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문화인물 (182) 썸네일형 리스트형 안익태 1991년 08월 안익태 (安益泰) 1906~1965 / 작곡가, 지휘자 생애 및 업적 애국가의 작곡자 안익태선생은 1906년 12월5일 여관을 경영하는 중류가정의 셋째 아들로 평양에서 태어났다. 선천적으로 음악적 재능을 지닌 안선생은 6세 때에 동네의 예배당에서 흘러 나오는 찬송가에 이끌리어 집안 몰래 교회에 나가.. 허준 1991년 09월 허준 (許浚) 1546~1615 / 조선 중기의 의학자 생애 및 업적 우리나라에서 의학이 발달되기 시작한 이후로 우리에게 이름이 가장 많이 알려진 의인(醫人)을 들라면 허준을 들 수 있다. 허준이 이렇게 많이 알려진 이유는 그의 저서인 <동의보감(東醫室鑑)>이 우리나라의 의학발전에 지대한 공.. 주시경 1991년 10월 한힌샘 주시경(周時經) 1876~1914 / 한말의 한글학자 생애 및 업적 주시경은 1876년 음력 11월 7일(양력으로는 12월 22일) 황해도 봉산군 전산방 무릉골에서 아버지 주면석과 어머니 이씨 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상주이며, 주세붕의 후손이라 한다. 어렸을 때의 이름은 상호, 나중에 ‘한.. 윤선도 1991년 11월 고산 윤선도 (孤山 尹善道) 1587~1671 / 조선 중기의 문신, 시인 생애 및 업적 고산 윤선도는 1587년 (선조 20년) 음력 6월 22일, 한경(漢京) 연화방(蓮花坊)에서 출생하였다. 이곳은 지금의 서울 종로구 연지동이다. 그의 자는 약이(約而), 호는 고산(孤山)또는 해옹(海翁)이다. 가계(家系)를 보면 고.. 이해랑 1991년 12월 이해랑 (李海浪) 1916~1989 / 연극배우, 연출가 생애 및 업적 이해랑의 연극생애는 대체로 3기로 나눠진다. 즉 제1기는 니혼대학시절의 학생예술좌로부터 해방직후까지의 10년여 동안이고, 제2기는 정부수립 때부터 1970년대 초까지의 26여년간이며, 제3기는 1970년대 중반부터 서거전 15년여 동안.. 이황 1992년 01월 퇴계 이황 (退溪 李滉) 1501~1570 / 조선 중기의 학자, 문신 생애 및 업적 퇴계는 학문하는 목적을 입신양명에서 성현군자(聖質君子)가 되는데 두었다. 유학강령대로 수기치인(修己治人 : 자기 인격을 완성하고남을 교화함)에 치중하여 위기지학(爲己之學)과 군자유(齋子儒)를 닦았다. 그는 공자.. 정선 1992년 02월 겸재 정선 (謙齋 鄭敾) 1676~1759 / 조선 후기의 화가 생애 및 업적 겸재(謙齋) 정선(鄭敾)은 우리나라 회화사에서 가장 위대한 업적을 남긴 대화가로 화성(畵聖)의 칭호를 올려야 마땅한 인물이다. 겸재는 우리 산천(山川)의 아름다움을 사생(寫生)하는데 가장 알맞은 우리 고유 화법(畵法)을 창.. 박지원 1992년 03월 연암 박지원 (燕巖 朴趾源) 1737~1805 / 조선 후기의 실학자, 소설가 생애 및 업적 박지원은 1737(영조 13년) 반남 박씨 사유(1703-1767)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자를 중미 또는 미중이라 하였으며, 아호는 연암 또는 열상외사라 하였다. 유년 시절에는 형 희원(1723-1787)의 재주에 힘입어 간접적인 영.. 이전 1 2 3 4 5 ···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