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처와 광복회, 독립기념관은 항일 기독교 순교자 주기철(1897.11.25-1944.4.21)목사를 11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
특히 주목사는 1919년 3·1 독립만세운동 참여하고, 1936년 궁성요배, 신사참배 거부운동을 전개하다가 1944년 일경에 피체되어 옥고 중 순국한 공로가 인정돼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된 것.
경남 창원(昌原) 출신인 주목사는 기독교 장로교에 입교한 아버지의 영향으로 이승훈(李昇薰)이 설립한 오산학교(五山學校)를 1916년에 졸업했다.
이어 1917년에 연희전문학교 상과에 입학했으나 건강이 악화되어 중퇴하고 귀향, 교회의 집사로 신앙생활을 했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고향인 창원군 웅천면(熊川面)에서 독립만세 시위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1920년 경상남도 창원 웅천청년운동단(熊川靑年運動團)의 대표로 조선청년연합회(朝鮮靑年聯合會)의 창립 총회에 참석, 의사(議事)로 선출됐다.
1921년 평양신학교(平壤神學校)에 입학하고 1926년 졸업과 동시에 부산 초량교회(草梁敎會)의 담임목사로 부임, 5년간 봉직하다가 1931년에 마산 문창교회(文昌敎會)에서 다시 5년간 봉사했다.
1936년에 길선주(吉善宙)목사의 후임으로 장로교의 본산이라고 불리우던 평양 산정현교회(山亭峴敎會)의 목사로 부임했다. 일제가 교회와 기독교신도들에게 궁성요배(宮城遙拜)와 신사참배를 본격적으로 강요하고 있던 때이었다.
그는 기독교에서 우상을 숭배하는 것은 계명으로 금지되어 있으며 살아있는 일본왕이나 그 시조를 우상화하는 것은 그릇된 일이므로 ‘일본궁성요배’는 결단코 해서는 안된다는 내용의 ‘황실 요배 및 신사참배 거부안’을 제출, 신사참배 반대운동을 전개하면서 종교적 항일을 하였다.
1938년 2월에 일제의 탄압에 굴복하여 장로교 평안북도 노회(老會)가 신사참배를 결정하자 이에 반대하여 투쟁하다가 일제 경찰에 피체되어 3개월간 구금됐다. 동년 9월에 일제의 강요와 탄압에 굴복하여 전국 장로회총회가 신사참배를 가결하자 그는 이에 정면으로 대항하여 ‘일사각오(一死覺悟)’라는 제목의 설교를 하고 ‘조선민족의 애국심을 말살하려는 일본의 악정을 규탄하자’고 신사참배 거부를 교도들에게 호소하다가 다시 일제 경찰에 체포되어 가혹한 고문을 당하고 장기 구속됐다. 가석방된 그는 조금도 굽히지 않고 다시 교도들에게 신사참배 거부를 설교했다.
1940년 7월 일제는 그를 소위 불경죄 및 치안유지법 위반 등의 죄목으로 실형을 언도, 1944년 4월 21일 옥중에서 순국했다. 정부는 공훈을 기리어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전민일보 이종근기자
'아름다운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3 수험생들아, 동학농민혁명 역사교실로 오라 (0) | 2007.11.22 |
---|---|
필봉농악 보유자 박형래선생 별세 (0) | 2007.11.18 |
한국전통문화학교 제3대 총장에 이종철씨 (0) | 2007.09.13 |
문인화가 하수정씨 13회 개인전 (0) | 2007.06.12 |
변경환씨, 2006 대한민국 대한명인전 출품 (0) | 2006.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