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는 국민들의 정서함양과 보건휴양 및 산림체험․교육 등을 위하여 도내에 조성된 산림휴양시설의 노후시설 정비, 전기․통신선로 지중화, 탐방로 확충 등 지속적인 시설개선을 위해 설계를 완료하고 본격적인 사업발주와 성수기 이전 공사완료를 목표로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현재 도내 산림휴양시설로 자연휴양림 12개소, 산림욕장 14개소가 조성․운영되고 있으며,
작년(2009년도)에 사업비 18억원을 들여 고산․와룡․방화동자연휴양림의 전기․통신․상하수도 선로 지중화, 조경공사 등과, 월곡산림욕장의 휴게쉼터․주차장․안내표지판 설치 등의 보완사업을 완료하였고,
올해(2010년도)에도 총 68억원을 투입하여 선각산․고산자연휴양림에 숲속의 집 등과 무궁화 전시박물관을 보완조성하고, 방화동산림욕장의 노후시설 정비, 산책로 데크설치 등 보완조성과 내동산․화산 산림욕장을 신규조성하고 있다.
❍ 주 5일 근무제 정착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도내에 조성된 자연휴양림과 산림욕장의 이용객이 꾸준히 증가하여 작년(2009년)에는 36만명(2008년 23만명, 전년대비 54% 증가)이 자연휴양림을 방문하는 등 산림휴양시설의 이용객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 특히, 어려운 경제상황 속에서도 스트레스 해소에 최적인 산림욕과 산림휴양을 위하여 가족단위, 직장․친목단체 이용객의 꾸준한 증가 추세에 있어, 이제 산림휴양시설이 국민들의 여가활용의 장으로 정착되어 가고 있다.
❍ 도 산림녹지과 윤영남 과장은 국민들에게 쾌적하고 안전한 산림 휴양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성수기 이전에 보완사업을 완료토록 독려하고, 수시로 산림휴양시설을 순회 지도․점검하여 방문객 맞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하였다.
또한, 이용객에게 친절하고 다양한 산림휴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자연휴양림 등에 숲해설가 28명, 숲생태관리인 14명을 배치하여, 산림에 대한 지식전달과 숲탐방․체험활동 지원 등의 프로그램 운영으로 고객 만족도를 향상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끝>
【참고자료 : 있음】
도내 산림휴양시설 현황
❑ 자연휴양림 현황(공유7, 사유2) ※ 국유휴양림(3개소) 제외
명 칭 |
소유구분 |
위 치 |
고시일 |
지정면적 |
개 장 |
비 고 |
와 룡 |
공 유 |
장수군 천천면 와룡리 |
’91.05.11 |
ha 104 |
1996 |
|
세 심 |
공 유 |
임실군 삼계면 세심리 |
’93.02.08 |
101 |
1994 |
|
고 산 |
공 유 |
완주군 고산면 오산리 |
’94.07.21 |
672 |
1998 |
|
흥부골 |
공 유 |
남원시 인월면 인월리 |
’96.08.20 |
100 |
2002 |
|
방화동 |
공 유 |
장수군 번암면 사암리 |
’99.05.06 |
101 |
2003 |
|
무 주 |
공 유 |
무주군 설천면 청량리 |
’07.08.20 |
31 |
2008 |
|
선각산 |
공 유 |
진안군 백운면 신암리 |
’01.02.02 |
200 |
- |
미개장 |
성수산 |
사 유 |
임실군 성수면 성수리 |
’91.05.15 |
425 |
1996 |
|
남 원 |
사 유 |
남원시 갈치동 |
’91.11.14 |
34 |
2002 |
|
❑ 산림욕장 현황(14개소)
명 칭 |
위 치 |
조성년도 |
면 적 |
비 고 |
향로산 |
무주군 무주읍 읍내리 |
1996 |
ha 62 |
|
대 아 |
완주군 동상면 대아리 |
1998 |
30 |
|
방화동 |
장수군 번암면 사암리 |
2000 |
10 |
|
추 령 |
순창군 복흥면 서마리 |
2001 |
10 |
|
정읍사 |
정읍시 시기동 |
2001 |
18 |
|
산 천 |
완주군 동상면 대아리 |
2002 |
15 |
|
강천산 |
순창군 팔덕면 청계리 |
2005 |
10 |
|
석불산 |
부안군 하서면 청호리 |
2005 |
5 |
|
닥밭골 |
진안군 주천면 주양리 |
2006 |
5 |
|
백운동 |
진안군 백운면 백암리 |
2007 |
5 |
|
작 골 |
진안군 진안읍 군상리 |
2008 |
5 |
|
와 룡 |
장수군 천천면 와룡리 |
2008 |
5 |
|
쌍 암 |
순창군 인계면 쌍암리 |
2008 |
5 |
|
월 곡 |
고창군 고창읍 월곡리 |
2008 |
10 |
|
자연휴양림 이용실적('08년 ~ '10년)
(단위 : 명, 천원)
구 분 |
2008년 |
2009년 |
2010년 3월말 |
비 고 | |||
이용객 |
수입액 |
이용객 |
수입액 |
이용객 |
수입액 | ||
계 |
234,629 |
1,284,828 |
362,403 |
1,879,366 |
28,881 |
207,648 |
|
고 산 |
92,903 |
435,605 |
137,703 |
546,255 |
6,708 |
76,778 |
|
와 룡 |
19,310 |
188,035 |
30,810 |
233,372 |
2,285 |
18,273 |
|
세 심 |
5,319 |
15,140 |
4,826 |
19,760 |
- |
- |
성수기(7~8월)만 운영 |
흥부골 |
1,678 |
16,882 |
5,271 |
55,240 |
580 |
3,200 |
|
방화동 |
12,555 |
121,059 |
16,281 |
142,461 |
2,026 |
25,309 |
|
무 주 |
- |
- |
6,967 |
80,282 |
1,013 |
17,754 |
’09. 1 개장 |
선각산 |
- |
- |
5,450 |
- |
781 |
- |
미 개장 (데미샘 탐방객) |
남 원 |
26,044 |
273,042 |
67,400 |
413,109 |
4,527 |
33,367 |
|
성수산 |
76,820 |
235,065 |
87,695 |
388,887 |
10,961 |
32,967 |
|
2010년 숲해설가 및 숲생태관리인 배치 현황 |
□ 총 42명(숲해설가 28, 숲생태관리인 14)
시․군 별 |
시설명 |
배치 인원(명) | ||
계 |
숲해설가 |
숲생태관리인 | ||
계 |
|
42 |
28 |
14 |
전 주 시 |
모악산도립공원 |
2 |
2 |
- |
남 원 시 |
흥부골휴양림 |
3 |
1 |
2 |
〃 |
남원휴양림 |
3 |
1 |
2 |
〃 |
지리산숲길 |
4 |
4 |
- |
김 제 시 |
모악산 생태숲 |
1 |
1 |
- |
완 주 군 |
고산휴양림 |
4 |
2 |
2 |
무 주 군 |
무주휴양림 |
1 |
1 |
- |
장 수 군 |
와룡휴양림 |
3 |
2 |
1 |
〃 |
방화동휴양림 |
3 |
2 |
1 |
임 실 군 |
세심휴양림 |
3 |
1 |
2 |
〃 |
성수산휴양림 |
6 |
3 |
3 |
순 창 군 |
강천산도립공원 |
1 |
1 |
- |
고 창 군 |
선운산생태숲 |
2 |
2 |
- |
산림환경연구소 |
선각산휴양림 |
2 |
1 |
1 |
〃 |
순창산림박물관 |
2 |
2 |
- |
〃 |
대아수목원 |
2 |
2 |
- |
'생생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의 다락방 스미스소니언과 한국의 문화재청 (0) | 2010.05.06 |
---|---|
전라북도 전통예술의 이해 (0) | 2010.05.06 |
'서울 거리의 아티스트'들, 여기로 다 모여라! (0) | 2010.05.05 |
교통카드 한 장으로 떠나는, 서울 속 유럽 여행 (0) | 2010.05.05 |
전주막걸리·모주 중국대륙 진출하다 (0) | 2010.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