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기록원(원장 송귀근)은 6·25 전쟁 62주년을 맞아, UN과 영국․몽골 국립문서보존소에서 수집한 6․25 전쟁 관련 희귀 기록물을 공개한다고 밝혔다.
○ 이번에 공개한 기록물은 그 동안 잘 알려져 있지 않은 6․25전쟁 참전국의 국가별, 부대별 활동상을 담은 사진과 영상을 비롯해 영국군의 참전비용 관련 문서, 전시구호품과 전쟁의 일상을 살펴 볼 수 있는 희귀기록물로 평가 받고 있다.
□ 먼저, 영국․몽골 국립문서보존소에서 수집한 기록물은 영국군의 전쟁 참전비용과 몽골이 북한에 지원한 전시지원 물품 관련 기록으로 역사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 그 동안 6․25전쟁 참전국 참전비용은 잘 알려져 있지 않았으며, 영국의 참전비용이 영국 정부의 공식문서를 통해 국내에 알려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952년 3월까지 영국군은 육․해․공군 참전비용으로 약 2,200만 파운드(약 400억)가 소요되었다.
○ 한편, 몽골 정부의 기록에 의하면, 6․25전쟁시 북한의 우방국이었던 몽골은 북한에 살아 있는 말 7,378필을 지원품(1차 : 7,000필, 2차 : 378필)으로 제공하였던 사실도 확인할 수 있다. 몽골 정부는 북한에 훈련된 군마를 제공하면서, 검역 이후 전염병이 없다는 진단서를 첨부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 UN에서 수집한 기록물은 6․25전쟁 당시 미국․영국을 비롯한 16개 참전국과 인도․노르웨이 등 의료지원국 개별부대의 활동상을 담은 사진과 영상 기록물이다.
○ 특히, 각 국가별 환송장면을 비롯해 미국 탱크부대와 캐나다․그리스 등 연합군의 야전 활동, 인도․노르웨이 의료지원 활동이 생생이 담겨져 있다.
○ 또한 그리스군 병사들이 야전 침상에서 가족들로부터 온 편지를 읽고 있는 모습 등 연합군 병사들의 일상생활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 프랑스군이 와인을 마시며 휴식을 취하는 모습, 호주군이 야영에서 머리를 깎고 있는 모습, 네덜란드 군인들이 한복을 입고 있는 한국인과 찍은 사진, 인도 병사가 시골 노인에게 담배를 권하는 모습 등이 이채롭다.
□ UN 연합군의 전시구호 활동에 대한 희귀 기록물도 눈에 띈다. 그 동안 식량배급과 관련한 전시구호 활동은 잘 알려져 있었지만, 돼지․병아리․통조림․의류․야외용 칠판 등 다양한 전시구호품이 사진과 영상으로 소개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 연합군이 해외 양계기술자와 함께 유정란을 병아리로 부화시키는 모습과 살아 있는 돼지를 직접 구호품으로 제공하는 사진도 눈에 띈다.
○ 각 국에서 후원한 의류를 선박 등을 통해 부산 등지로 운송하는 모습과 전시구호품인 야외용 칠판을 이용해 어린 아이들이 교육 받는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 피난생활 모습과 임시시장, 전쟁고아 등 다양한 전시 생활 관련 기록물도 6․25전쟁 당시 일상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 받고 있다.
○ 한강철교가 끊기자 배를 이용해 강을 건너는 피난민들의 행렬과 피난 도중 길가에서 밥짓는 모습, 임시시장에서 생필품을 구입하는 모습 등에서 전쟁 속에서 서민들의 고단한 삶을 살펴 볼 수 있다.
○ 또한, 전쟁으로 부모를 잃은 아이들이 제주도에 마련된 시설에서 생활하는 모습과 거리의 아이들이 방황하거나 구두를 닦는 모습에서 당시 전쟁의 참상을 읽을 수 있다.
○ 그러나 전쟁의 어려움 속에서도, 6․25 전쟁 당시 임시수도였던 부산에서 영화관이 정상적으로 운영는 모습과 부산의 이화여자대학교 모습, 1952년 정․부대통령 선거 모습 등에서 전쟁의 일상과 희망을 볼 수 있다.
□ 송귀근 국가기록원장은 “6․25전쟁 62주년을 맞아,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호국영령들의 명복을 빌며, 이 번 기록물 공개를 통해 국민들과 함께 나라사랑 정신을 되새길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면서, “국가기록원은 앞으로도 세계 각국에 흩어져 있는 우리나라 관련 기록물을 적극 수집하여 후대 기록유산으로 남기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 해녀의 삶 특별전 (0) | 2012.06.28 |
---|---|
전북미술, 강소성미술관에 (0) | 2012.06.26 |
호국보훈의 추억을 아세요 (0) | 2012.06.22 |
전주세계소리축제 포스터 확정 (0) | 2012.06.10 |
잊어진 전쟁전 (0) | 2012.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