보는 주한 외국인, 대회장을 찾은 수 천명의 관중 등을 통해 예전에는 연날리기가 남녀노소 모두에게 큰 인기가 있는 겨울스포츠였음을 알 수 있다.

□ 박경국 국가기록원장은 “지난 겨울스포츠대회 기록을 통해, 겨울스포츠가 어려운 시절에도 생활 가까이에 자리 잡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며,

○ “특정한 계기가 있을 때마다 관련 기록물을 공개해 국민들께서 잠시나마 추억을 떠올릴 수 있는 계기를 만들 예정”이라고 밝혔다.

붙임 1

2월 ‘이달의 기록’ 주요 기록물

 

【 전국동계체육대회 】

 

1. 제38회 동계체육대회(빙상대회) - 피겨 연주곡을 경기장에서 직접 연주하는 모습 (동영상, 1957)

 

 

 

2. 제41회 동계체육대회(빙상대회) – 귀마개와 털원피스를 입은 피겨선수들(사진, 1960)

 

 

3. 제42회 동계체육대회(빙상대회) – 선수 입장 모습(사진, 1961)

 

 

4. 동계체육대회(스키대회) - 리스트가 없어 스키를 메고 출발지점으로 올라가는 모습(사진, 1961)

 

 

5. 제52회 동계체육대회(빙상대회) - 대회 사상 처음으로 선보인 그룹 아이스댄싱(동영상, 1971)

 

 

 

6. 제54회 동계체육대회(빙상) - 동물복장을 한 스케이터들의 마스케임(사진, 1973)

 

 

7. 제54회 동계체육대회(스키) 시상식 - 산장에서 열린 시상식 모습(사진, 1973)

 

【 연날리기대회 】

 

8. 서울시민 연날리기 대회 – 연을 띄워 달리는 어린 학생들(사진, 1956)

 

9. 제5회 연날리기 대회 – 여성 참가자(동영상, 1960)

붙임 2

2월 ‘이달의 기록’ 기록물 목록(25건)

 

□ 대상 기록물 : 총 25건

 

○ 동영상 : 11건

번호

주제

기록물명

생산연도

생산기관

철번호

건번호

1

전국동계체육대회

스포츠소식(제38회 동계빙상대회)

1957

국립영상제작소

CEN0000020

8-1

2

스포츠(제41회 동계스키대회)

1960

국립영상제작소

CEN0000172

8-1

3

스포츠(제42회 동계빙상대회)

1961

국립영상제작소

CEN0000216

6-1

4

빙상경기대회

1962

국립영상제작소

CEN0000267

8-1

5

스포츠소식(제52회 동계빙상대회)

1971

국립영상제작소

CEN0000728

6-1

6

스포츠(제54회 동계빙상대회)

1973

국립영상제작소

CEN0000831

4-1

7

연날리기

대회

서울시민 연날리기대회

1956

국립영상제작소

CEN0005143

7-1

8

제1회 전국 연날리기대회

1956

국립영상제작소

CEN0005234

4-1

9

제2회 전국 연날리기선수권대회

1957

국립영상제작소

CEN0005271

7-1

10

제5회 연날리기대회

1960

국립영상제작소

CEN0000169

8-1

11

연날리기대회

1979

국립영상제작소

CEN0004718

4-1

 

○ 사 진 : 14건

번호

주제

기록물명

생산연도

생산기관

철번호

건번호

1

동계체전

(행사)

제42회 동계체육대회 참석자2

1961

공보처

CET0029100

4-1

2

제54회 동계빙상대회4

1973

공보처

CET0054632

4-1

3

제54회 동계스키대회 시상식

1973

공보처

CET0059276

4-1

4

제59회 동계스키대회 개회식 참석선수1

1978

공보처

CET0054700

2-1

5

동계체전

(경기장)

한강에서 벌어진 빙상경기대회(제39회)

1958

공보처

CET0029088

6-1

6

제41회 전국빙상경기대회

1960

공보처

CET0029096

6-1

7

전국스키대회5

1961

공보처

CET0052728

5-1

8

전국스키대회19

1961

공보처

CET0052728

21-1

9

동계체전

(경기복)

제41회 동계빙상대회 피겨스케이팅

1960

공보처

CET0029095

5-1

10

제43회 동계체육대회 아이스하키 결승전

1962

공보처

CET0052754

1-1

11

연날리기

대회

제1회 연날리기대회5

1956

공보처

CET0046915

6-1

12

제5회 전국연날리기 대회 참석자 모습2

1960

공보처

CET0022837

2-1

13

제9회 전국연날리기대회결승전3

1964

공보처

CET0047027

3-1

14

연날리기대회 참가자8

1977

공보처

CET0052044

8-1

※ 동영상 기록물 주요내용

 

번호

기록물 건명

생산

년도

주요 내용

기록물 철명

1

스포츠 소식

(제38회 동계빙상대회)

1957

1957년 개최된 제38회 전국체전 동계빙상대회 소식을 담은 대한뉴스이다.

첫째날 아이스하키 대회에서는 휘문고가 우승을 하였고, 둘째날 한강에서 피겨와 스피드 스케이팅대회가 열렸는데 특히 피겨스케이팅은 시민들의 호응이 컸다는 내용이다.

대한뉴스 제101호

2

스포츠

(제41회 동계스키대회)

1960

1960년 개최된 제41회 전국체전 동계스키대회를 소개하는 대한뉴스이다.

강원도 대관령에서 개최된 이번 대회에서 선수들의 활강경기에 이어 육군 스키부대의 경기가 펼쳐져 주목을 끌었다는 내용이다.

대한뉴스 제254호

3

스포츠

(제42회 동계빙상대회)

1961

1961년 한강에서 개최된 제42회 전국체전 동계빙상대회 대한 대한뉴스이다.

마스게임으로 시작된 이번 대회는 얼음상태가 좋지 않아 여러 부문에서 기록이 좋지 않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대한뉴스 제298호

4

빙상경기대회

1962

1962년 서울운동장에서 개최된 제43회 전국체전 동계빙상대회에 대한 대한뉴스이다.

400여명의 참가선수들이 원색의 유니폼 차림으로 행진곡에 맞춰 트랙을 따라 입장하고, 천으로 천정을 만든 경기장 모습을 볼 수 있다.

대한뉴스 제349호

5

스포츠 소식

(제52회 동계빙상대회)

1971

1971년 춘천 공지천 특설링크에서 열린 제52회 전국체전 동계빙상대회를 소개하는 대한뉴스이다.

대회 사상 처음으로 꼬마스케이터들의 그룹 아이스댄싱이 관중들로부터 많은 박수를 받았으며, 한국 신기록 1개, 대회 신기록 14개가 수립되었다는 내용이다.

대한뉴스 제811호

6

스포츠

(제54회 동계빙상대회)

1973

1973년 태릉국제스케이트장에서 열린 제54회 전국체전 동계빙상대회 소식을 담은 대한뉴스이다.

개회식에서 동물복장을 한 어린 스케이터들의 마스게임이 펼쳐졌고, 스피드스케이팅, 피겨스케이팅, 아이스하키 등 세 종목의 경기가 펼쳐졌다는 내용이다.

대한뉴스 제914호

7

서울시민 연날리기대회

1956

1956년 서울 광교에서 개최된 서울시 주최 제1회 서울시민 연날리기대회를 담은 대한뉴스이다.

10대 꼬마에서 백발의 노인까지 참가한 이 대회에서 휘모리, 가오리, 반달 등의 다양한 연, 화려한 연날리기재주 등을 펼쳐 보여 장안의 인기를 독점했다는 내용이다.

대한뉴스 제74호

8

제1회 전국연날리기대회

1956

1956년 세종로에서 열린 한국일보사 주최 제1회 전국연날리기 대회를 소개한 대한뉴스이다.

각양각색의 연들, 선수들은 끊어먹기 등의 재주를 펼쳐 관중들을 열광하게 하였고, 재한 중국인들의 용모양의 연이 이채로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대한뉴스 제77호

9

제2회 전국연날리기

선수권대회

1957

1957년 한국일보사 주최 제2회 전국연날리기대회 모습을 담은 대한뉴스이다.

많은 남녀노소 관중이 몰렸고, 개회식 때 국립국악원 악사들의 아악연주가 펼쳐져 대회의 민속적인 분위기 만들었다는 내용이다.

대한뉴스 제102호

10

제5회 전국연날리기대회

1960

1960년 중앙청 앞 광장에서 열린 제2회 연날리기 대회를 담은 대한뉴스이다.

500여명이 참가하여 묘기를 다투었고, 특히 여류연사가 많이 참가했으며, 주한 외국인 인사와 그 자녀들이 우리나라 민속경기를 관람했다는 내용이다.

대한뉴스 제251호

11

연날리기 대회

1979

1979년 용인 한국민속촌에서 열린 연날리기 대회를 소개한 대한뉴스이다.

함박눈이 내리는 가운데 개인부, 아동부, 부녀부, 창작부 등 300여명 참가하여, 높이 띄우기, 재주부리기, 끊어먹기 등으로 진행되었다는 내용이다. 다양하고 화려해진 연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대한뉴스 제1225호

 

※ 사진 기록물 이미지

 

 

(1) 제42회 동계빙상대회 참석자2

- 다양한 의상을 입고 경기장으로

입장하는 선수들(1961)

 

(2) 제54회 동계빙상대회4 - 개회식에서 마스게임 공연하는 꼬마 스케이터들(1973)

 

(3) 제54회 동계스키대회 시상식 - 산장에서 열린 시상식 모습(1973)

 

 

 

(4) 제59회 동계스키대회 개회식

참가선수1(1978)

 

(5) 한강에서 벌어진 빙상경기대회 – 멍석으로 만든 식장과

개회식 모습(1958)

 

(6) 제41회 전국빙상대회 - 나무조각으로 코너선을 표시한 경기장(1960)

 

 

 

(7) 전국스키대회5 - 직접 스키를 메고 올라오는 선수들 모습(1961)

 

 

(8) 전국스키대회19 - 리프트가 아닌 모터에 연결된 줄을 잡고 올라오는 선수(1961)

 

(9) 제41회 동계빙상대회(피겨스케이팅)

- 귀마개와 털원피스를 입은

선수들(1960)

 

 

(10) 제43회 전국동계체육대회 아이스하키 결승전-교모를 쓴 선수(1962)

 

 

(11) 서울시민 연날리기대회 – 연을 띄워 달리는 아이들 (1956)

 

 

(12) 제5회 전국연날리기대회 - 연을 날리는 선수와 구경꾼들(1960)

 

 

 

(13) 제9회 전국연날리기대회 결승전 - 연을 날리는 선수와 높이 뜬 연들(1964)

 

(14) 연날리기 대회 - 두루마기와 갓까지 갖춰 입은 대회 참가자들(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