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스토리

콩조시(콩쥐) 팥조시(팥쥐)

 

콩쥐팥쥐이야기는 계모와 팥쥐의 구박을 받고 죽임을 당하는 콩쥐가 신이한 존재의 도움으로 고난을 극복하고 변신을 거듭한 후 결국 살아나 계모와 팥쥐를 처벌한다는 내용의 설화다. 전국적 분포를 보이는 구전 설화 콩쥐팥쥐의 형성 시기를 추정하기는 힘들다.

지방도 716호는 전주에서 완주를 거쳐 김제를 가는 도로다. 이 도로가 한국판 신데렐라 콩쥐팥쥐 원조열풍을 몰고 왔다. 전주시와 완주군, 김제시가 2012년 새 주소를 부여하면서 일제히 도로명을 콩쥐팥쥐로로 부르기 시작하면서 부터다. 그 발단은 1919년 출간된 박건회의 소설 대서두서등에 콩쥐팥쥐의 고향이 전주 서문 밖 30로 묘사돼 있는 데서 출발했다. 김제시는 콩쥐팥쥐 배경지로 716호 도로변인 김제 용지면을 꼽았다. 완주군 역시 716호 도로변인 관할지역 이서면이 콩쥐팥쥐 고향이라고 추정했다. 전주시는 716호 도로 출발지점을 콩쥐팥쥐로로 지정했다.

콩쥐팥쥐전은 전주권을 배경으로 한 조선중엽 가정소설이라고 하지만 남원에도 엇비슷한 이야기가 전하고 있다. 이른 바, ‘콩조시(콩쥐) 팥조시(팥쥐)’ 이야기는 남원시 송동면 세전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계모한테 핍박받던 콩조시가 나랏님과 혼인해 잘 살았다는 응보담(應報譚)이다.

옛날에 콩조시와 팥조시가 살았다. 팥조시는 데리고 들어온 딸이었고, 콩조시는 전처의 딸이었다. 콩조시는 예쁘게 생겼고 팥조시는 얼굴이 얽고 못생겼다. 어느 날 마을에 공진이굿이 들어오자 의붓어미는 팥조시만 데리고 구경하러 갔다. 콩조시도 구경하고 싶다고 하자 의붓어미는 콩조시에게 삼 한 꽈리를 내놓으며 그 삼을 다 삼고 나서 밑 없는 가마솥에 물을 채워 놓고 조 한 가마를 다 찧어 놓은 뒤에 오라고 했다.(...)콩조시가 울고 있는데 하늘에서 검은소가 내려와 솥 밑에 엎드렸다. 콩조시가 다시 물을 길어다 붓자 가마솥에 물이 가득 찼다. 이제 삼을 삼으려고 하니까 검은소가, “큰아가, 내 똥구멍에 광주리를 갖다 대라.” 하더니 삼을 다 먹어 버렸다. (...)검은 소는 죽은 콩조시 어미의 넋이었다. 콩조시가 빠진 연못에서는 함박꽃이 피었는데, 나랏님이 세수를 하러 가면 함박꽃이 피어서 나랏님을 보고 웃고, 나랏님이 들어가면 싹 오므리고 하였다. 나랏님은 이 꽃을 꺾어 농 위에 얹어 놓았다. 그런데 그 꽃 속에 콩조시가 있었다. 콩조시가 인도환생한 것이다. 사실을 알게 된 나랏님은 팥조시에게 벌을 내리고 콩조시와 행복하게 살았다

우리나라의 콩쥐팥쥐 설화는 서양의 신데렐라이야기와 그 유형이 유사하다. ‘잃어버린 신발모티브도 동서양에 공통으로 존재한다. 어찌됐든 신발을 잃어버린 것은 사또(또는 원님, 왕자, 나랏님 등)를 다시 만나 혼인을 하게 되는 계기를 만든다. 콩쥐팥쥐 등 전북의 잊혀져 가는 전설을 되찾아 관광문화상품으로 활용했으면 얼마나 좋을까./


'한국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향(祭享)과 전통문화   (0) 2018.04.09
정읍 피향정  (0) 2018.04.08
익산쌍릉,왕릉급 무덤으로 실체가 드러나다  (0) 2018.04.04
유애사와 유애묘  (0) 2018.04.04
고창 장타령의 유래  (0) 2018.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