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 세계유산

(53)
가곡, 대목장, 매사냥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결정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이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으로 등재 신청한 가곡, 대목장, 매사냥 등 3건이 2010년 11월 16일 케냐 나이로비에서 열린 제5차 무형유산정부간위원회에서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이로써 한국은 총 11건의 인류무형유산을 보유하게 됐..
하회와 양동마을 세계유산 등재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이 유네스코(UNESCO :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 세계유산으로 등재 신청한「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와 양동」이 2010년 7월 31일 브라질 브라질리아에서 열린 제34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유네스코 세계유산(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유네스코는 등재 결의안에서「한국의 역사마..
한눈에 보는 한국의 세계기록유산 세계기록유산을 아시나요? 세계기록유산은 인류의 소중한 기록을 훼손·유실 등으로부터 보유하고 많은 사람들이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1997년부터 2년마다 유네스코 국제자문위원회에서 심의·추천하고 유네스코 사무총장이 선정하는 세계적으로 가치 있는 귀중한 기록유산을 말합니다..
해인사 고려대장경판과 제경판 해인사대장경판(국보 제32호) 및 해인사장경판전(국보 제52호)은 불교 경전이 한자로 새겨져 있는 세계 유일의 목판본으로, 그 내용이 광범위하고 세계적으로 보기 드문 고유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초기 목판 제작의 기술을 알려주는 지표로서 매우 소중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고려대장경의 규..
동의보감 동의보감 - 국립중앙도서관(보물1085),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보물1085-2) 초판 완질 동의보감(25권 25책) - 동의보감은 1610년 허준이 집필하였고, 1613년 왕실의료기관(내의원)에서 나무 활자의 형식으로 간행한 백과사전식 의서(醫書) 『동의보감』은 선조 30년(1597) 임금의 병과 건강을 돌보는 어..
해인사 대장경판 및 제경판 해인사 대장경판 및 제(諸)경판 - 고려대장경판 81,258판 - 그외 1098년부터 1958년까지 불교 경전과 불교 역사, 불교 계율, 불교 연구논문, 고승의 문집, 계율판, 불교 판화 등 5,987판 고려대장경판(팔만대장경)의 제작은 한국이 13세기에 일구어낸 위대한 문화적 업적으로 학계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다. 고려..
조선왕조의 의궤 조선왕조의 의궤(儀軌) -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에 소장된 546종 2,940책의 각종 의궤 - 한국학 중앙연구원 장서각(藏書閣)에 소장된 287종 490책의 각종 의궤 의궤는 조선왕조에서 유교적 원리에 입각한 국가 의례를 중심으로 국가의 중요 행사를 행사 진행 시점에서 당시 사용된 문서를 정해진 격..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 「승정원」은 조선 정종대에 창설된 기관으로서 국가의 모든 기밀을 취급하던 국왕의 비서실이라 할 수 있는 곳으로, 1623년(인조1) 3월부터 1894년(고종31) 6월까지 272년간 승정원에서 처리한 국정 기록과 승선원, 궁내부, 비서감, 규장각으로 명칭이 바뀌면서 1910년(융희 4)까지 총 3,243책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