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 한복의 구성과 기능
여성 한복은 저고리와 치마, 남성 한복은 저고리와 바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위에 두루마기를 입어서 예의를 갖춘다. 저고리의 구성은 남성과 여성의 것이 거의 같으며, 그 길이와 각 부분의 배색에서 차이가 있다.
저고리의 구성은 몸통을 덮는 부분은 길며 여기에 소매를 붙이고, 앞 중심 부분이 벌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겉섶과 안섶을 겹쳐지게 부착하고, 목부분을 감싸서 정리하기 위해 깃을 달고 그 위에 백색의 동정을 붙여서 단정한 여며 입게 한다. 저고리의 양 옆에 옷고름을 달아 앞부분을 여며 입는 기능을 하도록 했다. 옷고름이 조선 중기까지만 해도 잘고 가늘어서 주로 여며서 묶는 역할을 했는데, 조선 후기로 오면서 점차 그 길이가 길고 넓어져서, 옷고름은 기능성 외에도 장식적인 용도로 활용했음도 알 수 있다.
남성복은 저고리와 바지 위에 두루마기와 같은 포류(袍類)를 입고 머리에는 다양한 관과 갓을 착용한 의관정제(衣冠整齊)로 품격을 갖추었다. 포류의 종류도 용도에 따라 다양했는데, 구체적으로 도포, 창의, 학창의, 심의, 두루마기가 있다. 남성복은 인격미를 강조하도록 풍성한 형태를 보이면서도, 가슴 부위에는 세조대(細條帶)와 광다회(廣多會) 같은 띠를 착용하여 상체부분을 정리하여 단정해 보이도록 했다.
당시대의 대표적인 남성상은 백색이나 옥색의 도포나 심의에 흑색 관이나 복건을 착용한 선비의 모습에서 찾아볼 수 있다. 흑백의 조화는 침착하며 냉철한 지성과 고매한 인품을 자아낸다. 가슴에 착용한 다채색 띠들은 지루하고 엄격해 보이기 쉬운 흑백대비에 생기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여성복도 저고리와 치마를 기본으로 그 위에 배자와 두루마기를 착용하여 예의를 갖추었다. 통과의례 시에는 활옷과 원삼, 당의 등 의례복에 화관이나 족두리, 떨잠, 비녀, 노리개 등 여러 가지 장신구로 치장하였다. 여성복의 상의는 단정하고 하의는 풍성하게 하였으며, 이에 따라 풍성한 치마를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내의가 발달하였다. 여성의 정숙미를 존중했던 당시대의 여성들은 외출할 때에는 머리에 쓰개치마나 장옷을 착용하여 외부와 차단하도록 했다. 의복과 장신구에는 다양한 문양과 색채들을 표현하여, 수복(壽福), 부귀다남(富貴多男), 충효(忠孝) 등 당시대인들의 염원을 기원하는 상징으로 음미하였다.
'대한민국의 상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의 역사 (0) | 2010.05.20 |
---|---|
한글의 특징 (0) | 2010.05.20 |
한글의 의의와 구성 원리 (0) | 2010.05.20 |
한복의 특징 (0) | 2010.05.20 |
한복의 정의와 유래 (0) | 2010.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