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경문화학교(대표 안준영)가 운영하는 완판본문화관에서 <홍길동전> 완판 36장본의 영인본을 발간하였다. 완판본문화관은 <열여춘향슈졀가> 영인본을 시작으로 한글고전소설 영인본을 연차적으로 발간하고 있다.
완판본문화관 소장 홍길동전은 총 36장으로 19~36장까지는 간행 초기의 형태이며, 1~18장까지는 새롭게 보각(補刻)되었다.
보각이란 목판이 오래되어 글자가 닳거나, 훼손, 유실 등으로 인해 인쇄할 수 없을 때 새롭게 판각하는 것을 가리킨다. 옛 책을 간행할 때에는 목판 보관·보존의 어려움으로 이러한 보각이 많이 이루어졌다.
방각본 한글고전소설은 지역별로 서체의 특성이 달라지는데 서울에서 간행된 경판본은 흘림체로 전주에서 간행된 완판본은 반듯반듯한 해서체로 나누어진다.
보각 목판인 1~18장은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완판본의 전형인 해서체의 특성이 잘 드러나며, 19~36장은 반듯한 초서와 해서체 중간 정도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1916년 다가서포에서 서계서포의 목판에 1~18장을 보각하여 홍길동전을 간행하였다.
안준영 관장은 “완판본 홍길동전은 전주 완판본체의 변천 과정 등을 담고 있고, 판각의 기법을 비교해볼 수 있는 서책”으로 앞으로 서체 비교 관련 전시 계획도 밝혔다.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분아 개인전, 꽃으로 겸허한 마음 향기를 담다 (0) | 2020.05.19 |
---|---|
지리산과 내장산에서 멸종위기 담비 모습 포착 (0) | 2020.05.19 |
전북도립국악원 청소년, 대학생 협연의 밤 (0) | 2020.05.13 |
선운사 템플스테이 굿 (0) | 2020.05.13 |
전주한지 사회 교과서, 임실 초등학교에 공급 (0) | 2020.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