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유구의 '임원경제지' 속 이운지의 소확행
실학자 서유구가 남긴 ‘임원경제지’ 가운데 ‘이운지’에는 가족과 시골에서 삶을 즐기는 방법이 담겨 있다. 이를 번역, 출간한 임원경제연구소는 “조선의 생활문명이 담긴 이운지에서 오늘날 일상의 변화 가능성도 엿볼 수 있다”고 했다.
'이운(怡雲)’은 '산중에서 구름을 즐기는 일은 혼자만 할 수 있다'는 의미다.중국 남조 대 인물인 도홍경(456∼536)의 시에서 따 왔다. “맑은 마음으로 고상함을 기르고 한가로이 소요하며 유유자적하는” 서유구의 이상이 담긴 이운지에서 조선 선비들이 꿈꾼 ‘웰빙’의 모습을 들여다봤다.
책은 선비가 은거할 곳에 관한 이야기로 시작한다. 은거할 집은 “크거나 넓게 짓지 않는다”, “무궁화를 심어 울타리를 만들고, 띠를 엮어 정자를 만든다”는 시작 부분은 오늘날의 통념 그대로다.
그러나 여러 건축물과 정자 소개는 선비들의 이상적 은거생활이 과연 소박한 것이었는지 의문이 들 정도로 방대하고 다양하다.
“바람이 잔잔하고 볕이 좋을 때마다 차를 담은 병이나 술동이를 가지고 정자에 이르러 난간에 기대고 낚싯대를 드리우며…새벽에는 오리가, 저녁에는 기러기가 물 위에 넘쳐나고….”
저수지에 짓는 정자인 ‘수사(水榭)’에 대한 설명이다. 이 밖에 강가, 채소밭, 시냇가에 딸린 정자가 따로 있다. 휴식공간인 원실을 비롯해 습기를 막는 온각(溫閣), 차 마시는 공간, 금(琴) 연주실, 서재, 약제실, 장서각(藏書閣), 응접실, 서당, 활 쏘는 정자, 누에 치는 방, 길쌈하는 방이 잇달아 소개된다. 웬만큼 여유 있는 사대부도 따라 하기 어려울 정도다. 연구소는 “이런 건물을 다 갖추라는 게 아니라 처지에 따라 용도에 맞게 세우라는 뜻으로 이해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반대로 ‘소확행’의 방법도 알려준다. 선비가 ‘꽃을 가꾸고, 대나무를 심는 일’을 즐길 형편이 안 되면 어떻게 할까.
이운지는 “혹시 사는 곳이 낮고 좁거나 거처를 자주 옮겨야 한다면 ‘담병(膽甁·목이 길고 배가 불룩한 병)’에 꽃을 꽂아두었다가 수시로 바꿔준다”고 했다. 그러면 “수고를 들이지 않아도 감상하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다”는 것. 더구나 “이 즐거움은 가진 자들이 탐하지 않고, 얻으려는 자들이 다투지 않음에도 잠시라도 마음을 상쾌하게 한다”고 덧붙였다.
은거지에 연못을 팔 처지가 아니라면 항아리로 ‘분지(盆池·항아리를 이용한 못)’를 만들 수 있다. “큰 항아리를 줄 세워서 땅에 묻고 항아리 사이사이 틈에 갈대와 부들을 심으면” 진짜 연못처럼 보인다고 한다. “물을 항아리에 가득 채운 다음 수면에는 개구리밥 잎을 던져 띄우고, 연 따위를 심으며 그 속에는 물고기를 기른다.”
오늘날 캠핑용품 못지않은 도구도 많다.
‘택승정(擇勝亭)’은 이동식 정자다. 기둥과 도리(기둥 위를 건너지르는 나무), 장막을 필요한 곳에서 조립하는 방식이다. “봄날 아침 꽃이 핀 교외나 가을날 저녁 달 밝은 마당”에 세우면 된다. “가고 싶은 곳이 있을 때 장정 1명이면 이 정자를 가지고 갈 수 있다”고 했다.
휴대용 찬합인 ‘제합(堤盒)’에서 술잔과 호리병, 젓가락과 접시를 꺼내 술을 마시고, 휴대용 화로인 ‘제로(堤爐)’에서 숯불을 피워 물을 끓이면 금상첨화다. 이것저것 다 귀찮으면 휴대용 술통인 ‘생황호(笙簧壺)’ 하나만 챙겨도 된다. 술을 담는 대나무통 아래 안주와 과일을 담는 나무통이 악기 생황처럼 일체화된 모양이다.
'한국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금은 구례 수락폭포입니다 (0) | 2023.07.28 |
---|---|
조선시대 살기좋은 명당 233곳은 어디? (2) | 2023.07.26 |
폭우로 국가유산 피해 잇따라 (0) | 2023.07.17 |
충무공 이순신의 애국 의지 담긴 '이순신 장도' 국보 지정 예고 (0) | 2023.06.22 |
<이종근의 역사문화 이야기 7> 마도 3호선에 실린 젓갈은 전북 고창, 정읍에서 개경과 강화도 권력층에 보내졌다. (2) | 2023.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