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궐과 왕(릉)

『승정원일기』 Seungjeongwon Ilgi

정치의 숨결이 느껴지는 기록,『승정원일기』 Seungjeongwon Ilgi: Breathing Life into Korean Politics of the Past

『승정원일기』의 자료적 가치

『승정원일기』는 조선시대 왕명의 출납出納을 맡으면서 비서실의 기능을 했던 기관인 승정원에서 날마다 취급한 문서와 사건을 일자별로 기록한 책이다. 원래 건국 초부터 작성된 것으로 여겨지나 현재는 1623년(인조 1)부터 1910년(융희 4)까지 288년간의 기록 3,243책이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보관되어 있다. 『승정원일기』는 세계 최대의 역사기록물이라 할 수 있다. 1999년 4월 9일 국보 제303호로 지정되었고, 2001년 9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정치의 미세한 부분까지 정리된 방대한 기록, 빠짐없이 기록된 날씨, 1870년대 이후 대외관계에 관한 기록 등은 『승정원일기』의 가치를 보다 돋보이게 하고 있다. 『승정원일기』는 실록 편찬에도 가장 기본적인 자료의 하나로 활용되었으며, 특히 왕을 최측근에서 모시는 후설(喉舌:목구멍과 혀)의 직책에 있었던 승정원에서 이루어진 기록인 만큼 왕의 기분, 숨결 하나까지도 놓치지 않고 기록에 담았다.
 『승정원일기』의 가치를 보다 돋보이게 하는 요소는 매일의 날씨를 기록한 점이다. 『승정원일기』의 날씨 관련 기록은 전통시대 기후연구에 큰 도움을 준다.

288년 간 빠짐없이 쓴 기록

『승정원일기』는 승정원에서 작성하였다. 승정원이란 조선시대 왕명의 출납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기관으로 오늘날 청와대 비서실에 해당한다. 승정원에서는 국왕의 지시사항이나 명령을 정부 각 기관과 외부에 전달하는 역할과 함께 국왕에게 보고하는 각종 문서나 신하들의 건의사항을 왕에게 전달하는 임무를 수행하였으며, 정원政院 또는 후원喉院이라는 별칭으로 불렸다. ‘후’는 목구멍을 뜻하는 한자어로 승정원이 국왕의 말을 바로 대변하는 요처임을 암시한다. 『승정원일기』의 편찬은 「승사承史」라 칭하는 승지와 주서가 공동으로 담당하였으며 최종 기록은 주서들에게 맡겨졌다. 승지는 무관도 임명될 수 있었으나 주서는 반드시 학문과 문장이 검증된 문관을 뽑아서 임명하였다. 주서는 춘추관 기사관을 겸하여 승정원을 거친 문서나 실록 편찬에 참고했던 국내외 각종 기록들을 두루 검토, 정리하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주서가 기록한 매일의 일기는 한 달 분을 정리하여 국왕에게 올려 재가를 받았는데, 일기가 밖으로 유출되는 것은 엄격히 금지시켰다. 인조에서 경종대까지의 초기 기록은 2달 또는 3달의 기록이 한 책으로 편집된 예도 있었지만, 영조대 이후에는 한 달 분량의 일기가 1책으로 편집되는 것이 원칙이었다. 편찬된 『승정원일기』는 승정원에 보관하였다. 조선전기에는 경복궁 근정전의 서남쪽 월화문 밖에, 조선후기에는 창덕궁 인정전 동쪽의 승정원에 보관하였다.
조선전기에 기록된 『승정원일기』는 전쟁과 정변으로 대부분 소실되었다. 이후에도 영조 때와 고종 때 등 차례에 걸쳐 화재를 만나 『승정원일기』의 일부 책들이 소실되었지만 그때마다 『춘방일기春坊日記』와 『조보(朝報)』 등을 널리 수집하여 빠진 부분을 채워 나갔다. 『승정원일기』는 매일 쓰여 졌기 때문에 하루, 한 달, 일 년의 정치 흐름을 이해할 수가 있다. 국왕의 건강이나 심리상태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물론, 국왕의 정무를 보던 장소와 시간대별로 국왕의 이동 상황 등을 기록해두었기 때문에 이를 보면, 국왕의 동선動線 파악도 가능하다. 또한 정치의 주요 현안이 되는 자료나 중앙이나 지방에서 올린 상소문의 원문을 거의 그대로 수록하고 있어 역사 자료로서의 가치가 돋보인다.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의 비교

사례를 통해 『승정원일기』에 나타난 자료적 가치를 살펴보기로 하자. 『숙종실록』 숙종 26년 7월 25일 기록에는 좌의정 이세백李世白이 평안도 지역에서 문신 출신 수령을 원하는 경우가 많음을 보고한 내용이 나온다. 『숙종실록』에는 약 10행(1행은 30자)에 걸쳐 나오는데, 『승정원일기』의 같은 날 기록에 의하면 이 내용은 4면(1면은 30행, 1행은 27자) 21행에 걸쳐 있다. 『숙종실록』에서는 핵심내용만을 기술한 반면, 『승정원일기』에는 왕과 이세백이 대화하는 내용을 모조리 기록하고 있다. 『승정원일기』는 왕과 신하들의 독대 기록이 특히 자세하며, 왕의 표정하나 감정하나까지도 상세히 표현되어 있는 경우가 자주 나타난다. 또한 역대 국왕들 스스로가 자신의 병세에 대해 신하들에게 이야기하고 약방이나 의원들에게 자문을 구한 사실과 국왕의 기분과 병세 나아가 왕실의 건강 상태에 대해서도 많은 분량이 할애되고 있다.
 『승정원일기』와 같은 명품을 남긴 선조들의 뛰어난 기록문화의 전통은, 우리들에게 과거라는 미지의 공간을 보다 정확하고 생동감 있게 들여다보게 한다. 『승정원일기』를 ‘현재의 거울’로 삼아 21세기 문화대국을 지향하는 몫은 이제 우리 후손들에게 남아 있다.


Value as Historical Material
Seungjeongwon Ilgi, or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is the daily records on the documents and events handled by the royal secretariat Seungjeongwon, which was in charge of transmitting documents to and from the king in the Joseon Dynasty (1392-1910).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is thought to have been kept from the early days of the dynasty, but only 3,243 books covering 288 years from 1623 (1st year of King Injo) to 1910 (4th year of King Sunjong) are extant, now housed at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omprising the world's largest collection of authentic historical recordings,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was designated National Treasure No. 303 in April 1999 and inscribed on the UNESCO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in September 2001. Its historic value is enhanced by its comprehensiveness, seen in the meticulous records on politics, weather observations without a single missing day, and foreign relations after the 1870s. Since Seungjeongwon Ilgi was written by the royal secretariat, which kept close attendance on the king, functioning as his "huseol" (literally "throat and tongue"), it reflects even subtle changes in the king's feelings. Hence it was used as the most basic reference material in compiling Joseon Wangjo Sillok, or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s mentioned earlier, one of the elements enhancing the royal diaries' historic value is the daily weather reports. Such detailed records on the weather provide valuable material for the study of climate. 

Not a Single Day Missed Over 288 Years
Seungjeongwon, corresponding to the modern day presidential secretary's office, delivered the king's instructions and commands to government agencies or provincial administrative offices as well as transmitting various kinds of documents and suggestions from retainers to the king. It was also called "jeongwon" or "huwon" (literally "throat agency"), indicating its important rule of speaking for the king.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was compiled by the seungji (royal secretaries) and juseo (scribes), together called "seungsa," with the latter responsible for the final recording. While military officials could be appointed as royal secretaries, the scribes were selected only from among scholar officials based on their learning and writing skills. As the scribes doubled as copyists for Chunchugwan (Office for Annals Compilation), they also reviewed and edited the records which had gone through the Royal Secretariat or been referred to in compiling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Entries in th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strictly prohibited from being taken outside the court, were made by a juseo every day and generally compiled into a volume every month to be presented for the king's approval. While two to three months' worth of entries were compiled into a volume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dynasty from King Injo (r. 1623-1649) to King Gyeongjong (r. 1720-1724), one volume for each month became the norm after King Yeongjo (r. 1724-1776). The compiled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were kept at the Seungjeongwon building, located outside Wolhwamun gate, southwest of Guenjeongjeon Hall (the throne hall) in Gyeongbokgung Palace in early Joseon, and then moved to the east of Injeongjeon Hall in Changdeokgung Palace in late Joseon.
The early volumes were mostly destroyed during wars or internal conflicts, and again in later days such as under the reigns of Yeongjo and Gojong, some of the royal diaries were lost in fire. The missing parts, however, were soon restored based on comprehensive research of Chunbang Ilgi (Diaries of the Crown Prince), the Jobo (daily government gazette) and other materials.
As records were made on a daily basis, Seungjeongwon Ilgi indicates political changes during a particular day, month or year. Besides recording in detail the health and feelings of the king, the royal diaries also give a glimpse of the king's movements since they detail where the king administered state affairs and where he went every hour. Containing such content as major political issues and the original texts of petitions from the central and provincial government offices alik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is even more valuable as historical material.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vs.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Let us take a examples to see the value of the material provided by th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An entry on the 25th day of the 7th month of the 26th year of King Sukjong in Sukjong Sillok (Annals of King Sukjong) describes Jwauijeong (Second State Councilor) Yi Se-baek reporting to the king that many villages in Pyeongan-do province preferred scholar officials as their magistrates. While the Annals of King Sukjong records the event in only ten lines with 30 characters per lin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record the same event in four pages and 21 lines, with 30 lines per page and 27 characters per line. This is because the former presents only a summary whereas the latter records the dialogue between the King and Yi. As in this case, th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makes detailed records on meetings between the king and his retainers, and frequently mentions subtle changes in the king's facial expressions or feelings. In addition, the royal diaries include a large volume of recordings on the health of the king as well as the royal family: the king would talk to his retainers about his illness and consult with the Palace Dispensary or royal doctors.
The outstanding documentary tradition that left behind a legacy such as Seungjeongwon Ilgi helps the present generation gain a more accurate and vivid view of the unknown past. It is now up to the present generation to use Seungjeongwon Ilgi as a "mirror of the present" to turn the country into a cultural power of the 21st century.


▶글 · 사진제공_ 신병주 교수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by Sin Byeong-ju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