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새통

한국음식 오디세이

 

한국음식 오디세이(정혜경 지음 | 생각의나무 펴냄)

 

정혜경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이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시의 '자랑스런 한국음식점' 선정위원, 농림부의 전통식품 심사위원 등을 역임하였으며 김치품질측정기, 기능성 솔잎 맛김, 한방맥주 등의 제품 특허를 가지고 있다. 현재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식생활문화학회 부회장이다. 저서로는「서울의 음식문화」「한국인에게 밥은 무엇인가(공저)」「식생활의 문화적 이해(공저)」등이 있다.

 

책 표지 글


우리가 날마다 먹는 밥, 국, 김치에 숨겨진 건강함의 비밀!

음식학자 정혜경이 맛깔나게 풀어낸 한국인의 문화 코드, 한식

왜 샐러드보다 나물이 더 건강에 좋을까

왜 밥이 스파게티보다 소화가 잘될까

한국음식 열풍을 불러온 <대장금>의 음식 철학은 무엇일까

조선시대 남성들이 쓴 음식 책에는 무슨 내용이 들어 있을까


생활의 모든 것이 서구화되었지만 아직도 밥, 국, 김치를 비롯한 한식은 한국인의 변함없는 주식이다. 그 생명을 끈질기게 이어온

한식의 힘은 무엇일까? 음식학자 정혜경은 한식에 숨겨진 건강함이 그 비법이라 진단한다. 이 책에는 신선로, 구절판, 너비아니 등 전통음식에서 시작하여 부대찌개, 떡볶이, 매운탕 등 새롭게 창조된 음식들까지 한식의 숨겨진 진면목이 밝혀진다. 아울러 계절과 세시에 따라 이를 기리는 음식을 즐긴 우리네 삶의 이야기와 지혜가 보석처럼 반짝인다.


오염되지 않는 식료를 생산하는 것, 요리하는 것, 그리고 먹는 것, 이러한 것들을 엮는 공동체적 네트를 언젠가는 실현해보겠다고

꿈꾸는 나는 무료하고 지겨울 때 요리책을 보거나, 인터넷 요리 사이트나 맛집 사이트를 항해한다. 이런 나에게 「한국음식 오디세이」는 한국 음식문화를 연구하고 싶다는 충동을 일으켰고, 한국의 밥상문화가 갖는 의미는 에코주의적인 측면에서만이 아니라 사회정치적인 측면에서도 아주 재미있는 생각거리라고 느꼈다.

- 김은실(이화여대 여성학과 교수)


음식이 단지 배를 채우는 것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엔터테인먼트, 패션, 예술을 아우르는 스타일이 된 요즘, 한식은 세계화될 수 있는 장점을 고루 갖추고 있다. 이 책은 한식 세계화의 기본이 될 한식의 원리, 사상, 철학 등 한식문화에 대한 이야깃거리로 풍성하다.

- 조태권(광주요 그룹 회장)


차례/내용

차례

- 들어가며

한국음식에 녹아 있는 뜻밖의 우리 문화


- 추천의 글

'너희 밥상은 무엇이냐'라는 질문에 대하여


1부 한국문화의 진수, 한식

01. 대장금, 한류문화, 궁중음식

02. 한식의 유산: 서울 반가음식

03. 계절에 따른 음식: 시식과 절식

04. 삶의 중요한 기점마다 먹어 온 음식: 통과의례음식

05. 한국인의 삶 속에 자리 잡은 지방색: 향토 음식

06. 한국 음식문화의 현장: 식당의 역사


2부 한식의 역사를 찾아서

01. 멋진 남성들이 쓴 고조리서: 「도문대작」「산가요록」「수운잡방」

02. 한국 최고의 식경: 「음식디미방」

03. 실학사상의 발달로 태어난 고조리서들

04. 한글판 가정 대백과사전: 「규합총서」

05. 장안의 지가를 올린 바이블: 방신영의 「조선요리제법」


3부 한국음식의 미학

01. 한국음식의 기본: 밥

02. 제2의 주식: 죽, 국수, 만두

03. 국물민족의 대표음식: 국, 탕, 찌개, 전골

04. 최고의 건강 요리: 나물

05. 불의 미학: 구이

06. 세심한 조리법들: 조림, 찜, 선, 초

07. 묵히고 삭히는 발효 음식의 위대함: 김치, 장, 젓갈

08. 독특한 창작품: 떡

09. 서양과자를 능가하는 한과 및 음청류

10. 음주가무의 민족: 술 이야기

11. 사라져 가는 음식과 새롭게 창조된 음식


- 부록

한국의 대표적인 고조리서

한국 식생활사 연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