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월 18일은 철도의 날. 이 날은 1899년 우리나라 최초의 철도인 경인선이 개통된 날을 기념해 제정되었다. 그 이후 철도는 우리나라 산업의 촉매제이자, 대중교통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왔다.
○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은 철도의 날을 맞아 9월 「이달의 기록」으로 ‘철도가 걸어온 길’ 관련 기록물을 선정하고, 9월 18일부터 나라기록포털(http://contents.archives.go.kr)에서 서비스한다.
○ 이번에 서비스되는 기록물은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다양한 철도의 모습을 담은 것으로, 동영상 22건, 사진 30건 등 총 52건이다.
‣ 영암선 개통(1955), 천안역ㆍ대전역 낙성식(1959), 특급 무궁화호 등장(1960), 중앙선 디젤 동차 등장(1962), 전철(전기열차)개통(1973), 철도 창설 80주년(1979) 수인선 협궤열차(1989), 경부고속철도 건설(1994) 등 동영상 22건 ‣ 문경선 개통식(1955), 대통령 특별열차(1955), 한강 제3철교 개통 승차모습(1957), 서울역 4.19 기념 아치 야경(1961), 철도청 발족 현판식(1963), 서울역 추석 귀성객 전경(1977) 등 사진 30건 |
□ 이번에 소개되는 기록물은 1950년대 태백지역 산업철도 건설부터 1990년대 경부고속철도 건설기까지 철도개통 및 주요 역사(驛舍)의 모습, 열차의 변화ㆍ발전상 등을 담고 있다.
○ 철도개통에 관한 기록에서는 1950년대 강원지역 지하자원 등을 운반하기 위해 개통된 영암선‧문경선‧함백선 등 산업철도의 개통, 6.25전쟁으로 끊어진 한강 제3철교의 복원, 1960~70년대 경인선 복선화와 정선선 등의 개통, 그리고 1990년대 경부고속철도 공사 등 다양한 철도선의 모습을 볼 수 있다.
○ 주요 역사(驛舍)에 관한 기록에서는 1958년 서울 남부역과 1975년 서울 서부역 준공, 1960~70년대 추석귀경 인파 등 서울역의 여러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6.25전쟁으로 파괴된 천안역, 대전역의 복구 낙성식을 비롯하여, 1960년대 부산역‧광주역‧군산역 등의 모습도 확인해 볼 수 있다.
○ 열차의 발달에 관한 기록에서는 1950년대 국내에서 조립한 객차, 1960년대 중앙선에 도입된 디젤기관차, 1973년 청량리-제천선에 등장한 전철(전기열차), 1994년 도입준비기의 경부고속열차 등 열차가 증기기관에서 디젤을 거쳐 전철, 고속철로 변모해간 모습과 통일호‧무궁화호‧새마을호 등 시대별 특급열차의 변화상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1950년대 대통령 전용열차, 1960년대의 재건호, 태극호 그리고 1980년대의 수인선 협궤열차‧신혼열차‧우정의 문화열차 등 다양해진 열차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
○ 이 밖에 1958년 철도사고 방지캠페인 만화, 1961년 능의선 개통기념 승차증, 1963년 철도청 발족 현판을 거는 모습, 1967년 서울역에 비치된 기념스탬프 등 철도에 담긴 소소한 풍경도 확인할 수 있다.
□ 추경균 국가기록원 기록정보서비스부장은 “100년 넘게 교통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온 철도가 걸어온 길을 관련 기록을 통해 돌아보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한국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요정의 벽화 (0) | 2012.10.11 |
---|---|
왕의 글씨는 어땠을까 (0) | 2012.10.08 |
조선은 시계왕국이었다 ! (0) | 2012.09.13 |
‘오래전전주는 어떤 모습일까?’ (0) | 2012.09.11 |
어진, 영혼을 그리다 (0) | 2012.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