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생문화!

전통시장에 까페·갤러리가 있다고? 문전성시 프로젝트!

 

전통시장.! 여러분에게 전통시장은 어떤 기억으로 남겨져 있나요?

어렸을 때 엄마를 따라 시장에 가면 호떡을 먹을 수 있다는 큰 기대를 안고 자주 시장을  따라다녔던 기억이 나네요. 그 시절의 시장은 식료품을 사기위해 그리고 상인들간의 따뜻한 정을 느끼기위해 찾는 곳이었어요. 하지만 요즘엔 대형마트가 들어서면서 전통시장을 찾는 발길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시장에 가보면 그 나라를 알 수 있다’고 하듯이 전통시장은 우리의 문화를 느낄 수 있는 소중한 유산입니다. 이에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전통시장을 활성화 시키기위해 문전성시 프로젝트 진행합니다. 문전성시프로젝트는 문화를 통해 전통시장을 활성화시키겠다는 사업인데요.

이번엔 문전성시 프로젝트에 선정된 시장 3군데를 소개해드립니다~

 


갤러리와 카페가 있는 시장 - 서울 중랑구 우림시장 
조선시대에 지금의 마장동 우시장에 가기위해 먼 길을 걸어온 소에게 여물을 먹이고 쉬게하던 곳이라 시장 이름도 우림이라 명명되었다고 합니다. 

우림시범시장
주소 서울 중랑구 망우동 463-44
설명 1970년 부터 영세한 점포가 모이면서 형성된 재래시장
상세보기

우림시장은 우림시장만의 대표축제를 개발하고 출사대회와 갤러리 및 카페를 통해 통합이미지를 개발할 예정입니다. 전통시장에서 갤러리와 카페가 생긴다고하니 시장에서 물건을사면서 가족끼리 갤러리에 들려 미술작품을 둘러보고 카페에서 여유로운 시간을 즐길 수 있을 것 같네요. 이뿐만아니라 상인과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체험형 문화예술 교육프로그램도 운영한다고하니 지역주민들의 발길을 주변 대형마트가아닌 우림시장으로 돌릴 수 있길 기대해 봅니다.


P090605005
갤러리 <P090605005 by Meryl Ko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지리산과 연결되는 문화관광형시장 - 경남 하동군 화개장터
전라도와 경상도를 가로지르는 ♬ 조영남의 화개장터 노래가 생각나는 화개장터.

김동리소설 ‘역마’의 주무대이기도 한 이곳은 조선시대 전국 7대 장터중 하나였을만큼 유명한 곳이죠. 하지만 이곳도 역시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점점 찾는사람들이 줄어들고 있다고 하는데요. 주변 지리산 관광지와 연계하여 안전산행 기념품 제작 및 백일장, 판소리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입니다.

화개장터
주소 경남 하동군 화개면 탑리
설명 해방전 우리나라 5대 시장중의 하나
상세보기

또한 장돌뱅이 난전과 또랑광대전, 난타 등 공연공간을 최대한 확보하여 상인과 지역주민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연계시킬 예정이라고 합니다.

       

                                                   난타<출처 : 난타 홈페이지>

라디오 방송과 함께하는 이야기가 있는 시장 - 부산 부산진구 부전시장 
부산의 대표적인 재래시장 중 하나인 부전시장은 부산의 중심가 서면과 가까이에 위치하여 왠만해선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지리적인 면에서 유리한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 하지만 이곳도 역시 주변의 대형마트로 인해 경쟁력을 잃어 부전시장만의 새로운 문화의 옷을 입을 예정이라고 합니다.

부전시장인삼도매상가
주소 부산 부산진구 부전동 573
설명 인삼도매상가는 수삼, 건삼, 홍삼, 인삼 엑기스 등 인삼제품 뿐만 아니라,...
상세보기

부전시장에서는 수원 못골시장에서 크게 성공했던 상인DJ가 직접 운영하는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을 만들 예정이라고 합니다.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으로 이야기가 있는 시장으로 거듭난다고 하니 부전시장에 장보러갈땐 그냥 물건을 구매하는게 아니라서 더 재미있을 것 같네요. 

   
<수원 못골시장의 "못골 온에어">


라디오 방송 뿐만 아니라 시장 곳곳에 영상을 담은 다큐멘터리와 입체지도를 제작하고 문화사랑방도 운영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부전시장을 이용하는 사람들간에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토요상설 골목예술장터와 문화예술 강좌등을 개최하여 서로 문화를 공유하고 즐길 수 있는 장이 마련될 수 있을 것 같네요

이젠 전통시장이라고하면 다양한 문화를 즐길 수 있는 문화공간을 떠올릴 수 있게될 것 같습니다. 세련된 공간의 대형마트도 좋지만 전통시장에서 따뜻한 정과함께 다양한 문화까지 즐기면서 쇼핑하는것도 좋을 듯 합니다^^ 적어도 한달에 한번정도는 전통시장을 방문하는 날로 정해보는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