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올, 국내 미술품 경매시장 매출 490억원으로 집계

국내 미술품 경매시장의 올해 상반기 매출 규모가 2018년의 반 토막 수준인 약 490억원으로 집계됐다. 사단법인 한국미술시가감정협회(이사장 김영석)는 <2020년 국내 미술품 경매시장의 상반기 결산>과 <2016~2020년도 5년 상반기 낙찰총액 비교>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상반기 국내 미술품 경매시장의 총 거래액은 약489.7억원이며, 2019년 약826억원과 2018년 약1030억원에 비해 큰 폭으로 줄어든 결과를 보여줬다. 특히 낙찰률 64.5%(2019년 65.81%/ 2018년 68.76%)는 예년에 비해 큰 차이가 없지만, 총 출품작 14,224점(2019년 12,458점 / 2018년 12,820점)과 낙찰작 9,173점(2019년 낙찰 8,199점 / 2018년 낙찰 8,815점)은 오히려 올해가 훨씬 많았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경매시장의 경기가 그만큼 더 안 좋았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또한 낙찰총액 1위는 이우환 작가가 약 61억원, 낙찰률은 78.26%로 김환기를 추월했다, (2019년 낙찰총액 1위 김환기 약 145억원, 낙찰률 70.59% / 2018년 낙찰총액 1위 김환기 약 214억 3800만원, 낙찰률 87.5%)

하지만 이우환의 낙찰총액은 김환기에 비해 40% 수준으로 서울옥션 홍콩경매 무산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도 보인다.
반면, 쿠사마 야요이가 약 14억 5천만원으로 작품별 최고 낙찰가 1위를 차지했다. (2019년 최고 낙찰가 1위 르네 마그리트 약 72억 4000만원 / 2018년 최고 낙찰가 1위 김환기 약 85억 3000만원)

한국미술시가감정협회의 김영석 이사장은 “장기간 지속되는 코로나19 팬데믹 여파가 서울옥션의 홍콩 경매가 치러지지 못하는 등 국내 미술시장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 결과로 보인다. 그나마 이우환작가가 김환기를 추월해 낙찰총액 1위를 차지하며 경매 분위기를 이끌었다. 이젠 단색화 호재의 기대감에서 하루속히 벗어나, 국내외에서 폭넓게 역량을 펼쳐 나갈 수 있는 작가들을 적극적으로 육성하는 것이 미술시장의 규모와 한국 현대미술의 경쟁력을 담보할 지름길”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대상은 국내에서 운영되는 8개 경매사(서울옥션, K옥션, 아트데이옥션, 아이옥션, 에이옥션, 마이아트옥션, 칸옥션, 꼬모옥션)에서 1월~6월 말까지 진행한 온오프라인 경매의 분석결과이다. 참고로 서울옥션의 홍콩법인 경매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개최되지 않았다.

보도자료-2020 상반기 국내 미술품 경매시장 결산.hwp
0.27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