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로팅세대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반 사이에 태어난 세대인 Y세대라고 한다. 이를 이어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출생한 세대를 Z세대라 한다. 이 세대의 특징은 바로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라는 점이다.
IT기술의 폭발적인 발전과 함께 태어난 이들은 완전한 디지털 환경에서 나고 자라 아날로그 환경을 체험조차 못한 세대다.이들은 인터넷을 통해 짧은 시간 동안 수많은 정보를 얻게 되고 그로 인해 자신에게 맞는 선택지를 끊임없이 탐색한다. 때문에 Z 세대를 다른 별칭으로 플로팅(Floating Generation:떠다니는)세대라고 부르기도 한다. 디지털 환경에서 태어나 끊임없는 선택지를 탐색하는 ‘플로팅 세대’는 하나의 콘텐츠에 길게 집중하지 못하고 여러 가지 정보를 동시 다발적으로 수용하는 세대이다.
2시간의 영화를 보는 것을 힘들어 할 정도로 진득하게 집중을 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기는 하지만, 기존의 세대와는 달리 한 번에 여러 가지 작업을 수행하는 멀티태스킹에 강하고 새로운 것들을 받아들이는데 큰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
이들은 여러가지 정보를 동시다발적으로 수용하는 세대로, 콘텐츠 뿐만 아니라 직장과 거주지도 유목민처럼 여기저기 옮겨다니는 세대이다. 이들에게는 모바일이 생활의 중심 그 자체로 책이나 TV 보다 유튜브 방송을 더 많이 본다. 또, 평생 동안 즐길 취미를 만들기 보다는 그때 그때 유행하는 것들을 골고루 경험해 보는 것을 선호한다. 이러한 특성이 생활과 직업에도 반영되어, 불만 사항이 있는 것을 극복하는 것보다 피하는 것을 선호해 사는 곳이나 직장도 마음에 드는 곳을 찾을 때까지 마치 유목민처럼 여기저기 옮겨 다니곤 한다. z세대의 경우 평생 17개의 직장과 5개의 직업, 15번의 거주지를 갖는다고 한다.
이들은 첫인상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콘텐츠의 썸네일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며, 깊은 내면을 보여주려는 노력보다는 첫인상을 인상 깊고 강렬하게 보이려 한다. 하이퍼 모던 시대를 어릴 때부터 경험한 디지털 원주민들, 즉 ‘플로팅 세대’는 맥락과 서사보다 가벼운 터치와 직관적인 감성에 마음을 여는 특성을 보이기도 한다. 한 장의 사진을 찍더라도 느낌적인 느낌, 해시태그 ‘#갬성’으로 마무리되는 특화된 정서, 이를 느끼기 위한 직관적인 자극을 추구하는 컨셉러들이다. 디지털 환경에서 태어나 끊임없는 선택지를 탐색하는 ‘플로팅 세대’들이 힘들어 하지 않기를 바란다.
/이종근
http://sjbnews.com/news/news.php?code=li_news_2020&number=692769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반 사이에 태어난 세대인 Y세대라고 한다. 이를 이어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출생한 세대를 Z세대라 한다. 이 세대의 특징은 바로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라는 점이다.
IT기술의 폭발적인 발전과 함께 태어난 이들은 완전한 디지털 환경에서 나고 자라 아날로그 환경을 체험조차 못한 세대다.이들은 인터넷을 통해 짧은 시간 동안 수많은 정보를 얻게 되고 그로 인해 자신에게 맞는 선택지를 끊임없이 탐색한다. 때문에 Z 세대를 다른 별칭으로 플로팅(Floating Generation:떠다니는)세대라고 부르기도 한다. 디지털 환경에서 태어나 끊임없는 선택지를 탐색하는 ‘플로팅 세대’는 하나의 콘텐츠에 길게 집중하지 못하고 여러 가지 정보를 동시 다발적으로 수용하는 세대이다.
2시간의 영화를 보는 것을 힘들어 할 정도로 진득하게 집중을 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기는 하지만, 기존의 세대와는 달리 한 번에 여러 가지 작업을 수행하는 멀티태스킹에 강하고 새로운 것들을 받아들이는데 큰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
이들은 여러가지 정보를 동시다발적으로 수용하는 세대로, 콘텐츠 뿐만 아니라 직장과 거주지도 유목민처럼 여기저기 옮겨다니는 세대이다. 이들에게는 모바일이 생활의 중심 그 자체로 책이나 TV 보다 유튜브 방송을 더 많이 본다. 또, 평생 동안 즐길 취미를 만들기 보다는 그때 그때 유행하는 것들을 골고루 경험해 보는 것을 선호한다. 이러한 특성이 생활과 직업에도 반영되어, 불만 사항이 있는 것을 극복하는 것보다 피하는 것을 선호해 사는 곳이나 직장도 마음에 드는 곳을 찾을 때까지 마치 유목민처럼 여기저기 옮겨 다니곤 한다. z세대의 경우 평생 17개의 직장과 5개의 직업, 15번의 거주지를 갖는다고 한다.
이들은 첫인상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콘텐츠의 썸네일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며, 깊은 내면을 보여주려는 노력보다는 첫인상을 인상 깊고 강렬하게 보이려 한다. 하이퍼 모던 시대를 어릴 때부터 경험한 디지털 원주민들, 즉 ‘플로팅 세대’는 맥락과 서사보다 가벼운 터치와 직관적인 감성에 마음을 여는 특성을 보이기도 한다. 한 장의 사진을 찍더라도 느낌적인 느낌, 해시태그 ‘#갬성’으로 마무리되는 특화된 정서, 이를 느끼기 위한 직관적인 자극을 추구하는 컨셉러들이다. 디지털 환경에서 태어나 끊임없는 선택지를 탐색하는 ‘플로팅 세대’들이 힘들어 하지 않기를 바란다.
/이종근
http://sjbnews.com/news/news.php?code=li_news_2020&number=692769
'이종근의 행복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종근의 행복산책2]향유(香油)와 희말라야 고산족의 선택 (0) | 2022.02.14 |
---|---|
가람전집 발간 통큰 지원 이뤄져야 (0) | 2022.02.10 |
[이종근의 행복산책2]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0) | 2022.01.29 |
[이종근의 행복산책2] 누군가의 단점이 보이시나요, 나는 지휘관일까요? (0) | 2022.01.27 |
그냥 드림 (0) | 2022.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