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재 쉽죠

독널무덤이란

독널무덤[甕棺墓]은 독[甕]이나 토기를 널로 사용한 무덤입니다. 이 무덤은 세계 각지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우리나라와 중구·일본 등에서도 선사시대부터 나타나고 있습니다.

 

 중국이나 일본의 경우 신석기시대부터 나타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청동기시대부터 발견됩니다. 청동기시대의 독널무덤은 금강유역에서 주로 발견되며, 독널은 좁고 납작한 바닥에 가운데 부분이 팽만한 길다란 몸체, 짧게 바라진 아가리를 가진 항아리가 이용됩니다.

 

 독널의 매장방식은 토기를 곧바로 세우거나 비스듬히 묻었으며, 토기바닥에는 작은 구멍을 뚫기도 하였습니다. 초기철기시대에는 두 개의 토기를 옆으로 눕혀 서로 아가리를 맞붙이거나 한쪽을 끼워 넣은 형태의 이음식[合口式] 독널무덤이 새롭게 등장합니다.

 

 원삼국시대에는 지하에 깊지 않은 구덩이를 파고 껴묻거리[副葬品]와 함께 독널을 옆으로 눕힌 다음 흙으로 덮은 독널무덤이 유행하였습니다.

 

 또한 무덤의 양식에 변화에 따라 바깥 주위에 도랑을 갖춘 주구묘(周溝墓) 내에 안치되기도 합니다. 삼국시대에는 널무덤이나 돌덧널무덤에 딸린무덤[陪藏墓]으로 이용되기도 하고, 봉토(封土) 내에 'U'자 모양의 대형 독을 묻은 독널고분[甕棺古墳]이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전라북도 지역에는 주로 청동기시대나 원삼국시대, 삼국시대의 독널무덤이 발견되는데, 청동기시대의 것으로는 익산지역에서 확인되며, 원삼국시대나 삼국시대의 것으로는 남원, 고창, 김제 등에서 조사 되었습니다.

'문화재 쉽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옷은 왜 입었나요  (0) 2010.04.20
타날문토기란  (0) 2010.04.20
선사시대 사람들의 신앙은  (0) 2010.04.20
검은 간토기와 덧띠 토기란  (0) 2010.04.20
붉은 간토기란  (0) 2010.04.20